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751
한자 扶餘孝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왕족·호족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고대/삼국 시대/백제
집필자 김기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660년 - 부여효 의자왕과 함께 당나라로 끌려감
성격 왕족
성별

[정의]

충청남도 부여 지역을 수도로 한 백제 사비 시기의 왕족.

[가계]

부여효(扶餘孝)[?~?]의 성은 부여씨(扶餘氏)이다. 백제 제31대 의자왕의 아들이다.

[활동 사항]

부여효는 660년 나당 연합군에 사비성이 함락되고, 의자왕과 함께 당나라로 끌려갔다. 『삼국사기(三國史記)』 권28 「백제본기」에 660년(의자왕 20) 나당 연합군이 사비성에 당도하자 의자왕이 “태자 와 함께 북쪽 변경으로 달아났다”라는 기록과 “왕과 태자 가 여러 성과 함께 모두 항복하였다”라는 기록이 있다. 그러나 644년(의자왕 4) “왕자 을 태자로 삼고 크게 사면하였다”라는 기록이 있으며, 『삼국유사(三國遺事)』 권1 기이(紀異)1 태종춘추공(太宗春秋公) 조, 『구당서(舊唐書)』 권199 백제전과 권109 흑치상지전 및 권83 소정방전, 『신당서(新唐書)』 권220 백제전 및 권11 소정방전, 『일본서기(日本書紀)』 권26 제명기(齊明紀) 6년 7월 조,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扶餘 定林寺址 五層石塔)에 새겨진 ‘대당평백제비명(大唐平百濟碑銘)’, 부여 부소산성(扶餘 扶蘇山城)에서 발견된 당유인원기공비(唐劉仁願紀功碑) 등에는 ‘태자 융(隆)’이라고 적혀 있다. 이에 만 태자였다는 견해, 만 태자였다는 견해, 가 첫 번째 태자였는데 나중에 왕비 은고(恩古)의 아들 으로 교체되었다는 견해, 이 먼저 태자이고 은고의 아들 로 교체되었다는 견해, 가 모두 태자였다는 견해, 의자왕이 질병을 앓으면서 의자왕 4년경 태자 에게 국정 운영을 맡겼다가 대외 관계에서 수세에 몰리자 의자왕 15년경 가 정권을 잡고 국정을 주도하였기 때문에 기록의 혼란이 생겼다는 견해 등이 있다. 의자왕의 아들 중 는 어머니가 서로 달랐다는 것이 일반적인 해석이다. ‘대당평백제비명’에는 외왕 여효(外王 餘孝), 『구당서』 및 『신당서』에는 소왕 효(小王 孝)로 나타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