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600393
한자 華城 龍珠寺 地藏殿木造地藏菩薩坐像과 十王像一括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불상
지역 경기도 화성시 용주로 136[송산동 188]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여희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이전 시기/일시 1894년 - 만의사에서 용주사로 이전
문화재 지정 일시 2009년 5월 21일연표보기 - 화성 용주사 지장전목조지장보살좌상과 시왕상일괄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23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화성 용주사 목조감실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
현 소장처 용주사 지장전 - 경기도 화성시 용주로 136[송산동 188]지도보기
원소재지 만의사 - 경기도 화성시 동탄면 풀무골로 219[중동 140]지도보기
성격 유물/불교조각/목조/불상
재질 목재
크기(높이) 높이 101.8㎝
소유자 용주사
관리자 용주사
문화재 지정 번호 경기도 유형문화재

[정의]

경기도 화성시 용주사 지장전에 봉안된 지장전목조지장보살좌상과 시왕상일괄.

[개설]

경기도 화성시 용주사 지장전에 모셔져 있는 지장전목조지장보살좌상과 시왕상일괄이다. 화성 용주사 지장전목조지장보살좌상과 시왕상일괄은 본래 용주사의 말사인 경기도 화성시 동탄면 중리 만의사(萬儀寺)에 봉안되어 있었다. 1894년(고종 31) 만의사의 지장전이 무너지면서 용주사로 이운되었다. 화성 용주사 지장전목조지장보살좌상과 시왕상일괄의 정확한 조성시기는 알 수 없다. 다만 현재 효행박물관에 보관된 목조 동자상이 지장전목조지장보살좌상과 함께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데 18세기 목조 동자승의 전형적 특징을 보이고 있다. 또한 만의사 대웅전에 걸려있는 지장시왕도는 본래 지장전목조지장보살좌상과 함께 지장전에 걸려 있었던 것으로 1791년(정조 15) 무렵 그려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볼 때 지장전목조지장보살좌상의 제작연대는 1791년 무렵으로 추정된다.

[형태]

화성 용주사 지장전목조지장보살좌상과 시왕상일괄은 총 31점으로 지장보살, 도명존자, 무독귀왕의 지장보살삼존 3점, 시왕상 10점, 귀왕상 2점, 판관 2점, 사자상 2점, 인왕상 2점, 그리고 목조동자상 10점이다.

지장전목조지장보살좌상은 높이 101.8㎝로 하품중생인(下品中生印)의 수인을 하고 오른손에는 석장을 들었다. 신체에 비해 머리가 큰 편이며, 얼굴 형태는 방형에 가깝다. 신체표현은 둥글게 하였고, 옷자락은 굵고 간략하다. 상체를 다소 움추려 굽어보는 듯 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좌우에는 도명존자(道明尊者)와 무독귀왕(無毒鬼王)이 함께 보좌하고 있다. 시왕상은 좌상임에도, 높이 약 170㎝의 대형이다. 제1부터 제10까지 좌우로 번갈아서 안치하였다. 원류관에 홀을 쥔 자세로 관모, 자세, 지물 등에서 변화를 주어 시왕의 개성을 드러냈다. 시왕상은 머리 뒷부분과 등, 얼굴 앞면과 상반신, 하반신 두 다리를 별도 부재로 만든 후 결합하는 방식으로 제작하였다. 근엄한 모습을 한 판관(判官)과 죽음의 전령사인 사자(使者)는 머리에 복두(幞頭)를 쓰고 가죽신을 신고있다. 문 양 옆을 지키는 인왕상의 얼굴은 위협적으로 표현되었으며, 문 입구 양 옆에서 권법자세와 무기를 든 자세로 지키고 있다. 동자상은 시왕을 보좌하는 인물로 죽은자의 영혼을 인도하는 역할을 한다. 크기는 60㎝ 전후로 지물로 각각 호랑이, 학, 거북이, 복숭아, 연잎, 연봉 등을 들고 있다.

[특징]

지장전목조지장보살좌상은 방형의 얼굴에 눈과 입이 옆으로 긴 얼굴 형태, 굽어보는 듯한 자세와 굵고 간략한 옷주름 등에서 조선후기의 전형적인 불상 양식을 갖고있으며, 권속인 시왕상과 귀왕, 판관 들도 지장전목조지장보살좌상과 같은 양식을 보여준다. 목조동자상은 18세기에 이르면 손에 들고 있는 지물이 다양해지는데, 용주사 목조동자상 역시 이와 같은 특징이 잘 나타나고 있다.

[의의와 평가]

화성 용주사 지장전목조지장보살좌상과 시왕상일괄은 지장보살상과 그 권속이 손실 없이 전체로 확인되고있다. 동자상 또한 10점 모두 남아있는 사례가 드믈어 연구가치가 매우 높다. 양식적으로는 18세기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어 조선후기 불교조각사 연구에 중요한 유물로 평가된다. 2009년 5월 21일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 신소연, 「佛像 조성과 僧匠의 구성」(『조선의 원당 1-화성 용주사』, 국립중앙박물관, 2016)
  • 국가문화유산포털(https://www.heritage.go.kr)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