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1143
한자 鴻山 永慕堂
영어공식명칭 Hongsan Youngmodang shrine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조현로43번길 63-31[조현리 329-1]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장인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916년연표보기 - 홍산 영모당 건립
개축|증축 시기/일시 1972년 - 홍산 영모당 보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989년 - 홍산 영모당 지붕 개수
문화재 지정 일시 1995년 6월 1일연표보기 - 홍산 영모당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16호 지정
개축|증축 시기/일시 2002년 - 홍산 영모당 묘문과 담장 보수, 재실 개축
현 소재지 홍산 영모당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조현로43번길 63-31[조현리 329-1]지도보기
성격 사당
양식 겹처마 맞배지붕[영당]|솟을삼문[묘문]
정면 칸수 3칸[영당]|3칸[묘문]
측면 칸수 2칸[영당]|1칸[묘문]
문화재 지정 번호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16호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조현리에 있는 계성군김동효의 영정을 모신 일제 강점기 사당.

[개설]

홍산 영모당(鴻山 永慕堂)은 건립자인 경주 김씨 연당(蓮堂) 김동효(金東孝)[1861~1928]와 15대조 계성군(鷄城君) 김임(金任)[1448~1514]의 영정을 모신 사당이다. 김임은 1480년 무과에 급제한 후 강령현감 등 지방직을 역임하였다. 중종반정에 가담하여 1507년(중종 2) 정국공신 4등과 계성군으로 봉해지고 한성부우윤, 첨지중추부사를 지냈다. 사후 자헌대부 형조판서 겸 지의금부사 오위도총부도총관으로 추증되었다. 김동효김임의 15대손으로 부여군 홍산면에서 출생하였다. 1890년(고종 27) 금영감시(錦營監試)에 합격하고, 1900년 순릉참봉(順陵參奉)을 지냈으며, 1907년 6품에 올랐다. 1916년 영모당을 건립하고 계성군의 영정을 봉안하였다. 홍산 영모당은 1995년 6월 1일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16호로 지정되었다.

[위치]

홍산 영모당은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조현로43번길 63-31[조현리 329-1]에 있다. 홍산면행정복지센터에서 국도 제4호를 따라 가면 나오는 조현리 천석골마을에 있다.

[변천]

홍산 영모당은 1916년 건립되어 1972년 보수하였고, 1989년 지붕을 개수하였다. 2002년 묘문과 담장을 보수하고 재실도 개축하였다.

[형태]

홍산 영모당은 영당과 묘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당은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겹처마 맞배지붕 건물이다. 묘문은 정면 3칸, 측면 1칸의 솟을삼문 형식으로 되어 있다.

[현황]

홍산 영모당에서는 매년 춘분절에 춘향제를 지내고 있다. 홍산 영모당에 있는 부여계성군영정은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되었고, 부여김동효영정은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홍산 영모당경주 김씨가 조상에 제사하면서 조상의 덕을 기리고 친목을 다지는 사당으로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