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만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900706
한자 朴壽萬
영어공식명칭 Park Suman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경기도 남양주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조형열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97년 1월 4일연표보기 - 박수만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19년 3월 15일 - 박수만 경기도 양주군 와부면 3·1운동 참여
활동 시기/일시 1919년 4월 25일 - 박수만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8월 선고
몰년 시기/일시 1980년 8월 12일연표보기 - 박수만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92년연표보기 - 박수만 대통령표창 추서
추모 시기/일시 1994년 - 3·1의거 애국선열 추념탑 및 용진 3·1의거 기념비 건립
출생지 송촌리 -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송촌리 지도보기
활동지 조안리 -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조안리 지도보기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 경력 3·1운동

[정의]

경기도 남양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개설]

박수만(朴壽萬)[1897~1980]은 1897년 1월 4일 현재의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송촌리에 해당하는 경기도 양주군 와부면 송촌리에서 태어났으며, 송촌리에서 3·1운동에 참여하였을 당시 농업에 종사하였다.

[활동 사항]

지금의 경기도 남양주시 일대를 포함한 경기도 양주군에서의 3·1운동은 각 면 단위에서 거의 빠짐없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이 가운데 경기도 양주군 와부면 송촌리·덕소리 일대의 독립 만세 시위는 1919년 3월 15일에 터져 나왔다. 서울에서 3·1운동이 시작되었다는 소식이 들려오고 독립선언서의 내용이 알려지자, 이를 접한 용진교회(龍津敎會)의 교인들이던 이정성(李正成)[1878~1948]·김춘경(金春經)[1894~1952]·김현모(金顯模)[1878~1938] 등은 용진교회가 1914년 설립한 사립 경진학교(敬進學校)의 교사·학생들과 함께 태극기를 만드는 등 독립 만세 시위를 계획하였다.

이정성 등은 1919년 3월 15일 아침 송촌리 마을 주민들을 집결시키는 한편, 시위 대열을 이끌 적극 가담자들을 규합하여 나갔다. 그리고 이정성 등은 시위 대열을 이끌고 사전 제작한 태극기를 앞세운 채 송촌리를 비롯한 인근 주민 100여 명을 규합하여 태극기를 들고 독립 만세를 부르면서 현재의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에 해당하는 경기도 양주군 와부면 덕소리를 향하여 행진하였다. 박수만은 이 과정에서 문광채(文光彩)[1861~1919]·전태현(全泰鉉)[1888~?]·김현유(金鉉有)[1881~1942]·박경식(朴景植)[1882~?], 이내한(李來漢)[1893~1954] 등과 주도적으로 시위에 참여하여, 시위 대열을 경기도 양주군 와부면 조안리[현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조안리] 방향으로 이끄는 데 힘썼다.

독립 만세 운동은 시위가 전개될수록 점차 격렬해졌다. 시위대는 일제 침략의 말단 기구인 헌병 주재소를 습격하였고, 이에 일본 헌병은 시위대에 대한 발포로 탄압하였다. 박수만은 시위 이후 이정성 등과 함께 체포되어 1919년 4월 25일 경성지방법원에서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8월을 선고받았다. 박수만은 법정에서 자신에 대한 행형이 잘못되었다고 호소하며 함께 구속된 17인과 한꺼번에 공소하였으나 1919년 5월 31일 경성복심법원에서 기각되었고, 다시 상고하였으나 1919년 7월 5일 고등법원에서도 기각되어 8월 형이 확정되었다.

박수만은 1980년 8월 12일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박수만에게 1992년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다. 지금의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송촌리에서 시작된 독립 만세 운동과 여기에 동참한 박수만 등의 인물을 기념하고자 1994년 남양주시 조안면 송촌리3·1의거 애국선열 추념탑과 용진 3·1의거 기념비를 건립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