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삼신토방굴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201134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놀이/놀이
지역 서울특별시 동작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유선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신앙 의례

[정의]

서울특별시 동작구에서 행해졌던 전통 신앙의례.

[개설]

삼신토방굴은 가정에서 아이의 건강을 기원하거나 자식이 없는 사람이 자녀를 얻기 위해 삼신에게 기원하던 신앙 의례이다. 가신 중 아이를 점지하고 아이의 건강을 지켜주는 신이 삼신인데, 삼신은 아이를 점지하고 기르는 포태(胞胎) 신으로 지역에 따라 삼신할머니, 삼신할매, 지앙할미, 삼신단지, 삼신바가지, 삼신주머니, 삼신토방구리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삼신할머니라는 명칭이 많이 사용되는데 서울특별시 동작구에서는 삼신할머니라 하였으며, 삼신할머니를 위하는 것을 ‘삼신토방굴’이라 하였다. 아이를 갖기 원하는 사람이나 집안에 어린 아이가 아플 때 삼신에게 빌어 아이를 점지받고 아픈 아이의 건강이 회복되기를 기원하기 위해 하던 신앙행위의 일종이다. 삼신은 주로 부부가 거주하는 안방에 모신다. 주로 주머니에 쌀을 넣고 흰 창호지로 고깔을 만들어 씌워 놓거나 단지에 쌀을 넣은 형태로 신체를 모신다. 동작구에서 삼신을 모시는 형태는 다음과 같다. 안방 입구에서 정면을 바라봤을 때 오른쪽 구석에 선반을 만들어 놓고 그 위에 종이에 이름을 써서 실과 함께 모시는 경우와 마루에 산단지를 모시고 추수한 나락을 찧어 단지 속에 넣고 절을 하는 형태가 발견된다.

[현황]

동작구에서 거행된 삼신토방굴 의례는 세 가지 기능이 있다. 첫째, 병을 얻은 아이의 완쾌 기원. 둘째, 난산을 겪는 사람의 무탈한 출산 기원, 셋째, 갓난아기의 원만한 성장이다.

병을 얻은 아이의 건강 회복을 위한 의례를 할 때는 단지나 표주박에 아이의 이름을 쓴 종이와 쌀을 넣고 아이의 건강을 빈다. 사당3동 이분옥은 아이들이 몸이 아플 때 삼신토방굴을 했다. 찬물이나 쌀을 놓고 절을 하며 “삼신할머니 그저 우리 애기 빨리 낳게 해 주십시오”하고 빌었다고 한다. 또한 산모가 아이를 낳지 못할 때는 아기를 쉽게 낳았던 사람의 옷을 가져와 산모의 몸을 덮어주거나 삼신 앞에 깨끗한 물과 미역을 올려놓고 빌면 아이를 순산한다고 한다. 흑석1동 김순녀에 의하면 삼신은 단지에 모시기도 하고 전대에 쌀을 넣어 모시기도 했다고 한다. 산모가 아이를 낳으면 미역국을 끓여서 삼신할머니에게 바치며 “할머니 덕분에 젖 많이 나와서 잘 먹게 해주쇼.”하고 빈다. 타 지역에서도 아이를 낳기 전 미리 쌀과 미역, 물 등을 떠 놓고 삼신상을 차려두었다가 아이가 태어나면 삼신상에 두었던 쌀과 미역으로 첫 국밥을 해서 삼신할머니에게 바친다. 지역에 따라 아이가 태어난 후 7일, 14일, 21일에도 동일하게 삼신에게 기원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