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900459
한자 陶山石室閭·孤松五柳門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 산5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선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조선 후기 - 도산석실려·고송오류문 건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9년 1월연표보기 - 도산석실려·고송오류문, 고송오류문 발견
현 소재지 도산석실려·고송오류문 건립 -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 산5 지도보기
성격 비석
관련 인물 김수증|김광찬

[정의]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 석실마을에 있는 조선 후기 도산정사 입구에 세운 비.

[개설]

도산석실려·고송오류문(陶山石室閭·孤松五柳門)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 석실마을 도산정사(陶山精舍)의 입구에서 출입처의 기능을 하던 입석이다. ‘도산(陶山)’과 ‘오류(五柳)’라는 명문은 모두 도연명(陶淵明)[365~427]과 관련 있는 내용으로 추정된다.

[건립 경위]

도산석실려·고송오류문김상헌(金尙憲)[1570~1652]의 사손(嗣孫)인 김수증(金壽增)[1624~1701] 등이 아버지 김광찬(金光燦)[1597~1668]을 위하여 1668년(현종 9) 재사(齋舍)와 거소(居所)의 기능을 지닌 도산정사를 세울 때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위치]

도산석실려·고송오류문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 산5번지에 있다.

[형태]

도산석실려·고송오류문의 재질은 돌이다. 도산석실려는 받침돌과 사각기둥 모양의 비신(碑身)으로 되어 있으며, 고송오류문은 도산정사의 입구에 세워져 있었던 2기 중 1기로 돌기둥[석주(石柱)] 형태이다.

[금석문]

도산석실려는 비의 앞면에 ‘도산석실려(陶山石室閭)’라고 새겨져 있으며, 고송오류문은 비의 앞면에 ‘고송오류문(孤松五柳門)’이라고 새겨져 있다.

[현황]

도산석실려는 근처 밭에서 옮겨 놓은 것으로 전하고 있어, 현재 세워진 곳이 원래 위치가 아닌 것으로 파악된다. 고송오류문은 분실되었던 것을 1999년 1월 발견하였는데, 중간 부분이 부러지고 받침돌은 찾지 못한 상태이다.

[의의와 평가]

도산정사는 석실정사(石室精舍)와 함께 석실 안동 김씨(安東金氏) 집성촌의 기원이 되는 건물이지만 현재 남아 있지 않으나 도산석실려·고송오류문을 통하여 흔적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