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포천묘사우음」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001961
한자 抱川墓舍偶吟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경기도 포천시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이병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633년 - 「포천묘사우음」 저자 이민서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688년 - 「포천묘사우음」 저자 이민서 사망
배경 지역 이민서 묘소 -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 음현리 산22
성격 한시
작가 이민서

[정의]

조선 후기 이민서가 포천의 묘사에서 우연히 지은 칠언 율시의 한시.

[개설]

「포천묘사우음(抱川墓舍偶吟)」은 조선 후기의 문신 서하(西河) 이민서(李敏敍)[1633~1688]가 포천 선영에 들렀을 때 묘사(墓舍)에서 뜻하지 아니하게 지은 한시이다.

이민서의 자는 이중(彛仲)이고, 호는 서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영의정을 지낸 이경여(李敬輿)[1585~1657]의 아들로 김수항(金壽恒)[1629~1689], 신정(申晸)[1628~1687], 이익상(李翊相)[1625~1691] 등과 교유했다. 1650년(효종 1)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며, 1652년(효종 3) 증광 별시 문과에 을과로 합격하였다. 그 후 나주 목사, 고양 군수, 광주 목사를 거쳐 1680년(숙종 6) 승지, 대사간이 되었다. 그 외에도 함경 감사, 대제학, 대사헌, 이조 판서, 예조 판서, 호조 판서, 형조 판서 등을 지냈다. 사후에 포천 선영에 묻혔다.

「포천묘사우음」이민서의 문집 『서하선생집(西河先生集)』 권(卷) 5에 실려 있다. 『서하선생집』은 원집 17권, 부록 합 8책으로 되어 있다. 권 1~5는 사(詞) 2수, 부(賦) 7수, 시(詩) 481수, 악장(樂章) 1수 등이 수록되어 있다. 사는 김수항의 딸에 대한 애사 등이고, 시는 오언과 칠언의 고시, 절구, 율시, 배율로 시체별로 분류하고 각기 연대순으로 편차하였다.

[내용]

고산송회울창창(故山松檜鬱蒼蒼)[고향 산에는 소나무와 전나무가 울창한데]

수식도괴이십상(手植桃槐已十霜)[손수 심은 복숭아와 느티나무도 이미 10년을 지냈네.]

인사자연다감개(人事自然多感慨)[인간사 자연히 감개할 일이 많으니]

야정종차막괴장(野情從此莫乖張)[초야에 살고픈 마음, 이로써 펼치려 하네.]

독련곡리연류수(獨憐谷裏涓流水)[홀로 가엾도다. 골짜기 속에 졸졸 흐르는 물이여.]

신축암변구미당(新築巖邊苟美堂)[바위 위에 새로 지은 집은 진실로 아름답네.]

감괴린옹래문신(堪愧隣翁來問訊)[찾아온 이웃집 노인의 안부 인사에 부끄러우나]

백두유미사주행(白頭猶未謝周行)[백발이 되어도 주행(周行)을 그만두지 못하네.]

[특징]

이민서는 주로 파주의 교하에 우거했지만, 「포천묘사우음」은 포천의 선영에 들렀을 때 지은 시이다. 자연과 더불어 천하를 유유자적하고자 하는 마음을 읊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민서는 포천에 부친 이경여를 비롯한 선영이 있었기에 자주 찾았을 것으로 짐작되는데, 김수항과의 특별한 교분도 이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이밖에도 조상의 선영을 찾아 읊은 비슷한 제목의 오언 율시[「포천묘하우음(抱川墓下偶吟)」] 2수도 전해지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