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301938
한자 虎狼山城
영어의미역 Horang Mountain Fortress
이칭/별칭 화랑산성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전라남도 여수시 둔덕동 산 114-53
시대 고대/남북국 시대
집필자 김병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관방유적
양식 산성
건립시기/연도 통일신라시대
둘레 454m
소재지 주소 전라남도 여수시 둔덕동 산 114-53

[정의]

전라남도 여수시 둔덕동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산성.

[개설]

신라 말 화랑들이 수련했다는 전설이 있어 일명 ‘화랑산성’이라고도 부르며, 산성 주위에 있는 굴을 화랑굴이라고 한다.

[건립경위]

1988년 여수시 문화원에서 발간한 『여수·여천 발전사』에 “호랑산성은 삼일읍 호명리에 있는데 1594년(선조 27)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이 왜적의 침입을 막고 군사를 훈련시키기 위해 석벽을 구축한 것이나 확실한 것은 알 수 없다.”라는 기록이 있을 뿐 구체적인 내용은 없다.

[위치]

전라남도 여수시 둔덕동에 자리한 호랑산성은 해발 410m의 호랑산 남서쪽 봉우리에 있다.

[형태]

호랑산성은 테뫼식 석성으로 평면형태는 부정형이고, 성의 북동쪽이 높으며 남서쪽으로 갈수록 낮아진다. 경사는 비교적 완만하고 암반이 없는 남서쪽과 서쪽, 남동쪽 일부는 성벽을 계속 연결하여 축조하였다. 성의 외벽은 석비레층이나 암반 위까지 판 후 별도의 기단을 두지 않고 곧바로 성벽을 쌓아 올렸다. 내외벽 모두 대체로 아래쪽은 큰 돌을, 위쪽은 작은 돌을 사용하였으며, 면이 고른 쪽을 수평으로 맞추어 쌓아 올렸다.

[현황]

성벽의 총 둘레는 약 454m이고, 성벽 가운데 서쪽 성벽의 일부가 가장 잘 남아 있는데 외벽의 높이는 약 1.6m이며 외벽이 무너진 뒷채움석이 노출되어 있는데 높이는 1.8m이다. 내벽의 높이는 약 1.4m, 성곽의 너비는 5m이다. 그리고 무너져 있는 성벽의 너비는 약 30㎝에 달한다. 이 유적에서 수습된 기와는 등문양에 따라 크게 선문, 격자문, 무문, 복합문으로 나누어지는데, 호랑산성에서는 선문이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한다. 그리고 토기류는 모두 경질토기편으로 통일신라시대 토기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의의와 평가]

호랑산성은 테뫼식 협축석성, 부분적으로 보이는 성벽의 축조방법, 문지의 위치 등으로 볼 때 백제 산성들과 같은 양상을 보여주고 있어 초축은 백제시대 말기에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그리고 수습된 유물들은 주요 사용 시기가 통일신라시대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2.09.20 일부 수정 오 : “호랑산성은 삼일읍 호명리에 있는데 길이 1㎞, 높이 5~6m쯤 된다. 1594년(선조 27)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이 왜적의 침입을 막고 군사를 훈련시키기 위해 석벽을 구축한 것이나 확실한 것은 알 수 없다.” 정 : “호랑산성은 삼일읍 호명리에 있는데, 1594년(선조 27)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이 왜적의 침입을 막고 군사를 훈련시키기 위해 석벽을 구축한 것이나 확실한 것은 알 수 없다.”
이용자 의견
관** 디지털여수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옛 기록에 근거하여 표기한 것으로 보이나 혼란이 있을 수 있어 일부 수정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2012.09.20
여*** 길이는 1Km인데 성벽의 둘레가 454m는 두 수치가 바뀌었던지 잘못된 자료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2012.08.22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