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두곡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101725
한자 斗谷齋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화산리 신화로 770-33
시대 조선/조선,근대/개항기
집필자 우경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조선[추정] - 두곡재 건립
개축|증축 시기/일시 1888년연표보기 - 두곡재 중건
현 소재지 두곡재 - 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신화로 770-33 지도보기
성격 재사
양식 장혀수장
정면 칸수 4칸
측면 칸수 1칸
지붕 홑처마 맞배지붕
소유자 나주 정씨 신녕공파 문중
관리자 정재진
문화재 지정 번호 비지정

[정의]

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화산리에 있는 정순돈(丁順敦)의 묘소를 수호하기 위하여 건립한 재사(齋舍).

[개설]

두곡재는 조선 명종 때 장사랑과 전연사 참봉을 지낸 정순돈(丁順敦)의 묘하 재실이다. 정순돈은 화산면 효정리 곽남재 정민도의 5대조이다.

[위치]

두곡재는 영천시 화산면 화산마을 초입에서 신녕 방면으로 0.7㎞ 지점 못을 지나 서편 좌측 못 안길로 진입하여 300m 정도 들어가면 길 바로 옆에 있다. 그 뒤편 산 중턱에 정순돈의 묘가 있다.

[변천]

두곡재는 초창(初創)과 관련된 자세한 기록 및 자료 등은 알 수 없으며 현재 건물의 중건 연도는 종도리 장혀 하부 상량 묵서에 ‘광서이십오년병신삼월임신초이일정유갑신시립주상량(光緖二十五䄵丙申三月壬辰初二日丁酉甲辰時立柱上樑)’으로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1888년(고종 25)에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

후손의 증언에 따르면 기존 재실이 있었던 자리에 중건된 것으로 알고 있으며, 재사 좌·우측에 건립된 관리사 및 창고 건물은 40여 년 전에 관리자가 기거하면서 지은 것으로 전해진다. 현재는 빈집으로 방치되어 있고, 4년 전에 풍우로 인해 우측 1칸이 붕괴된 상태이다.

[형태]

화산리 두곡재는 묘하 구릉지 끝자락 길 바로 옆에 남향하여 있으며 별도의 담장 없이 잡목과 관리사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 정면 4칸, 측면 1칸 규모로 전·후면에 쪽마루를 설치하였다. 평면 구성은 가운데 대청을 중심으로 좌측에 온돌방 2칸을, 우측 온돌방 1칸을 드린 형식이다.

정면에는 자연석 4단 높이의 기단을 축조하였는데 모두 시멘트 모르타르로 마감하였고 대청 앞쪽에 기단 일부를 파서 4단의 계단을 만들었다. 기둥은 모두 각주를 사용하였고, 방에 드린 문은 모두 쌍여닫이 세 살문이다.

가구는 간략한 3량가의 장혀수장집이며, 처마는 홑처마에 지붕은 맞배 형식이다. 수키와 끝은 와구토로 마감한 것으로 보이나 기와가 노후되고 건물이 퇴락되어 모두 떨어지고 없다.

[현황]

두곡재는 빈집으로 방치된 지 오래되어 건물 주변으로 잡목만 무성하다. 정면 우측 칸은 풍우로 소실되어 원형을 알 수 없고, 대청마루와 쪽마루도 청판이 탈락되어 있다. 창호는 대청마루 배면과 청방간 좌·우측에 떨어져 나가고 없으며 온돌방에 설치한 세살문도 훼손되었다.

[의의와 평가]

두곡재는 재숙 공간이 많은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교적 건립연대가 오래된 건물이나 관리 소홀로 인하여 그 원형이 변형되고 훼손되어 퇴락되었다. 현재 빈집으로 방치된 채 있어 계속 관리가 되지 않는다면 붕괴 가능성이 보인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