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성주 모시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501837
한자 城主-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제
지역 경상북도 청도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윤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가신 신앙
의례 시기/일시 시월상달
신당/신체 시주단지|고깔 모양으로 접은 한지

[정의]

경상북도 청도군에서 집을 지켜 주는 수호신인 성주를 모시는 의례.

[개설]

성주(城主)는 가신(家神)의 하나로 성(城), 곧 담 안의 주인이라는 의미이다. 집을 성조(成造)라고 하여 성조신(成造神)이라고도 부른다. 주로 집의 건물을 보호하는 신을 지칭하며 특별한 형태가 전해지지는 않는다.

[연원 및 변천]

성주는 집을 짓고 나면 좌정하는 신이라 믿고 있으며 지역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기는 하나 성주가 임하는 곳은 안채만이 아니고 사랑채나 대문채, 헛간 등에도 성주가 있어 건물을 지키는 기능을 하고 있다. 집의 형태야 어떠하든 관계없이 가정집뿐만 아니라 독립적인 신당(神堂)과 배[船] 같은 곳에도 성주가 있다고 믿는다. 청도군에서 언제부터 성주를 모셨는지는 알 수 없으며, 청도군 역시 논농사를 짓기 시작한 시기부터 성주가 생겼을 것으로 추정된다.

[신당/신체의 형태]

성주의 실체는 정해진 것은 없다. 본래 보이지 않는 상징적인 존재로서 성주는 개인 또는 가정에 따라서 그 형태가 달라진다. 먼저 집을 지을 때 모시는 성주의 형태는 글이 대신한다. 이때 글에는 구(龜) 또는 용(龍) 자를 쓴다. 또한 집을 지을 때 대들보가 되는 것을 ‘성주 기둥’이라 지칭한다. 금천면 임당리에서는 집의 대들보를 성주 기둥이라 부르며, 정월 대보름 때 성주 기둥에 올리는 밥을 성주 기둥 밥이라 부른다.

가정에서 일상적으로 모시는 성주의 신체는 시주단지라고도 불리는 작은 단지의 항아리로서 내부에는 햅쌀이 들어 있다. 개인에 따라서는 한지로 고깔 모양을 접어 대들보에 묶어 두기도 한다. 청도군에서는 성주의 형태는 시주단지라 불리는 항아리와 고깔 모양 한지 모두가 나타난다. 지역에 따라서는 성주가 추수한 벼의 형태를 띠기도 하는데, 풍각면 성곡리에서는 가을에 추수한 햇벼 중 가장 좋은 것을 골라서 대들보에 걸어 두는데 이때 성주는 햇벼가 된다. 매전면 장연리 장수골에서 성주는 세존 또는 세존단지로 불리며 단지 안에 햇곡식을 담고 그 위를 한지로 밀봉한 다음 실타래를 올려 둔다. 이 실타래는 자손의 수명을 의미하는 것으로, 실타래가 오래되어 더러워지면 바꿔 주는데 이때 헌 실타래는 옷을 짓거나 이불을 꿰매는 데에 사용한다.

[절차]

성주는 집을 짓고 새로 들어갈 때 모시려는 ‘성주받이굿’이 있으며, 또는 개인적으로 성주를 모시려는 행위가 있다. 보통 집을 짓고 새로 입주하기 전에 무당을 불러 성주받이굿을 행하고 성주를 모시는 행위를 행한다. 또한 일상적으로 성주에게는 가을 첫 햇곡식이 출하될 때 가정 내에서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며 간단한 제의를 올린다. 이때 성주 모시기를 통하여 항아리 안의 곡식을 햇곡식으로 교체하고 간단한 제사상으로 가정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한다.

[현황]

청도군에서 성주는 조상 단지 또는 시주단지의 형태로 많은 부분 유지되고 있다. 각북면 우산리에서는 햇곡을 장만하면 시주단지에 햇쌀을 담고 간단하게 제사를 올린다. 풍각면 흑석리에 사는 박씨는 부산에서 살다 귀향하여 살고 있는데 지금까지 성주신을 모시지 않았는데 큰집에서 하는 것을 보니 우리도 하고 싶다고 하여 새로 구입한 집에 성주단지를 모시고 매년 10월달에 제사를 지낸다고 한다.

성곡리에서는 시월상달이 되면 가을에 나온 햇곡식으로 성주신에게 제의를 올리고 내부 곡식을 교체하는 의례를 올린다. 시주단지를 교체할 때 떡과 밥, 나물로만 상을 차리고 생선과 같이 비린내가 나는 것은 올리지 않는다. 모시던 시주단지를 없을 때에는 좋은 날을 받아 성주에게 “좋은 곳으로 가이소.”라고 하면서 물에 떠내려가게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