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400707
한자 丁彦璛
영어공식명칭 Jeong Eon-suk
이칭/별칭 군서(君瑞),검암(儉巖),수고헌(壽考軒)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병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600년연표보기 - 정언숙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24년 - 정언숙 진사시 급제
활동 시기/일시 1633년 - 정언숙 안동판관 부임
활동 시기/일시 1635년 - 정언숙 줄포 우거
활동 시기/일시 1640년 - 정언숙 삼가현령 부임
활동 시기/일시 1650년 - 정언숙 영덕현령 부임
활동 시기/일시 1667년 - 정언숙 원주 이거
활동 시기/일시 1685년 - 정언숙 통정대부 가자
활동 시기/일시 1690년 - 정언숙 가선대부 가자
활동 시기/일시 1692년 - 정언숙 동지중추부사 제수
몰년 시기/일시 1693년연표보기 - 정언숙 사망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25년 - 검암정사 이거
출생지 정언숙 출생지 - 서울특별시
거주|이주지 정언숙 이주지 - 경상북도 영주시 상줄동 지도보기
수학|강학지 검암정사 - 강원도 횡성군 둔내면
묘소|단소 정언숙 묘소 - 강원도 원주시 봉산동
성격 문신
성별
본관 나주(羅州)
대표 관직|경력 예천군수|동지중추부사

[정의]

조선 후기 영주 지역에 정착한 학자.

[개설]

정언숙(丁彦璛)[1600~1693]은 예천군수, 동지중추부사 등을 지낸 문신이자, 나주정씨의 영주 입향조이다.

[가계]

정언숙의 자는 군서(君瑞), 호는 검암(儉巖) 또는 수고헌(壽考軒), 본관은 나주(羅州)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명종 연간 병조판서와 좌찬성을 지낸 정응두(丁應斗)[1508~1572], 할아버지는 사헌부대사헌을 지낸 정윤복(丁胤福)[1544~1592]이다. 생부는 병조정랑을 지낸 정호공(丁好恭)[1565~1611]인데, 참봉 정호약(丁好約)의 양자가 되었다. 어머니는 정부인 광주정씨(光州鄭氏)이며, 부인은 정부인 기계유씨(杞溪兪氏)이다.

[활동 사항]

정언숙은 1624년(인조 2) 진사시에 입격하였으며, 음보로 전설사별좌에 제수되었다가, 1624년 겨울 의금부도사에 올랐다. 1632년 사헌부감찰과 호조좌랑을 거쳐, 1633년 안동판관이 되었다. 1635년(인조 13) 원주로 귀향하던 중 경상도 영천군(榮川郡)의 줄포[지금의 영주시 상줄동]의 경관에 빠져, 나이준(羅以俊)[1602~1676]의 농막을 빌려 한동안 유숙하였다. 병자호란 이후에는 완전히 줄포에 우거하였는데, 이후 영주 지역에 나주정씨 후손들이 세거하게 되었다.

정언숙은 1640년(인조 18) 삼가현령, 1649년 활인서별제, 형조좌랑을 거쳐, 1650년(효종 1)에 영덕현령으로 부임하였다. 재임 중 영덕 지역 토호들의 농간을 법으로 다스렸는데, 앙심을 품은 토호들에 의해 무고를 당하기도 하였다. 이후 영천으로 돌아와 김응조(金應祖)[1587~1667], 나이준 등 여러 선비와 교유하며 유유자적한 삶을 보냈다. 1656년 예천군수에 제수되었으나, 모친상을 당하여 취임하지 않았으며, 원주의 여막에서 삼년상을 마치고 돌아왔다. 1665년(현종 6) 어머니 묘소를 원주 동쪽 사악(沙岳)으로 옮기고, 1667년 사악 아래 영랑촌(永浪村)[지금의 강원도 원주시 봉산동]에다 검암정사(儉巖精舍)를 짓고 이거 하였다. 이때 김응조를 비롯한 영천의 여러 선비가 전별 모임을 베풀고 시를 짓고서는 성책하여 『선유록(仙遊錄)』이라 했다. 1685년(숙종 11) 수직으로 통정대부에 오르고, 1690년 가선대부에 가자되었다. 1692년에는 동지중추부사에 올랐다.

[학문과 저술]

정언숙의 문집으로 2권 1책의 『검암시집(儉巖詩集)』이 전한다. 곽종석(郭鍾錫)[1846~1919]이 서문을 썼다.

[묘소]

정언숙의 묘소는 강원도 원주시 봉산동에 있다.

[상훈과 추모]

정언숙의 현손 정지성(丁志宬)[1718~1801]이 유사를 짓고, 종후손 판서 정범조(丁範祖)[1723~1801]가 묘갈명을 지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