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501507 |
---|---|
한자 | 晉州河氏 |
영어음역 | Jinju Hassi |
영어의미역 | Jinju Ha Clan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성씨/성씨 |
지역 | 전라남도 진도군 |
집필자 | 김정호 |
세거지 | 전라남도 진도군 고군면 향동리 |
---|---|
집성촌 |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삼막리|고군면 향동리 |
입향시기/연도 | 1550년대 |
성씨시조 | 하진(河珍)|하공진(河拱辰) |
입향시조 | 하린(河潾) |
전라남도 진도군의 세거성씨 중 하나.
진주하씨는 하진(河珍)을 시조로 하는 사직공파(司直公派)와 하공진(河拱辰)을 시조로 하는 시랑공파(侍郞公派)가 있다. 하진은 고려 정종(1034~1046)대와 문종(1046~1083)대에 사직 벼슬을 하였다. 하공진은 진주 출생으로, 고려 현종 때 상서공부시랑을 지냈는데 거란의 침입이 있었을 때 거란군에게 잡혀갔으나 끝까지 굴복하지 않고 요(遼)나라 왕 성종(聖宗)의 국문을 받고 항사(抗死)했다.
하진으로부터 17세손인 하린(河潾)은 당시 진도 최대 토반이었던 창령조씨 조중문(曺仲文)의 사위가 되면서 진도로 들어와 정착하게 되었다. 진도의 진주하씨는 입향시조인 하린(河潾)의 할아버지 하숭리(河崇理)[?~1543]가 통덕랑벼슬을 지냈기 때문에 통덕랑공파(通德郞公派)라고 불리기도 한다. 하숭리의 아버지인 하주(河澍)는 전라북도 정읍에 살다가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으로 옮겨 살았다. 그 뒤 하숭리의 손자 하린(河潾)이 진도에 정착하면서 진도의 명문 가문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하린은 하세청(河世淸)·하세담(河世淡)·하세징(河世澄) 등 세 아들을 두었는데, 그 중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삼막리 지역에 자리 잡은 하세담의 후손들이 가장 번성했으며 임회면의 중매리와 봉상리에도 후손들이 살고 있다.
또한 하린의 숙부 하익창(河益昌)[1495~1557]의 후손들이 전라남도 진도군 고군면 향동리 지역에 세거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흔히 고군 향동파라 불린다.
진주하씨는 2004년 말 기준으로 진도에 166가구가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하린의 아버지 하극창(河克昌)의 묘가 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 정거름재에 있다. 하극창의 동생 하익창의 묘는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데, 이것으로 보아 하린이 진도에 들어와 살면서 아버지 하극창의 묘를 진도로 옮긴 것으로 짐작된다.
진주하씨의 사우(祠宇)로,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호구리에 보은사(報恩祠)가,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삼막리에 원모사(遠慕祠)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