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수굿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901261
한자 財數-
영어공식명칭 Jaesugut
분야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의례/제
지역 경기도 남양주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효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무속 의례
의례 시기/일시 봄|가을|정초|집안에 우환이나 불행이 반복되는 경우

[정의]

경기도 남양주시에서 가정의 액을 막고 재수와 재복을 기원하고자 벌이는 굿.

[개설]

재수굿은 집안에 재수가 형통하기를 빌며 벌이는 무속으로, 경기도 남양주시에서는 일반적으로 봄가을, 또는 정초에 행하며, 집안에 우환이 생기거나 불행한 일이 자꾸 일어날 경우에도 특별히 행한다. 현재는 정기적인 재수굿보다는 집안에 우환이 생겼을 경우 행하는 재수굿이 일반적이다. 재수굿 하는 날짜는 주로 강신무인 무당이 길일을 따지는 생기복덕을 가려 날을 골라 잡은 뒤에, 굿을 의뢰한 집에 알려 준다.

[절차]

한반도 중부형 재수굿의 일반적인 절차는 열두 가지 순서로 이루어지기에 열두거리라고도 한다. 가장 먼저 굿을 하기에 앞서 부정을 치는 ‘부정’으로 신을 맞을 준비를 하며, 제일 먼저 맞이하는 신격인 ‘가망’, 조상신을 모시는 의례인 ‘말명’, 산신을 의미하는 ‘산마누라’, 천연두신 또는 사도세자를 모시는 ‘별상’, 재수와 집안에 이익을 주는 대감신을 모시는 ‘대감’, 복을 주는 불교적인 신 ‘제석’, 처녀신 ‘호구’, 액을 막는 장수신 ‘군웅’, 가신인 ‘성주’, 열두 달의 액을 막는 광대신 ‘창부’ 등을 차례대로 부르며, 마지막으로 모든 신을 보내는 동시에 굿에 따라온 잡귀들을 풀어먹이는 ‘뒷전’ 순으로 진행된다.

[현황]

경기도 남양주시 지역의 재수굿은 경제적 여유가 있는 집안에서 친족과 이웃을 모두 청하여 잔치처럼 치르는 경우가 많았다. 신과 인간을 고루 대접함으로써 집안의 안녕함과 길복을 유지하고자 했던 것이다. 하지만 사회의 변화로 최근에는 재수굿의 수요가 급격히 줄어들어 형편이 넉넉한 가정 외에는 재수굿을 하지 않아 점차 사라지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