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설이타령」[동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21274
한자 却說-打令[東區]
영어공식명칭 Beggar’s Song (Traditional Korean Ballad)
이칭/별칭 장타령,각설이장타령,각서리타령,품바타령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대구광역시 동구 평광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서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지 각설이타령[동구] - 대구광역시 동구 평광동 지도보기
가창권역 각설이타령[동구] - 대구광역시 동구 평광동
성격 유희요
토리 메나리토리
출현음 미·솔·라·도·레·미·솔
기능 구분 유희요|숫자풀이요
형식 구분 독창|제창
박자 구조 2소박 4박
가창자/시연자 송문창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 평광동에서 불리는 각설이패의 노래.

[개설]

「각설이타령」은 각설이들이 장터 등을 돌아다니며 걸식을 할 때 부르는 노래이다. 일명 「장타령」이라고도 하며 가사에는 주로 장풀이, 숫자풀이, 국문뒤풀이, 투전풀이, 화투뒤풀이 등이 있다. 선율은 대부분 메나리토리로 구성되어 있어 경상도 지역이 주된 발생지로 짐작된다.

[채록/수집 상황]

「각설이타령」[동구]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왕실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 내 한국민요대관에 음원이 수록되어 있다. 채록일은 정확하지 않으나 가창자는 권오경과 김기현으로 기재되어 있다.

[구성 및 형식]

「각설이타령」[동구]은 독창으로 부르기도 하지만, 주로 각설이패가 함께 부르기 때문에 제창형식으로 보아야 한다.

[내용]

대구광역시 동구 평광동「각설이타령」[동구] 사설은 주로 숫자풀이요의 내용이다.

에-일자나 한자나 들고나보니/일일 연에도 꽃이 피어 만경장판에 화초로다

이자나 한자나 들고나보니/이팔의 청춘 소년 몸이 백발 되기가 잠깐이다

삼자나 한자나 들고나 보니/삼정구리 놋숫대 정승 감사가 가자든다

사자나 한자나 들고나 보니/사자행차 떠날 때 점슴참 들어온다

오자나 한자나 들고나 보니/오가나 간지 별가지/칼연아 끝에나 춤추다가 진주나 낭강에 떨어졌네

육자나 한자나 들고보니/육군아 말을 높이 타고 제갈선생을 찾아간다

칠자나 한자나 들고나 보니/일칠칠칠 야밤중에 밤중 새별이 완연하다

팔자나 한자나 들고보니/우리야 형제 팔형제/한서당에 글을 놓아 과거 하게만 힘씨자

구자나 한자나 들고나 보니/구구청산아 늙은 중 염주를 목을 걸고/밥업대를 손에들고 골짜골짜 들어간다

장자나 한자나 들고나 보니/작은나 솥에 범 들어 일등 포수 다 모아도/젖통 한통 바칠라다가 졸기 한찰만 맞았네

얼씨구나 들어간다 절시구나 들어간다

금년에 왔던 이 각설이가 죽도 아니하고 또 왔네/어제 장에는 비가 오고 그저께 장에는 눈이오고/오늘 장에는 내가 왔네

한 줌의 곡식을 아지를 말고 사람의 사정을 알아주소

[현황]

현재 「각설이타령」은 각설이패가 아닌 공연팀이 공연이나 행사에서 흥을 돋우기 위해 부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선율이나 리듬이 따라부르기 쉽고 흥겹기 때문에 시대가 바뀌어도 잊혀지지 않고 있다.

[의의와 평가]

대구광역시 동구 평광동「각설이타령」[동구]은 여러 가지 사설 중에서도 숫자풀이요에 해당하며 그 사설도 온전하게 갖추어져 있다. 음악적으로는 각설이타령의 전형적인 선율인 메나리토리로 구성되어 있어 그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