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900463
한자 韓確先生神道碑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221-4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김민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495년연표보기 - 한확선생신도비 건립
문화재 지정 일시 1985년 6월 28일연표보기 - 한확선생신도비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27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한확선생신도비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경기도 유형문화재 지정 번호 삭제
현 소재지 한확선생신도비 -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221-4 지도보기
성격 신도비
양식 이수방부
관련 인물 한확
재질 대리석[비신]|화강암[받침]

[정의]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한확의 신도비.

[개설]

한확선생신도비(韓確先生神道碑)는 15세기 좌의정을 지낸 한확(韓確)[1403~1456]의 신도비로 한확 사후 39년인 1495년 건립되었다. 비문은 어세겸(魚世謙)[1430~1500]이 지었으며, 글씨는 임사홍(任士洪)[?~1506]이 썼다. 한확선생신도비는 1985년 6월 28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27호로 지정되었으나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건립 경위]

한확은 본관이 청주(淸州)이며, 큰누이가 명(明) 태종(太宗)의 후궁인 여비(麗妃)가 되어, 명에서 광록시 소경(光祿寺少卿)의 벼슬을 받아 조선에 여러 차례 사신으로 왔다. 이후 한확의 막내 여동생이 명 선종(宣宗)의 후궁 공신부인(恭愼夫人)이 되자 1435년 조선에서 중추원부사(中樞院副使)라는 벼슬을 처음 받았다. 이후 병조판서, 이조판서, 우의정, 좌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1456년 명에서 사은사(謝恩使)로 돌아오던 중 사망하였다. 계유정난으로 서성부원군(西城府院君)에 봉해지고, 사돈인 세조가 즉위하자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에 봉해졌으며, 시호(諡號)는 양절(襄節)이다. 한확의 묘소는 사후 조성되었으며, 방형(方形)의 봉분 앞에 묘표(墓表), 장명등(長明燈), 문석인(文石人) 등이 건립되었다. 묘소에서 동남쪽으로 약 45m 떨어진 곳에 한확선생신도비가 있다.

[위치]

한확선생신도비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221-4번지에 있다.

[형태]

한확선생신도비는 이수방부(螭首方趺) 형태이다. 대리석으로 만든 비신 상단 앞뒤에는 두 마리의 용이 구름 속에서 여의주를 다투는 모습을 조각한 이수가 있고 비석의 받침은 방형의 화강암으로 제작하였다. 한확의 묘 봉분은 방형으로 호석(護石)을 두르지 않았다. 봉분 앞에는 여러 석물이 있으나 15세기 작품으로는 하엽수(荷葉首) 형태의 묘표, 4각의 장명등, 문석인 1쌍이 있다. 장명등은 15세기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대형의 규모와 안정적인 비례 및 우수한 치석 수법이 보인다.

[금석문]

한확선생신도비는 비문에 의하면 후손들이 신도비에 쓸 석재를 마련하여 놓았으며, 한확의 외손(外孫)인 성종(成宗)의 명으로 어세겸이 지은 것이다. 신도비의 앞면에는 어세겸의 글이 새겨져 있으며, 뒷면의 음기(陰記)에는 한확의 후손 명단이 새겨져 있으나 전제적으로 마모가 심하다.

[의의와 평가]

한확선생신도비한확의 외손인 성종의 명으로 건립된 것으로, 15세기 후반의 우수한 신도비여서 연구 가치가 높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