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701778
한자 俗談
이칭/별칭 이언(俚諺),격언(格言)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집필자 최인학

[정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서 교훈이나 풍자를 하기 위해 어떤 사실을 비유의 방법으로 서술하는 간결한 관용어구(慣用語句)의 총칭.

[개설]

속담은 오랜 세월 동안 민중의 생활 속에서 발생되어 구성되고 구전(口傳)되어 오는 것이다. 속담에는 민족의 마음이 반영되고 민중의 슬기와 유머가 존재한다. 따라서 속담은 일상대화나 웅변이나 글을 쓸 때 하나의 수사 자료로 많이 쓰인다. 또 대화를 할 때 속담은 적재적소에 사용하면 말의 효과와 능률을 증가시켜 줄 수 있다.

『삼국유사(三國遺事)』 5권에 보면 ‘내일 바빠 한댁 방아’라는 속담이 나온다. 이 말은 욱면이라는 여종이 일을 빨리 마치고 불경을 외우러 가야 한다는 데서 유래한다. 이로 보아 삼국 시대 이전부터 속담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의 속담]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 전승되는 속담은 우리나라 전역에서 흔히 들을 수 있는 것이다.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서 전승되는 속담의 유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성이 담긴 속담으로는 ‘고려 공사 삼 일(高麗公事三日).’이 있다. 이 속담은 어떤 일을 할 때, 참을성이 없이 자주 변경하는 것을 일컫는 말이다. 고려 시대의 정책이 사흘돌이로 바뀐다는 데서 유래된 말이다.

둘째, 생활 풍습과 관련된 속담이다. ‘듣기 좋은 육자배기도 한 번 두 번.’은 아무리 좋은 것이라도 늘 하면 지루하다는 뜻이다. ‘낫 놓고 기역 자도 모른다.’는 모양이 비슷한 낫을 옆에 두고도 기억 자를 모른다는 뜻으로, 몹시 둔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부뚜막의 소금도 집어넣어야 짜다.’는 아무리 손쉬운 일이라도 움직이지 않고서는 효과가 없다는 말이다.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라는 속담은 같은 노력을 할 바에야 품질이 좋은 것을 택한다는 말이다. ‘값 싼 비지떡.’이란 속담은 값싼 물건치고 좋은 것이 없다는 말이다. ‘며느리 사랑은 시아버지, 사위 사랑은 장모.’는 며느리는 흔히 시아버지에게 귀염을 받고, 사위는 장모에게 더 사랑하게 된다는 말이다.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늘 가윗날만 하여라.’는 추석에는 오곡 과실이 풍요한 가장 좋은 계절이기에 언제나 추석처럼 풍요했으면 좋겠다는 말이다. ‘뒹굴 자리 보고 씨름에 나선다.’라는 속담은 일을 하기 전에 자신의 역량과 일의 경우를 따져보고서 시작하라는 말이다.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라는 속담은 아무리 힘이나 밑천을 들여도 보람 없이 헛된 일이 되는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바늘 도둑이 소도둑 된다.’는 속담은 작은 나쁜 짓도 자꾸 하게 되면 큰 죄를 저지르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아내 땐 굴뚝에 연기 나랴.’는 원인이 없으면 결과가 있을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셋째, 지명과 관계되는 속담이 있다. ‘금강산도 식후경.’이란 속담은 아무리 좋은 일이라도 우선 먹고 나서 배가 불러야 좋게 보인다는 말이다. ‘종로에서 뺨 맞고 한강에 가서 눈 흘긴다.’는 속담은 뺨 맞은 그 자리에선 말 한마디도 못하고 먼 곳에 가서야 반항의 모습을 보인다는 뜻으로 기골이 약한 사람을 일컫는다.

넷째, 동·식물과 관계되는 속담이다. ‘호랑이도 제 말 하면 온다.’는 속담은 그 자리에 없다고 해서 남의 흉을 보지 말라는 말이다. 또는 마침 이야기의 당사자가 그 자리에 나타났음을 이름이다. ‘빛 좋은 개살구.’라는 속담은 겉모양은 그럴듯하여 좋으나 실속이 없다는 말을 비유적으로 이른 것이다.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 전해지고 있는 속담은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인천이 여러 지역의 사람들이 모여 사는 대도시이고, 항구를 끼고 있어 다른 지역과의 교류가 빈번했다는 점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