콘텐츠목차

산태미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501907
영어음역 santaemi
영어의미역 woven barrow
이칭/별칭 삼태기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물품·도구/물품·도구
지역 전라남도 진도군
집필자 이옥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도구
재질 청등넝쿨
용도 이바지 음식을 담는 도구
관련의례 제사|혼례|상례

[정의]

음식을 담아 나르는 도구.

[개설]

산태미는 삼태기의 진도 방언이다. 삼태기는 백과사전을 찾아보면 “흙이나 쓰레기, 거름 따위를 담아 나르는 데 쓰는 기구로 가는 싸리나 대오리, 칡, 짚, 새끼 따위로 만드는데 앞은 벌어지고 뒤는 우긋하며 좌우 양편은 울이 지게 엮어서 만든다.”라고 설명되어 있다. 진도의 산태미는 일반적인 삼태기와 비교했을 때, 모양은 동일하나 그 재료와 용도에서는 다소 차이가 난다. 진도에서 산태미를 만드는 재료는 청등넝쿨이다. 청등은 진도지역의 높은 산에서 자생하고 있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진도에서는 가정의례준칙이 보편화되기 전인 1970년대까지만 해도 제사, 혼례, 상례 등 대소사에 곡식이나 음식으로 부조를 하는 풍속이 있었다. 부조를 할 물건을 담을 때 사용되는 것으로는 동구리와 산태미가 있었다. 동구리는 부조를 할 곡식이 많지 않을 때 주로 사용하였고, 가까운 일가 친척집에 부조를 하거나 사돈집에 이바지를 보낼 때처럼 담을 음식물이 많을 때에는 산태미를 사용하였다. 부조와 이바지 풍속이 점차 사라지게 되면서 산태미도 점차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용도]

진도에서 산태미의 주요한 사용처는 이바지 음식을 담는 것이다.

[현황]

현재 진도에서는 산태미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고, 산태미를 만들 줄 아는 사람도 거의 없어서 전승이 단절될 위기에 처해 있다. 지금은 인위적인 전승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현재 진도문화원에서 노인공예교실 청등넝쿨공예반을 운영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청등넝쿨로 만든 진도의 산태미는 빛깔과 질기기가 다른 짚풀로 만든 산태미와는 달라 진도의 특산물로 내세울 만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