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901335
한자 言語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경기도 남양주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경화

[정의]

경기도 남양주시에서 사용되는 언어 체계.

[개설]

언어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변화한다. 시간의 흐름이나 지역과 사회의 특성이 언어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데 이렇게 변화한 언어를 방언[사투리]이라고 말한다. 하나의 언어에 속하는 방언은 기본 문법은 동일하지만 어휘, 음운, 문법에 있어서 차이가 발생한다. 방언 중 특정 공간을 단위로 분화된 방언을 ‘지역 방언’이라고 한다. 경기도 남양주시 지역에서 전승되는 방언은 넓게는 서울, 경기도, 충청도, 강원도에서 쓰이는 중부방언에 속하며, 좁게는 서울을 중심으로 하는 경기도에서 쓰이는 경기도 방언에 해당한다. 경기도 방언의 경우 중앙 언어로서의 지위를 가지기 때문에 여타 방언과 달리 특징이 두드러지지는 않는 편이다.

[남양주시 방언의 성격]

경기도 남양주시는 불암산(佛巖山)수락산(水落山)을 경계로 하여 서울특별시에 닿아 있고, 축령산(祝靈山)을 사이에 두고 경기도 가평군에 닿아 있으며, 한강(漢江)을 사이에 두고 경기도 광주시, 양평군과 접하여 있다. 남양주시는 지리적으로 인접하기 때문에 서울특별시의 정치, 문화, 경제적 영향권 아래에 있다. 또 도로와 철도가 발달하여 강원도와의 교류가 많았다. 남양주시는 경기도에 속하는 한편 지리적 특성으로 인하여 서울특별시와 강원도 등 인근 지역과의 활발한 교류가 있었다. 남양주 지역의 방언은 이러한 지리적 특성 속에서 형성되었다.

[남양주시 방언의 특징]

1. 음운적 특징

경기도 남양주시의 언어에서 관찰되는 자음과 자음 사이의 음운 현상은 다음과 같다.

두 자음이 인접할 때 어느 한 자음이 다른 자음의 영향을 받아 동일하거나 유사한 자음으로 바뀌는 자음동화가 나타난다. 남양주시에서 관찰되는 자음동화의 예시로는 '낮부터[나뿌터]', '밭까지[바까지]', '꽃만[꼰만]' 등이 있다.

'ㄴ'이 'ㄹ'을 만나 'ㄹ'로 바뀌는 유음화도 관찰된다. '끓는다'는 '끌른다'로, '흝는다'는 '훌른다'로 발음하는 것이 예이다.

또 'ㅂ, ㄷ, ㄱ' 뒤와 평폐쇄음화로 생긴 'ㅂ, ㄷ, ㄱ' 뒤에서 경음화가 나타난다. 남양주시에서 관찰되는 경음화는 어두 경음화, 폐쇄음 뒤 경음화, 비음 뒤 경음화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어두 경음화의 예시로는 '당기다[땡기다]', '개구리[깨구리]'가 있으며, 폐쇄음 뒤 경음화의 사례로는 '사닥다리[새닥따리]'가 있다. 마지막으로 비음 뒤 경음화로는 '논두렁[논뚜렁]', '눈곱[눈꼽]'이 있다.

남양주시에서 관찰되는 모음과 모음 사이의 음운 현상은 다음과 같다.

용언 어간말의 '이' 와 '우/오'에 '어/아'가 뒤따라오면 모음이 반모음으로 바뀌는 반모음화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기어서'는 '겨서'로, '지어서'는 '져서'로 발음된다.

또 'ㅟ'와 'ㅚ', 'ㅙ'의 발음이 변하거나 단모음화되는 사례를 빈번하게 발견할 수 있다. 명사 2음절 이상에서 자음 뒤에 오는 'ㅟ'와 'ㅝ'는 'ㅜ'로 변한다. '너럭바위'는 '너럭바우'로, '까마귀'는 '까마구'로, '꿩'은 '꽁', '꿩알'은 '꽁알'로 발음한다.

한편 단모음화되는 경우도 있는데, '갈퀴'를 '갈키', '꽹과리'를 '깽가리', '따귀'를 '따기'나 '때기'로 발음한다.

마지막으로 모음과 자음 사이에 나타나는 음운 현상으로는 움라우트(Umlaut)가 있다. 움라우트는 선행 음절의 모음이 후행 음절의 전설모음에 의하여 전설모음으로 동화되는 음운 현상을 말한다. 남양주시에서는 '으'가 '이'로, '어에', '이'가 '애'로, '우'가 '위'로, '오'가 '외' 대응으로 실현된다. 예를 들어 '스물'은 '시물'로, '별명'은 '벨명'으로, '남편'은 '냄편'으로, '구경'은 '귀경'으로, '고기'는 '괴기'로 발음된다. 이와 같은 움라우트 양상은 경기도 방언에서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현상이다.

2. 문법적 특징

남양주시의 방언에서는 파생어가 형성될 때 '어근+접사형'에서 '-앙이형'이 자주 발견된다. 사례로는 '고삐'를 '고뺑이'로, '토끼'를 '토깽이'로, '새끼'를 '새꾸랭이'라고 지칭하는 것 등이 있다.

또 파생어 형성 시에 음절이 늘어나는 형태도 자주 발견된다. '수채'를 '수채꾸먹'으로, '처마'를 '초마끝', '궤'를 '궤짝'이라고 말한다.

3. 어휘

하나의 어형은 개별의 역사를 갖고 변화하기 때문에 남양주시의 방언 중 그 특징이 가장 두드러지는 것이 바로 어형이다.

남양주시의 특징적인 어형으로는 '밤나무[밤남구]', '꼬랑지[꾸랑이]', '맹꽁이[맹깽이]', '막내딸[막나딸]', '계집[기집]', '흙[헑]', '맞은쪽[맞은짝]', '서울[소올/소울]', '자국[자죽]', '장난[장냥]', '힘[심]', '거시기[거시키]', '낱개[낱기]', '마지기[마지키]', '하나[한나]', '셋[싯]', '스물[시물]', '여덟[야달/에델]', '열[엘]', '일곱[일굽]', '결심하다[결심먹다]', '빌려쓰다[읃어쓰다]', '평평하다[팬팬하다]', '망하다[망해다]' 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