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1209
한자 金基昇
영어공식명칭 Kim Kiseung
이칭/별칭 기두(基斗),덕경(德卿),원곡(原谷)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인물/예술인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집필자 권민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09년 5월 16일연표보기 - 김기승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21년 - 김기승 홍산공립보통학교 입학
수학 시기/일시 1926년 - 김기승 중국공학대학 경제과 입학
활동 시기/일시 1929년 - 김기승 흥사단 가입
활동 시기/일시 1932년 - 김기승 귀향
활동 시기/일시 1939년 - 김기승 조선서도진흥회 주최전 2등상
활동 시기/일시 1942년 - 김기승 중일문화협회 주최 전 중국 서도전 입선
활동 시기/일시 1956년 - 김기승 대성서예원 설립
활동 시기/일시 1966년 - 김기승 『한국서예사』 출간
활동 시기/일시 1978년 - 김기승 원곡서예상 제정
활동 시기/일시 1984년연표보기 - 김기승 은관 문화 훈장 수훈
활동 시기/일시 1996년 - 김기승 ‘한글서예의 오늘과 내일전’ 출품
몰년 시기/일시 2000년 8월 14일연표보기 - 김기승 사망
출생지 윗새재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조현리 지도보기
학교|수학지 홍산공립보통학교 - 부여
학교|수학지 공주공립고등보통학교 - 공주
학교|수학지 휘문고등보통학교 - 서울
학교|수학지 만주 펑톈 문회고급중학교 - 중국 펑톈[奉天]
학교|수학지 중국공학대학 경제과 - 중국 상하이
성격 서예가
성별 남성
본관 경주(慶州)
대표 경력 한국미술협회 이사|한국미술협회 서예분과 위원장|한국미술협회 고문

[정의]

충청남도 부여 출신의 서예가.

[활동 사항]

김기승(金基昇)[1909~2000]은 1909년 5월 16일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조현리[윗새재]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아명은 기두(基斗), 자는 덕경(德卿), 호는 원곡(原谷)이다. 어린 시절 한문 서당 삼언재(三焉齋)에서 수학하였다. 1921년 신학문을 공부하기 위하여 홍산공립보통학교[현 홍산초등학교]에 입학하였다.

이후 월반하여 공주공립고등보통학교[현 공주고등학교]에 진학하였다가 2학년 때 동맹 휴학을 주도한 학생으로 지목되어 사립 휘문고등보통학교[현 휘문고등학교]로 전학하여 4학년을 수료하였다. 그런 뒤 중국으로 건너가 기독교 감리회에서 운영하는 펑톈[奉天]의 문회고급중학교에 3학년으로 편입하였다. 김기승은 이때부터 신앙생활을 시작하여 독실한 기독교 신자가 되었다.

1926년 상하이로 건너가 중국공학대학 경제과에 입학하였다. 1929년 도산 안창호가 이끄는 흥사단에 가입하였고, 백범 김구가 이끄는 한국독립당에도 입당하여 독립운동에 가담하기도 하였다. 학업을 마친 뒤 1932년 고향인 부여에 돌아와 부여 출신의 명필 산정 신익선에게 서예를 배우기 시작하였다.

사업을 위하여 상하이로 건너간 김기승은 약종상을 하며 서예 공부를 계속하여 1939년에는 조선서도진흥회 주최전에서 2등상을 받았고 1942년에는 중일문화협회 주최 전 중국 서도전에서 입선하였다.

해방 후 귀국하여 소전 손재형에게 가르침을 받으면서 서예를 본격적으로 공부하기 시작하였고 대학민국미술전람회에서 연속 4회 특선을 하면서 서예가로서 활동을 펼치기 시작하였다. 1956년에는 서울 종로구 적선동에 대성서예원을 열어 후학을 양성하였고 서울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덕성여자대학교 등 대학에도 출강하였다.

1959년부터 대학민국미술전람회 심사 위원을 비롯하여 한국미술협회 이사, 한국미술협회 서예분과 위원장, 한국미술협회 고문 등을 지냈다. 1966년에는 『한국서예사(韓國書藝史)』를 출간하였다. 김기승은 1978년 후학 양성을 위하여 원곡서예상을 제정하였고, 1993년까지 개인전을 33차례 열었다. 1996년에는 예술의전당에서 개최된 ‘한글서예의 오늘과 내일전’에 출품하기도 하였다. 김기승은 2000년 8월 14일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주요 저서로 『한국서예사』를 비롯하여 『원곡서문집(原谷書文集)』, 『신고한국서예사(新稿韓國書藝史)』, 『원곡서문이집(原谷書文二集)』 등이 있고, 주요 작품으로 「독립선언서」, 「안창호선생비문」, 「민충정공두전」, 「유관순열사봉화탑」 등을 남겼다.

[상훈과 추모]

1984년 은관 문화 훈장을 수훈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