깡통차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1428
영어공식명칭 Kick the Can|Kkangtongchagi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놀이/놀이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성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아동 놀이

[정의]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아이들이 깡통을 가지고 하는 술래잡기 놀이.

[개설]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놀이하는 깡통차기는 술래잡기의 일종이다. 전국에 분포하는 깡통차기는 일정 공간에서 술래가 깡통을 차서 사람을 맞히는 놀이, 깡통을 공으로 사용하여 문에 차 넣는 놀이, 깡통을 차고 나서 술래잡기를 하는 놀이 등으로 나뉜다. 부여 지역의 깡통차기는 술래잡기 방식이다.

[연원]

부여 지역에서 깡통차기가 정확히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깡통이라는 물건이 우리나라에 유입되기 시작한 근대 이후에 놀이한 것은 분명하지만, 놀이 방식은 훨씬 오래전부터 놀이하던 ‘통차기’가 변형된 것이다. 통차기는 깡통 대신에 두레박을 이용하여 놀이하는 것을 제외하면 놀이 방법은 같다. 6·25 전쟁 이후 깡통에 담은 통조림이 보급되면서 두레박에서 깡통으로 도구가 바뀐 것으로 볼 수 있다. 두레박은 몇 번 차면 깨지는 단점이 있는데, 깡통은 가벼우면서도 쉽게 망가지지 않았다. 게다가 강하게 차면 아주 멀리까지 날아가고 통 안에 작은 돌멩이를 넣어 소리를 낼 수 있어 통차기에 비하여 놀이 재미가 배가된다.

[놀이 도구 및 장소]

놀이 도구는 깡통 하나면 충분한데, 걷어찼을 때 멀리 날아갈 만큼 적당한 무게가 있는 깡통을 선호한다. 놀이 장소로는 숨을 장소가 많은 골목이나 빈 공터를 주로 이용한다.

[놀이 방법]

마당이나 공터에 반지름이 30~40㎝쯤 되는 원을 그리고, 원 한복판에 빈 깡통 하나를 놓는다. 깡통 속에는 공깃돌만 한 작은 돌 두세 개를 넣고 발로 차면 소리가 나게 한다. 이처럼 깡통이 준비되면 가위바위보를 하여 술래 한 사람을 정한다.

술래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가 어느 한 명이 깡통을 차서 멀리 날려보낸다. 술래가 깡통을 찾으러 간 사이 다른 아이들은 달아나서 숨는다. 술래는 깡통을 제자리에 가져다 놓고 아이들을 찾으러 다닌다. 술래가 아이를 찾으면 재빨리 달려와서 “아무개!”라고 이름을 부르면 깡통을 발로 밟으면 들킨 아이는 탈락한다. 다만 술래에게 들켰어도 술래보다 먼저 달려와 깡통을 밟으면 다시 숨을 자격을 얻는다. 또한 술래가 자리를 비운 사이에 어느 한 사람이 깡통을 차 내면 탈락한 아이들이 모두 살아나서 처음부터 다시 놀이한다.

마을에 따라서는 규칙에 다소 차이가 있다. 즉 놀이를 시작할 때 깡통을 차지 않고 술래가 1에서 100까지 숫자를 세고 나서 아이들을 찾으러 가거나, 술래가 몇 명 이상을 찾으면 자동으로 술래를 면하고 잡힌 아이들끼리 가위바위보를 하여 술래를 뽑는 식이다.

[현황]

현재 부여 지역에서는 깡통차기가 거의 행하여지지 않는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