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000249 |
---|---|
한자 | 古地圖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전라북도 완주군 |
집필자 | 한상호 |
전라북도 완주군의 역사적 지리적 정보를 담고 있는 옛 지도
완주군의 고지도는 전주와 고산의 옛 지도들의 일부 내용과 중복되고 있으며, 『호남지도(湖南地圖)』, 『해동지도(海東地圖)』,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동여도(東輿圖)』, 『청구도(靑邱圖)』, 『광여도(廣輿圖)』, 『1872년 군현지도(郡縣地圖)』, 『여지도(輿地圖)』, 『동국여지도(東國輿地圖)』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고지도에는 완주군의 행정관할 구역의 범위, 관청의 구성과 위치와 이름, 산줄기와 강줄기, 지역을 대표하는 명소, 읍면의 이름과 위치 등이 상세히 담겨져 있다. 또한 민호(民戶), 결수(結數), 군질(軍秩), 창고(倉庫) 등 고을 운영에 필요한 행정정보 등도 부기되어 있다. 고지도는 고을의 수령과 관료들이 행정 군사 경제 사회 민생자료 등으로 활용하였으며, 중앙정부에 진달되어 중앙집권통치의 기초자료로 활용되었다. 아울러 고산·전주는 물론 각 지역에서 정밀하게 만들어진 지도들이 결합되어 조선 후기에 『청구도』, 『동여도』, 『대동여지도』 등 정밀한 전국지도가 만들어지는 기초가 되는 등 지도의 발달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호남지도』는 영조 시대에 만들어진 지도첩으로 비변사인방안지도라고도 한다. 총 7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책부터 제6책까지는 제주도 지역 3개 군현[제주, 대정, 정의]을 제외한 전라도 53개 군현의 지도가 수록되어 있다. 고산현은 지금의 전북 완주군 고산면, 동상면, 경천면, 운주면, 화산면, 비봉면 일대에 위치하고 있었다.
『해동지도(海東地圖)』는 연대 작자 미상의 채색 필사본 지도책으로 8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선 후기 영조 시대에 제작된 도별읍지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지도책으로 보이며, 『여지도서(輿地圖書)』가 발간된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8책 중 제7책이 호남전도로 고산현의 지도도 살펴볼 수 있다. 고산현은 지금의 완주군 고산면, 동상면, 경천면, 운주면, 화산면, 비봉면 일대에 위치하고 있었다.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전주(全州) 및 고산(高山)
고산자(古山子) 김정호(金正浩)[?-1864]가 제작한 『청구도(靑邱圖)』의 자매편으로서 청구도 내용을 보충하여 1861년(철종 12) 사용에 편리하도록 분첩절첩식(分帖折疊式)으로 만든 전국지도이다. 제16첩 4면에 고산과 전주의 위치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두 군현은 맞닿아 있으며, 군현간 직선 거리는 50리로 표기되어 있다. 고산을 둘러싸고 있는 산줄기는 전주의 산줄기로 연결되며, 또한 물길 역시 전주로 흘러들어감을 알수 있는데 이는 전주와 고산이 연결된 생활권이었음을 짐작해 볼 수 있게 해 준다.
『동여도(東輿圖)』, 전주(全州) 및 고산(高山)
『동여도(東輿圖)』는 조선 후기 철종 연간에 제작된 작자 미상의 분첩절첩식(折帖裝) 우리나라 전국지도로, 채색필사본이며 23첩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여도』는 김정호가 『대동여지도』를 만들기 위해 사전에 만들어 본 고본(稿本)이라는 주장과 『대동여지도』 발행 이후 자료를 증보한 필사본이라는 의견이 있다. 『대동여지도』의 22첩에 지도 목록 1첩을 첨가하여 23첩으로 되어 있으며, 내용 및 정보가 더 자세하다. 고산현과 전주부에 대한 정보 역시 『대동여지도』보다 더 많은 정보가 담겨져 있다.
『청구도(靑邱圖)』, 전주(全州) 및 고산(高山)
『청구도』는 1834년(순조 34)에 김정호가 제작한 전국 지도로, 채색필사본이나 흑백필사본이며, 건곤(乾坤) 2책으로 되어 있다. 이본(異本)으로는 『청구요람(靑邱要覽)』이 있다. 대축척 지도로 건·곤 두 책을 상하로 연결시키면 전국도가 된다. 전국을 남북으로 29층, 동서로 22판으로 나누어 그렸으며, 방안 하나는 남북이 100리, 동서가 70리가 되도록 구분하였다. 실제 지도의 크기는 가로가 17.5㎝, 세로 25㎝이며 축척은 약 1/21만 6천이다. 전주와 고산의 주요 산줄기, 물줄기, 도록, 지명 등이 간략하게 담겨져 있다.
『1872년 군현지도(郡縣地圖)』, 전주(全州) 및 고산현(高山縣)
『1872년 군현지도』는 흥선대원군 집권기에 국가적 차원에서 편찬된 전국 군현지도집이다. 1872년 3월부터 6월까지 각 군현에서 제작된 지도가 도별로 취합되어 중앙으로 진달되었는데, 그 수효는 모두 461장이다.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으며, 경기도 40장, 충청도 52장, 전라도 84장, 경상도 106장, 강원도 28장, 황해도 42장, 평안도 85장, 함경도 2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산현은 지금의 전북 완주군 고산면, 동상면, 경천면, 운주면, 화산면, 비봉면 일대에 해당하며 읍치는 고산면 읍내리에 있었다. 지도에는 읍치 공간을 중심으로 지리적 정보와 인문적 정보 등이 담겨져 있다. 한편 전주는 지금의 전북 전주시 삼례읍, 봉동읍과 완주군 용진면·소양면·상관면·구이면·이서면, 익산시 익산 시내·오산면·왕궁면, 김제군 금산면 일부, 충남 논산시 양촌면 일부를 포함하는 호남의 제일 도시였다. 전주성 안에 위치한 읍치를 중심으로 남고산, 건지산, 기린봉, 완산칠봉, 모악산 등이 둘러싸고 있는 형국으로 지도가 그려져 있다.
『광여도(廣輿圖)』, 전주목(全州牧) 및 고산현(高山縣)
19세기에 제작된 『광여도』는 전국 군현지도집으로 전체적 구성은 『해동지도(海東地圖)』와 유사하다. 세계지도, 외국지도, 요계관방도, 조선전도 뒤로 각 도별지도 아래 군현지도들이 수록되어 있다. 1-7책에 걸쳐 경기도[1책], 충청도[2책], 전라도[3책], 경상좌도[4책], 경상우도[5책], 평안도[6책], 황해도[6책], 강원도[7책], 함경도[7책] 도지도와 군현지도, 그리고 주요 군사적 요충지의 지도들이 실려 있다. 이전 18세기 군현지도집이 민간에 유출되면서 만들어진 지도집으로 보고 있으며, 상당수의 군현지도들은 지도의 윤곽이 해동지도와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 형식 면에서 보면 도면과 별도로 쓰여진 설명문에는 호구, 전결, 부세, 군정 등 군현의 사회경제적 사정을 알려주는 항목들을 기록하고 있어 시각적 정보와 역사적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전주목(牧)은 지금의 전주시 삼례읍·봉동읍, 완주군 용진면·소양면·상관면·구이면·이서면, 익산시 익산 시내·오산면·왕궁면, 김제군 금산면 일부, 충남 논산시 양촌면 일부를 포함하는 큰 고을이었다. 읍치는 전주천 변의 경원동에 있었다. 전주의 진산은 북쪽에 위치한 건지산(乾止山)이다. 한편 고산현은 지금의 전북 완주군 고산면, 동상면, 비봉면, 운주면, 화산면, 경천면을 포함하는 지역이다. 읍치는 전북 완주군 고산면 읍내리 일대에 있었다.
『여지도(輿地圖)』, 전주(全州) 및 고산(高山)
『여지도(輿地圖)』는 보물 제1592호로 지정된 3책의 지도책으로, 1책에는 천하도지도(天下都地圖)[서구식 세계지도], 아국총도(我國摠圖)[조선전도], 북경도성삼가유시오단팔묘전도(北京都城三街六市五壇八廟全圖)[청나라의 수도인 북경 지도], 중국지도, 의주-북경 사신로(使臣路) 지도, 도성도, 조선·일본·유구[오키나와]를 합한 동부아시아 지도가 수록되어 있다. 2책에는 경기도-충청도-전라도-경상도-황해도-평안도-강원도-함경도의 순서로 팔도가 그려져 있고, 3책에는 청나라의 광역행정단위인 16개의 성(省)이 성경성-직예성-산서성-섬서성-하남성-산동성-강남성-호광성-사천성-강서성-절강성-복건성-광동성-광서성-귀주성-운남성의 순서로 그려져 있다. 2책의 전라도 지도를 보면 57관을 표시하고 있고, 고산과 전주 지명을 붉은색 사각형 안에 표시하고 있다. 위봉산과 삼례 지명이 보이며, 전라도 내에 고산과 전주의 위치를 보여주는 도별도이다.
『동국여지도(東國輿地圖)』, 전주(全州) 및 고산현(高山縣)
『동국여지도』는 『동국여지지도(東國輿地之圖)』라고도 한다. 이 지도는 조선 후기 문인화가 공재(恭齋) 윤두서(尹斗緖)[1668~1715]의 서화첩에 수록된 조선전도로, ‘해남윤씨 가전 고화첩 일괄(海南尹氏家傳古畵帖一括)’에 포함되어 있다. 윤두서가 1712년 해남으로 이주하여 1715년까지 활동하였으므로 그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동국여지지도』는 정척(鄭陟)과 양성지(梁誠之)가 1463년(세조 9) 세조에게 바쳤던 『동국지도』 계열의 지도를 토대로 오류를 수정하거나 변화된 지리정보를 추가하여 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지도의 내용은 산줄기·강줄기·교통로·부(府)·목(牧)·군(郡)·영(營)·감(監)·첨사(僉使)·만호(萬戶)·성(城) 등과 주변의 크고 작은 섬들이 그려져 있고 각 부·군·현에서 경도(京都)까지의 일정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전주와 고산은 붉은색 사각형 안에 지명만 표기하고 있다.
군현, 즉 지방을 단위로 제작된 군현지도는 조선 후기 지도제작에서 보이는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이다. 완주 지역을 그린 고지도 역시 19세기 후반의 것으로 조선 후기 고산현의 모습과 전주부의 모습은 물론 당시 시대적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군현지도에 수록된 지리정보와 공간정보는 중앙의 행정력을 보여주는 것으로, 고산과 전주 지역이 체계적으로 관리 및 운영되고 있음을 말해준다. 따라서 완주 지역을 담고 있는 고지도들은 조선 후기 고산현과 전주부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군사 등의 상황을 복합적으로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들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