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조상 단지 모시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901718
한자 祖上-
이칭/별칭 부룻 단지,세존 단지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전라북도 순창군 팔덕면 덕천리|동계면 구미리|금과면 매우리
집필자 황금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세시 풍속

[정의]

전라북도 순창 지역의 가정에서 개별적으로 모시는 조상신의 신체를 갈아주는 일.

[개설]

조상 단지는 조상신(祖上神)을 모시는 데 쓰이는 가신 신앙의 신체(神體)이다. 조상신은 유교 사회에서 일반적으로 남성에 의하여 기제나 시제, 묘제, 차례 형태로 모셔진다. 반면 조상 단지 모시기는 가정주부가 중심이 되어 조상신을 믿는 가신 신앙이다. 이는 조상신이 한 가문과 자손을 돌보고 지켜 주며, 화복을 좌우한다고 믿는 데서 출발한다.

[연원 및 변천]

조상 단지가 언제부터 조상신의 신체로 기능하였는지는 정확하지 않다. 그러나 『삼국지(三國志)』「위지(魏志)」 동이전(東夷傳) ‘동옥저(東沃沮)’조에 나오는 장사 습속에서 조상 단지의 원형을 찾을 수 있다. 동옥저에서는 사람이 죽으면 가매장을 하였다가 육탈한 뼈만 추려 길이가 10여 길이나 되는 나무 상자에 넣는다. 온 가족의 뼈를 이곳에 함께 넣어 모시고, 거기에 나무로 사람 모양을 새겨 꽂아서 그 수로 죽은 사람의 수를 알게 하였다. 또 기와로 만든 솥을 덧널 끝에 매달고 솥 안에 쌀을 넣어 두었다. 나무로 만든 사람 모양과 기와로 만든 솥 안에 쌀을 넣는다는 사실에서 조상 단지의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신라의 「김알지(金閼智) 신화」에 나오는 황금 궤짝 역시 김씨 집안 조상 단지의 한 형태로 보기도 한다. 조선 시대가 되면 지전(紙錢)이나 폐백(幣帛)의 형태가 나타나는데, 이 역시 조상의 형상이다. 조선 시대에는 유교 이데올로기에 따라 신주(神主)가 조상신의 신체이자 상징으로 기능하게 되지만 신주를 모시지 못하는 집안에서는 여전히 조상 단지를 모신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순창 지역에서는 모든 가정이 조상 단지를 모시고 있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 집안에 일찍 돌아가신 조상이 계시거나 자손에게 불행한 일이 닥쳤을 때 점을 보아 조상을 위하라고 하면 점쟁이나 무당에게 굿과 같은 절차를 밟아 모시게 된다. 대부분은 1970년대 전후로 조상 단지를 폐지시켰으나 지금도 여전히 조상 단지를 모시는 집들이 남아 있으며, 일부는 없애버렸다가 다시 부활시킨 사례도 있다.

[절차]

조상 단지를 모시는 절차는 집집마다 다르다. 조상 단지를 모시는 장소는 흔히 안방의 시렁 혹은 장롱 위이다. 매년 가을마다 수확한 햅쌀로 갈아 넣는다. 제사를 지낼 때 차리는 음식은 메, 과일, 조기, 채소 등이다. 이때 조상 단지 안에 있는 쌀의 상태를 보고 길흉을 점치기도 하는데, 쌀이 상하지 않고 깨끗해야 좋다. 조상 단지의 묵은쌀은 추석 무렵에 밥을 지어 반드시 집안 식구끼리만 먹는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순창군 인계면 갑동리 갑동 마을의 한 주민은 시집을 가서 보니 집안에 할머니를 모신 조상 단지가 있었다고 한다. 시어머니가 이를 없애버렸는데 그 후 집안에 어린 애기들이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아 자꾸 요절하여 점쟁이를 찾아가 점을 보았다. 점쟁이 말이 할머니를 모셔야 한다고 해서 굿을 하고 조상 단지를 모셨다고 한다.

팔덕면 덕천리 태촌 마을 주민은 조상 단지에 쌀과 현금을 넣어두는데, 조상 단지를 갈 때 함께 넣어둔 돈으로 장을 보아 제수를 마련한다고 한다. 궁핍한 시절에는 조상을 위하는 제사를 지낼 양식을 따로 구하기 힘든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가을에 추수한 곡식을 조상 단지에 보관해 두면 그 쌀로 제사를 지내면 되니 저축의 의미도 있는 것이다.

동계면 구미리 귀주 마을 주민 정지임[여, 1922년 생]은 집안의 큰어머니 혹은 시어머니가 젊어서 죽었으면 단지에 쌀을 담아 모신다고 한다. 조상 단지를 ‘부룻 단지’라고도 불렀으며, 예전에는 올벼심리를 할 때 갈아주고 그 쌀로 밥을 해서 윗목에 상을 차렸다. 세상이 바뀐 뒤로는 다 없애버렸는데 별 다른 이상이 없었다고 한다. 정지임은 현재 기독교 신자가 된 지 3년 정도 되었으며, 사람들이 입으로 귀신을 만든다며 다소 부정적으로 평가하였다.

팔덕면 덕천리 태촌 마을 주민 윤영호[남, 1952년 생]는 원래부터 어머니가 모시던 조상 단지를 새로 양옥을 지으면서 없애버렸다. 그렇게 4~5여 년의 세월이 흘렀는데 아내가 갑자기 병이 들어 병원에서도 그 원인을 찾을 수 없어 점을 보니 그 이유 때문이라며 조상 단지를 다시 만들라고 했다. 그래서 어머니 살아계실 때 무당을 청해 굿을 하는 등의 절차를 밟고 다시 조상을 단지에 모셨다. 어머니가 돌아가시고도 계속해서 모신 지 10여 년 남짓 되었는데, 아내를 비롯한 가족 모두 탈 없이 건강하게 잘 지내게 되니 지속하게 되었다고 한다. 단지 속에 쌀과 약간의 돈을 넣어 두고 추석에 단지를 비운 쌀을 섞어 차례를 지낸다. 9월 9일 무렵에 햅쌀이 나면 처음 도정한 쌀을 조상 단지에 채워 돈과 함께 넣어 둔다.

금과면 매우리 매우 마을 주민 정갑숙[여, 1933년 생]은 시집을 오니까 시어머니가 안방 시렁에 조상 단지를 모시고 있었고, 시어머니가 돌아가신 뒤에도 원래 있던 것이니까 그대로 모시며 추석에 단지를 비워 그 쌀로 밥을 짓고, 음력 10월 초사흘에 햇곡식으로 갈아준다고 한다. 그동안 집을 양옥으로 새로 짓는 과정에서 모시는 장소가 안방 시렁에서 곳간 시렁으로 장소만 옮겼을 뿐 오랜 세월 동안 그 단지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조상 단지의 기능은 기본적으로 조상 숭배이지만 한 집안의 안녕을 기원하는 종합적인 신앙 대상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