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영환(鞠榮煥)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000738
한자 鞠榮煥
영어공식명칭 Guk Yeong-hwan
이칭/별칭 영화(永化),곤암(坤庵)
분야 성씨·인물/근현대 인물,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전라북도 완주군 화산면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이선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71년(고종 8)연표보기 - 국영환(鞠榮煥) 출생
몰년 시기/일시 1939년연표보기 - 국영환(鞠榮煥) 사망
출생지 국영환(鞠榮煥) 출생지 - 전라북도 완주군 화산면 지도보기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남자
본관 남자

[정의]

근대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개설]

국영환(鞠榮煥)[1871~1939]은 동학농민운동과 을미의병에 참여한 독립운동가이다.

[가계]

국영환의 본관은 담양(潭陽), 자는 영화(永化), 호는 곤암(坤庵)이다.

[활동 사항]

국영환은 13세에 서울로 올라가 어영대장(御營大將) 조영하(趙寧夏)에게 병서(兵書)를 배우고 연산(連山)의 김항(金恒)에게 『정역(正易)』을 배웠다. 김항은 이운규(李雲圭)의 제자인데, 이운규는 최제우(崔濟愚)에게 선도적(仙道的) 전통을 계승할 자라고 하고, 김항에게는 『서전(書傳)』을 많이 읽으라고 권면하였다고 한다. 김항은 1881년에 『대역서(大易序)』를 저술하고, 1885년에 『정역』을 완성하였다. 『정역』은 재래의 유학과는 달리 미래를 예견하려는 사고방식에 입각하여 선천·후천의 개념을 새로 규정하고 후천개벽사상을 역리적으로 체계화하여 독자적으로 이해하여 독특한 세계관을 만들어냈고, 한민족 중심적인 종교사상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국영환은 1894년(고종 31)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났을 때 동학군(東學軍)에 가담하여 영남과 호남 지방을 누비며 수차례에 걸쳐 일본군을 습격하였다. 1895년 을미사변 이후 고산, 용담, 진안, 장수, 무주 등지에서 의병으로 활약하였다. 의병이 해산된 후 7, 8년을 숨어 다니다가 중국 심양(瀋陽)으로 망명하였다. 1910년 강제병합되자 독립운동을 하려고 귀국하였고, 1919년 3·1운동에 가담했다가 체포되어 8개월의 옥고(獄苦)를 치렀다. 1938년에 사망하였다. 국영환이 1907년 의병을 규합하여 총수가 되어 10지대(支隊)의 군대를 조직하여 활동하였다고 전해지고 있지만, 국영환이 총수로 기록된 문헌이 발견되지 않았다. 국영환이 망명하였기 때문에 누락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허훈(許勳), 최성필(崔聖必)을 비롯한 지대장에 대한 일본의 처형 조치를 기록한 문헌에도 국영환의 이름이 거론되지 않아 국영환 부대와 부대의 활동에 대해서 분명하지 않은 점이 없지 않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