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계의 등극 과정」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001208
한자 李成桂-登極過程
영어공식명칭 The Process that Lee Seong-gye ascend the throne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덕천리
시대 고려/고려 후기,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김영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2001년 8월 7일 - 「이성계의 등극 과정」 황인덕이 오용근에게 채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1년 12월 29일 - 「이성계의 등극 과정」『완주의 구전설화』에 「이성계의 등극 과정」으로 수록
채록지 「이성계의 등극 과정」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덕천리 지도보기
성격 설화
주요 등장 인물 신돈|이성계|소경|주원장|여자로 변신하는 여우
모티프 유형 변신 모티프

[정의]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덕천리에서 이성계와 관련하여 전해오는 이야기.

[개설]

이성계 인물 설화는 전승되는 계층과 지역에 따라 상당히 다른 층위로 전개된다. 즉, 뛰어난 능력을 지닌 위대한 인물로 전승되기도 하고, 신하로서 고려의 임금을 배반한 인물로 그려져서 부정적인 인물로 전승되기도 한다. 아울러 이성계 주변의 인물이나 사건도 다양하게 전승되고 있다. 이성계 관련 설화들은 전라북도 전주시, 전라북도 진안군 등지에서 많이 전승되고 있다. 전라북도 완주군 여러 지역에서는 「이성계의 등극 과정」 외에도 「하늘이 도운 이성계」, 「범굴에서 살아나온 이성계」, 「이성계의 마부가 출세한 이야기」[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이성계와 최양」[전라북도 완주군 용진읍] 등이 전승되고 있다.

「이성계의 등극 과정」 설화는 역사적으로 오류가 있다. 이성계가 1384년 고려 우왕 10년 요동 정벌 당시 우군도통사, 조민수는 좌군도통사가 되어 위화도로 나아갔다. 따라서 우왕 때 신돈이 우왕과 창왕을 나았다는 것은 시간순으로 맞지 않은 설명이다. 「이성계의 등극 과정」은 조선 건국의 정당성을 확보하는 우창비왕설(禑昌非王說)과 관련해 퍼진 설화로 보인다.

[채록/수집 상황]

「이성계의 등극 과정」은 황인덕이 2001년 8월 6일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덕천리 구암마을 오용근[남, 71]에게 채록하여, 『완주의 구전설화』[신아출판사, 2001] 95~100쪽에 「이성계의 등극 과정」으로 수록했다.

[내용]

고려시대 이성계가 좌통사[고려시대 관직명]일 당시 중전이 아기를 못 낳아 태자가 없음을 조정에서 근심하였다. 그때 신돈이라는 중[스님]이 자식을 천 명을 둘 팔자를 타고나서 강원도 산골에다가 절을 지었다. 신돈은 자식 갖기를 원하는 사람들이 공을 들이러 절에 찾아오면 법당 밑에다가 지하실을 파놓고 금침을 펼쳐놓고 관계하여 아이가 생기면 까치동저고리를 입게 했다. 신돈이 삼 년 뒤에 서울[현재 개성시]에 올라오니 까치동저고리를 입고 다니는 아이가 시중 아이의 절반이나 되었다. 중전도 아이를 낳을 수 있다는 소문을 듣고 신돈의 절에 가서 기도하고 왕자를 낳았는데, 바로 두 아들이 우왕과 창왕이었다. 그러한 사실이 알려져서 나라가 혼란한 판에 이성계가 소경[시각장애인]에게 점을 치러 가니 손바닥에 임금 왕(王) 자(字)가 쓰여 있다고 하면서 왕이 될 팔자라고 하였다. 이성계는 대국의 왕이 되려는 욕심으로 중국으로 향하였는데 도중에 주원장[명나라 건국자]을 만나게 되었다. 그런데 주원장이 자신보다 더 그릇이 큰 인물임을 알고 천자가 될 꿈을 포기하고 다시 서울로 돌아왔다. 서울에서 이성계는 여자로 변신하는 여우를 만났는데, 이 여우가 일부러 전염병을 돌게 하여 돈을 모아서 이성계가 왕이 되도록 도와주었다.

[모티프 분석]

「이성계의 등극 과정」 이야기는 ‘임신’ 모티프와 ‘변신’ 모티프를 빌리고 있다. 임신 모티프는 고려왕[우왕과 창왕]의 정통성을 해치는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리고 변신 모티프는 이성계가 왕이 될 수밖에 없는 모티프로 기능하고 있다. 이성계가 조선의 왕으로 등극하는 과정에서 여자로 변신하는 여우의 도움을 받아 임금이 되었다는 것이 이 이야기의 핵심인데, 변신 모티프를 빌려 이성계의 인품이나 성격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또한 변신 모티프를 통해 이성계가 무인이나 장군으로서의 능력뿐만 아니라 정치적 계산에도 능한 여우 같은 지혜를 갖추고 있었음을 암시적이고 비유적으로 보여주는 기능을 하고 있다. 변신 모티프가 이렇게 다층적인 기능을 하는 것은 전라북도 완주 지역 설화의 흥미로운 특징이며 재미라고 할 수 있겠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