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900519
한자 楊州邑誌
영어공식명칭 Yangju eupji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기도 남양주시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양진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편찬 시기/일시 1899년 10월연표보기 - 『양주읍지』 편찬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운중동 490-8]
성격 읍지
편자 경기도 양주군 군수 조정구
권책 1책
규격 17.3㎝[가로]|24.5㎝[세로]
권수제 광무삼년시월일양주군읍지(光武三年十月日楊州郡邑誌)

[정의]

1899년 10월 지금의 남양주 지역을 관할하였던 경기도 양주군에서 편찬한 읍지.

[개설]

『양주읍지(楊州邑誌)』는 1899년 10월에 편찬된 지금의 남양주 지역을 포함하는 경기도 양주군의 읍지이다. 19세기 후반 경기도 양주군의 역사·지리·경제 상황 등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편찬/간행 경위]

『양주읍지』는 1899년 대한제국이 전국에 읍지상송령(邑誌上送令)을 내리자 양주군의 군수 조정구(趙鼎九)가 중앙에 상납하기 위하여 편찬하였다.

[형태/서지]

『양주읍지』는 필사본이며 오침선장(五針線裝)으로 제책되어 있다. 표지는 황색이고 본문은 세로줄이 인쇄된 원고지이다. 표지의 표제 아래에 표제보다 작은 글씨로 ‘경기도(京畿道)’라고 쓰여 있다. 마지막 장에 ‘군수 조정구(郡守 趙鼎九)’라고 쓰여 있고, 이름 아래에 ‘양주군수지장(楊州郡守之章)’이 날인되어 있다.

[구성/내용]

『양주읍지』의 항목은 연혁(沿革)·방리(坊里)·결총(結摠)·호구(戶口)·환총(還摠)·역도(驛賭)·풍속(風俗)·고적(古蹟)·토산(土産)·인물(人物)·충효열(忠孝烈)·명환(名宦)·능침(陵寢)·사찰(寺刹)·봉수(烽燧)·산천명승(山川名勝)·제영(題詠)·선생안(先生案)으로 구성되어 있다. 방리 항목에는 읍내면(邑內面)·고주내면(古州內面)·회암면(繪巖面)·어등산면(於等山面)·천천면(泉川面)·청송면(靑松面)·석적면(石積面)·내동면(內洞面)·접동면(接洞面)·영근면(嶺斤面)·진벌면(榛伐面)·건천면(乾川面)·진관면(眞官面)·금촌면(金村面)·상도면(上道面)·하도면(下道面)·와공면(瓦孔面)·미음면(渼陰面)·구지면(九旨面)·고양주면(古陽州面)·망우리면(忘憂里面) 등 총 34개 면이 기재되어 있다.

34개의 면 중에서 접동면·진벌면·건천면·진관면·금촌면·상도면·하도면·와공면·미음면 등이 현재의 경기도 남양주시에 해당한다.

호구 항목에서는 호수(戶數)가 1만 6762호, 남자 수가 3만 6416구, 여자 수가 3만 893구로 기재되어 있는데, 이는 1871년 편찬된 『경기읍지(京畿邑誌)』의 제4책인 「양주목읍지(楊州牧邑誌)」의 호구 수, 1895년 5월 이후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양주군읍지(楊州郡邑誌)』의 호구 수와 차이가 있어 주목된다.

능침 항목에는 건원릉(健元陵)·정릉(貞陵)·사릉(思陵)·광릉(光陵)·목릉(穆陵)·휘경원(徽慶園) 등이 기재되어 있는데, 이 중에서 사릉광릉 등이 현재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는 문화재이다. 선생안 항목에는 역대 지방관의 이름과 부임·체임 시기가 기재되어 있는데, 「양주목읍지」나 『양주군읍지』에는 없는 내용이다.

[의의와 평가]

『양주읍지』에는 1871년판 『경기읍지』의 「양주목읍지」나 1895년 5월 이후 편찬된 것으로 보이는 『양주군읍지』와는 다른 지역 정보들이 제시되어 있다. 현재의 경기도 남양주시 지역을 관할하였던 경기도 양주군의 19세기 후반 사회상을 파악하는 데 활용 가능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