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1108
한자 無盡菴
영어공식명칭 Mujinam Temple
분야 종교/불교
유형 기관 단체/사찰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무량로 181-17[만수리 124]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선용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963년연표보기 - 무진암 건립
문화재 지정 일시 1973년 12월 26일 - 무진암 무량사김시습부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5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02년 6월 10일 - 무진암 외산 무량사 부도군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56호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 무진암 석조약사여래불 조성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무진암 무량사김시습부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변경 지정
현 소재지 무진암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무량로 181-17[만수리 124]지도보기
성격 사찰
창건자 박우진
전화 041-836-5023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 마곡사의 말사.

[개설]

무진암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만수산 아래에 있는 무진암(無盡菴)은 1963년 창건된 비구니 사찰이다. 사찰 입구에 있는 김시습부도탑을 비롯한 무량사의 부도탑 등으로 볼 때, 본래 무량사에 소속되어 있던 사찰로 보인다.

[건립 경위 및 변천]

『부여군지』에 따르면, 1963년 박우진(朴宇振)이 창립하였다고 한다. 무진암 입구에 세워진 ‘청신사 강귀성선생 정골지탑’에 따르면 박우진은 무량사 주지였다. 청신사 강귀성선생 정골지탑이 세워진 시기는 불기 2988년으로 쓰여 있는데, ‘신축(辛丑)’이라는 간지로 보아 1961년으로 추측된다. 이로써 1961년 무량사 주지로 있던 박우진이 1963년 무진암을 창건하였다고 할 수 있다.

[활동 사항]

무진암은 하루 3회, 즉 새벽, 아침 10시, 저녁에 예불을 하고 있다. 지역 사회에 불우 이웃 돕기 및 장학금 기탁과 같은 기부 활동을 꾸준히 하고 있다.

[현황(조직,시설 현황 포함)]

무진암은 단순히 암자라고 하기에는 규모가 제법 크다. 입구에 조성된 외산 무량사 부도군, 넓은 경내에 대웅전과 크고 작은 삼층석탑 2기가 있고, 2010년 크고 웅장한 규모로 새롭게 조성한 석조약사여래불이 봉안되어 있다. 또한 산신각, 무진산방, ‘무진암’이라는 현판을 걸고 있는 요사채와 식당 및 창고로 쓰이는 요사채도 여기저기 흩어져 있다. 2022년 현재 사찰에 소속된 승려는 3명이다.

[관련 문화유산]

무진암 입구에 있는 다수의 부도탑과 탑비는 외산 무량사 부도군이라는 이름으로 2002년 6월 10일 부여군 향토문화유적 제56호로 지정되었다. 이 가운데 무량사김시습부도(無量寺金時習浮屠)무량사에서 생을 마감한 김시습[1435~1493]의 사리를 보존하기 위하여 1495년 건립한 팔각원당형의 부도이다. 1973년 12월 26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무량사김시습부도는 일제 강점기에 폭풍우로 나무가 쓰러지면서 함께 넘어져 파손되었는데, 당시 발견된 사리 1점을 국립부여박물관에서 보관하다가 2017년 무량사로 이관되었다. 무량사에서는 김시습부도탑을 별도로 조성해서 사리를 봉안하였다. 이로 인하여 김시습부도탑은 무진암무량사에서 각각 별도로 조성하여 관리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무진암의 부도탑에만 5세김시습지묘비와 1929년 당시 부여군수였던 홍한표가 글을 쓰고 세운 김시습부도비가 함께 세워져 있다.

무진암에는 과거 무량사와 밀접한 관계를 맺었던 인물들의 부도탑들도 함께 세워져 있다. 명칭이 확인되는 경우는 능허당대사영탑 처영(凌虛堂大師靈塔 處英), 표월당대사탑(標月堂大師之塔)[1762], 취죽당 묘안탑(翠竹堂 妙安塔), 청허당(淸虛堂), 계영탑(桂影塔), 풍계탑(楓溪塔), 주지김동초선사 영세송덕비[1931년 7월 7일], 청신사 강귀성선생 정골지탑[1961] 등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