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900610
한자 金洪福
영어공식명칭 Kim Hong-bok
이칭/별칭 자회(子懷),동원(東園)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경기도 남양주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선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649년연표보기 - 김홍복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72년 - 김홍복 별시 급제
활동 시기/일시 1682년 - 김홍복 춘당대문과 병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686년 - 김홍복 문과 중시 병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688년 - 김홍복 파직
활동 시기/일시 1694년 - 김홍복 황해도관찰사 부임
몰년 시기/일시 1698년연표보기 - 김홍복 사망
묘소|단소 김홍복 묘소 -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율석리 산193-3 지도보기
성격 문신
성별 남성
본관 김해(金海)
대표 관직 대사간

[정의]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율석리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 문신.

[가계]

김홍복(金洪福)[1649~1698]은 본관이 김해(金海)이고, 자는 자회(子懷), 호는 동원(東園)이다. 아버지는 헌납 김덕승(金德承)이다. 부인은 고령 신씨(申氏)이고, 자녀는 4남 3녀로 큰아들은 김우집(金宇集)이다.

[활동 사항]

김홍복은 1672년(현종 13) 별시에 급제하였다. 하지만 이후 박태두(朴泰斗)의 상소 사건에 연루되어 처벌받아 1681년(숙종 7)까지 대과에 응시하지 못하였다. 1682년(숙종 8) 춘당대문과 병과로 급제하여 춘추관기사관(記事官) 등을 거쳤다. 1683년(숙종 9) 예문관봉교에 제수되었지만 노론을 비판하는 연서 사건에 휘말려 파직되었다. 1686년(숙종 12) 문과 중시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0월 사간원정언이 되었고, 11월 병조좌랑이 되었다. 1687년(숙종 13) 지평에 제수되어 도당록(都堂錄)에 올랐다. 1688년(숙종 14) 소론을 지지하다 파직당하나 8월 장렬왕후(莊烈王后)의 사망으로 9월 고부사(告訃使) 서장관에 임명되어 청나라에 다녀왔다. 1694년(숙종 20) 황해도관찰사에 임명되었으며, 승지·예조참의·대사간 등을 역임하였다. 1698년(숙종 24) 6월 29일 사망하였다. 양주[현 남양주] 묘적산(妙寂山)에서 장사지냈다.

[학문과 저술]

김홍복의 시문집 『동원유고(東園遺稿)』는 7권 2책으로 필사본이다. 김홍복 사후 200여 년 지나서 후손 김현진(金顯眞)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순익(李淳翼)의 서문과 권말에 이기종(李起鍾)의 발문이 있다. 권1에는 시 331수가 실려 있으며, 권2는 『정련록(鼎聯錄)』이라 하여 박태순·이현의 시 56수가 수록되어 있다. 권3에는 제문 8편·축문 11편 등이 있고, 권4에 소 32편·계문 16편 등이 실려 있으며, 권5에 묘표 3편·표지 8편 등이 있다. 권6은 『연행일기(燕行日記)』이며, 권7은 부록으로 세계 등이 수록되어 있다.

[묘소]

김홍복의 묘는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율석리 산193-3번지에 있으며, 부인 고령 신씨와의 합장묘로 서쪽을 바라보고 있다. 봉분 우측에는 1716년(숙종 42) 세운 묘표가 있다. 비 전면에는 ‘조선국사간원대사간지제교김공홍복지묘(朝鮮國司諫院大司諫知製敎金公洪福之墓) 증정부인고령신씨부좌(贈貞夫人高靈申氏祔左)’라고 새겨져 있는데, 비문은 최규서(崔奎瑞)가 전(篆)하고 이덕성(李德成)이 서(書)하였다. 묘역 아래의 묘갈도 1716년(숙종 42) 세워졌다. 비 상단에는 ‘사간원대사간지제교김공묘갈명(司諫院大司諫知製敎金公墓碣銘)’이라고 횡서하였으며, 비제는 ‘조선국통정대부사간원대사간지제교김공묘갈명 병서(朝鮮國通政大夫司諫院大司諫知製敎金公墓碣銘 并序)’이다. 비문은 영의정 최석정(崔錫鼎)이 썼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