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현지(顯之), 호는 신안(新安), 시호는 혜평(惠平). 경상남도 산청 출신으로 강흥국(姜興國)의 증손이며, 할아버지는 강행(姜行)이고, 아버지는 강문회(姜文會)이며, 어머니는 김윤(金允)의 딸이다. 1513년(중종 8)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517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때 김안로(金安老)의 간사(奸邪)를 논핵하는 대간들의...
-
조선후기 진도의 관인. 1803년 진도군 군내면 용장리에서 태어났다. 자는 내현(乃現), 호는 소매(小梅)이다. 진도군 군내면 집강(현재 면장)을 두 차례 지냈고, 집강을 지낸 후에는 향청에서 가장 높은 직임인 좌수를 두 차례 지냈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현풍(玄風). 진도 출신이다. 아버지는 곽민제(郭岷薺)이고 어머니는 이(李)씨로, 곽천중이 벼슬에 오른 뒤 1714년에 각각 자헌대부 공조판서겸오위도총부도총관과 정부인(貞夫人)에 증직되었다. 1707년(숙종 33) 무과 중시병과에 합격하여 군사 요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1728년(영조 4)에 일어난 이인좌의 난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워 원종공신이 되었다....
-
1791년부터 1794년까지 진도군수를 지낸 조선후기 무신. 정조 연간에 장연현감, 훈련원부정(訓鍊院副正), 선전관, 진도군수, 금위영 낭청을 역임하였다. 순조 연간에는 공청도 수군절도사를 지냈다. 다산 정약용과 교유하였다. 구강은 제223대 진도군수인데, 진도군수로 있던 1793년(정조 17)에 흉년이 심하게 들었다. 이에 조정에서는 전라도 전역에 번(番)의 정지, 대동(大同)...
-
조선 중기의 무신. 조선중기 선조 대부터 효종 대까지 활약한 무신으로, 1437년(세종 19) 진도 설군 이후 제105대 진도군수로 1621~1623년까지 재임하였다. 본관은 능성(綾城). 자는 중재(仲載), 호는 유포(柳浦). 증조는 능성군(綾城君) 구순(具淳), 할아버지는 좌찬성 구사맹(구思孟), 아버지는 대사성 구성(具宬)으로 인조의 외종형이다. 어머니는 별좌 정억령(鄭億齡)...
-
고려전기 개국공신. 본관은 진도. 진도김씨 시조 김국빈(金國儐)의 23세손이다. 아버지는 김강수(金康水), 어머니는 화산백(白)씨이다. 부인은 중원지(池)씨이고 아들은 김구석(金九碩)이다. 김경호는 왕건이 나주를 공략하기에 앞서 진도를 칠 때 왕건에 협력한 공으로 939년 옥주후(沃州侯)에 봉해졌다. 그는 가족들과 함께 개경(開京)으로 이거하여 살게 되었다. 큰아들 김구석(金九碩)...
-
조선후기 진도 출신의 무신 본관은 김해. 자는 군보(君寶)이고 호는 남정(南亭)이다. 김해김씨 경파로 진도 입도조 12세손이다. 아버지는 김구성(金九成)이다. 1699년 진도군 임회면 송정에서 김구성(金九成)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1735년 무과에 급제해 수문장을 시작으로 훈련주부, 판관, 우후를 역임하였다. 1756년에 , 1765년에 웅천현감, 김해진관 병마절제사를 지낸 뒤...
-
고려 후기의 무장(武將)·정치가. 김방경은 고려 후기의 무신으로서 대몽항쟁의 주력인 삼별초(三別抄)를 진압했고, 원의 일본 정벌 때 고려군을 이끌고 출정했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본연(本然). 신라 경순왕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병부상서·한림학사를 지낸 김효인(金孝印)이다. 김방경은 첫 부인으로 박익정(朴益旌)의 딸을 맞이하였다. 기거랑지제고중서사인을 지낸 박익정은 무인 집권...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김해, 초명은 익천(益千), 김해김씨 경파(京派) 입향조 김가우(金嘉佑)의 손자다. 아버지는 김중연(金仲淵)이고 어머니는 원주이씨이다. 부인은 진주강씨 강태망(姜泰望)의 딸이며, 부인과의 사이에 아들 4형제를 두었다. 1437년 진도가 해진군에서 분리되어 군으로 설치될 때 아버지 김중연과 함께 읍성 건설과 향교 건축에 공헌했다. 묘소는 전라남도 진도군 의...
-
조선 전기의 무신. 만호(萬戶)란 고려 충렬왕 때 원나라 제도를 본 딴 무관직으로 조선시대에도 사용되었다. 조선초기에는 만호는 3품관이었으나 성종 때 이르러 종4품관으로 2품계가 떨어졌다. 고려말 왜구의 분탕질을 피해 진도 군민들은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을 거쳐 해남군 삼산면에 옮겨와 살고 있었다. 진도의 군민들은 내지에 옮겨가 있었지만, 군사적인 면에서는 진도가 중요했으므로 군사...
-
조선 말기의 관리. 본관은 김해. 호는 염와(念窩). 사마랑 김연(金鍊)의 15세손이고 가선대부 김선득(金善得)의 현손이다. 할아버지는 장사랑(將仕郞) 김인수(金璘琇)이고 아버지는 감찰 김긍묵(金肯默)이다. 1865년(현종 6) 8월 21일에 태어나 전라남도 진도군 부내면 동현리에 살았다. 무과에 합격한 후 무직을 두루 거쳤다. 지방위원, 영암군수, 진도군 공립보통학교 사무원, 진...
-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김해. 시조는 김국빈이다. 증조부는 54세손인 김중여(金重呂)이고 아버지는 김가우(金嘉佑)이다. 김중여는 아들 김가우와 함께 전라남도 장흥군 장택에서 살다가 진도로 건너왔다. 형은 김백균(金百均)[1412~1474]이다. 부인은 창녕조씨이다. 1413년에 태어났다. 창녕조씨 조성하(曺成夏)의 사위가 되어 고군면에 정착하였다. 진사 시험에 합격한 뒤 관직이...
-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김해. 자는 집성(集成). 1569년 전라남도 진도군에서 부친 김견과 모친 창녕조씨 사이에서 3남 중 장남으로 태어나 아버지 형제 중 둘째인 김환(金環)의 양자로 입적됐다. 진도 창읍 때 공을 세운 김석곤(金碩崑)의 현손이며, 명량대첩에서 순절한 조응량(曺應亮)이 사촌 처남이기도 하다. 부인은 남양이씨 이귀영(李貴榮)의 딸로, 2남 3녀를 두었다. 159...
-
조선 중기의 무신. 제59대 진도군수로 부임하여 1553년(명종 8)부터 1554년(명종 9)까지 재임하였다. 아들은 김호(金琥)이고, 증손은 영조 때 문과에 급제한 김종수(金宗洙)이다. 진도군수로 있던 1554년(명종 9) 6월에 흑산도에서 왜인을 잡아 참하고 그 배를 나포하는 데 큰 공을 세워 상을 받았다. 1555년(명종 10) 5월 군관으로 있다가 왜구의 침입이 심한 전라도...
-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후찬(厚贊). 진도군 진도읍 매향동에서 2남 중 큰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평택군수를 지낸 김인경(金仁慶)이고 어머니는 은진송씨이다. 김수생은 전주이씨와의 사이에 아들 김름(金澟)을 두었다. 김름은 음직으로 삼화부사(三和府使)를 지냈다. 그 후손들은 해남으로 옮겼기 때문에 진도에는 후손들이 없다. 김수생은 종6품인 훈련원 주부를 지냈...
-
조선 후기의 무신. 1736년(영조 12)~1739년(영조 15)의 3여 년간 제184대 진도군수로 재임하였다. 본관은 안동. 할아버지는 김광국(金光國)이다. 아버지는 이인좌의 난 진압의 2등 공신 언성군(彦城君) 김중만(金重萬)이다. 진도군수로 재임 중인 1738년(영조 14)에 전라도 남부 지방의 수령 등과 연명하여 흉년이 들어 심각한 상황임을 전하고 사창(社倉)에서 백성들에게...
-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도(凊道). 초명은 중룡(仲龍). 고려시대 시중(侍中)을 역임한 김여흥(金餘興)의 셋째 아들로 청도김씨의 시조이다. 선계(先系)는 김알지(金閼智)라 기록되어 있고, 신라 마지막 왕 경순왕(敬順王)의 넷째 아들 김은열(金殷悅)의 7세손이다. 1190년(명종 20)에 경상북도 청도군 하남면 대성리(大城里)에서 태어났다. 1218년(고종 5) 문과에 장원급제...
-
고려 후기의 무신. 강화도에서는 김통정이 강화 교동면 출신으로 구전되어 오고 있다. 김통정에 관해서는 구전설화가 여럿 전해지고 있는데, 그 중에서 탄생설화로는 과부 어머니가 지렁이와 희롱하여 태어났다고 하여 원래 성은 지렁이 ‘진’씨였으나 나중에 김씨로 고쳐 김통정이 되었다고 한다. 김통정은 배중손(裵仲孫) 등과 함께 개경 환도를 반대하여 삼별초를 거느리고 대몽항전을 하였다. 배중...
-
조선 후기의 문신. 1734년(영조 10)~1735년(영조 11)까지 제181대 진도군수를 역임하였다.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원진(元鎭)·관보(觀甫), 호는 담정(澹亭)·학야(鶴野). 증조부는 남선이고, 할아버지는 도승지 남치훈(南致熏)이고, 아버지는 공조좌랑 남필명(南弼明)이다. 어머니는 한성판윤 신후재(申厚載)의 딸이다. 아들은 남현로(南玄老)·남경로(南庚老)·남인로(南寅...
-
조선 후기의 무신. 1701년(숙종 27)~1702년(숙종 28)까지 제157대 진도군수를 역임하였다. 1693년(숙종 19) 훈련첨정(訓鍊僉正)이었다가 이듬해에 도총경력(都摠經歷)이 되었다. 진도군수로 재임 중인 1702년(숙종 28) 4월에 주화 위조죄로 진도에 정배된 한도장(韓道長)이 유배지인 진도를 떠나 서울 집에 가서 행패를 부리게끔 방치하였다 하여 파직당하였다. 1705...
-
고려 후기의 무신. 1270년(원종 11) 원종이 몽고와의 화평 교섭에 의하여 출륙환도(出陸還都)를 결정하고 삼별초의 명단을 압수하였다. 이때 노영희는 야별초지유(夜別抄指諭)로서 배중손과 함께 궐기하였다. 이들은 승화후 왕온을 왕으로 옹립하고 관부를 설치하여 반몽고, 반개경정부 입장을 명확히 하면서, 보다 효과적인 항전을 위하여 근거지를 강화도에서 진도로 옮겼다. 진도에 근거지를...
-
진도에 유배되었던 여진족 추장. 조선 전기 사군육진 개척 후에도 북방의 여진족들의 동태는 불안정했다. 여진족은 조선에 귀화하거나 아니면 변방을 침입하여 생활 물자를 약탈해갔다. 이 시기에 조선에 귀화한 여진족 추장 망합은 여진족 토벌에 공을 많이 세웠지만 동시에 여진족과 내통하고 있다는 혐의도 받고 있었다. 결국 망합은 진도로 유배되게 되는데 진도에서 7여 년 남짓한 유배생활을 하...
-
조선 후기의 문신. 1739년(영조 15)~1740년(영조 16)까지 제186대 진도군수를 역임하였다. 본관은 여흥(驪興). 초명은 민기(閔圻), 자는 국보(國輔)·군보(君輔). 아버지는 병마절제도위 민진환(閔震煥)이고, 할아버지는 민정백(閔挺栢), 증조부는 민위(閔湋)이다. 아들은 1738년(영조 14)에 문과급제한 민사홍(閔師弘)과 민사의(閔師毅)이다. 형은 민해(閔垓)·민연(...
-
조선 후기의 문신. 1797년(순조 7)에 도총도사(都總都事)를 역임하였고, 이듬해에 낭청(郞廳), 비랑(備郞)을 지냈다. 1808년(순조 8)~1810년(순조 10)까지 제234대 진도군수를 역임하였다. 진도군수 재직 시절 조도면 주민 차돌금 등 6명이 표류하여 일본에 갔다가 살아 돌아온 사건이 있었다. 이를 제대로 보고하지 않고 조치를 소홀히 하였다 하여 1810년 초에 조사받...
-
조선 말기의 문신. 제299대 진도군수로, 1901년부터 1905년까지 장기 재직하였다. 민영진이 진도군수로 부임하던 1901년은 전국적으로 심한 흉년이 들었다. 정부에서는 1901년 10월 혜민원(惠民院)을 설치하여 굶주리는 백성들을 구호하기에 힘썼다. 또한 1901년 10월에는 안남미(安南米)를 수입하여 기민(饑民, 굶주린 백성)들에게 풀어야 했을 만큼 흉년이 심하였다. 당시...
-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밀양. 증조부는 박문량(朴文良)이고 아버지는 박종수(朴宗秀)이다. 동생은 박난룡(朴亂龍)이다. 부인은 창녕조씨이고 아들이 3명 있다. 무과 출신으로 1636년 병자호란(丙子胡亂) 때에 동생 박난룡(朴難龍)과 함께 남한산성에 들어가 항전하였다. 동생이 전사하자 넝쿨로 시신을 감싸 담은 후 적을 참획하였다. 그 공로로 임금이 즉석에서 그의 직급을 절충장군(折...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무안(務安). 자는 익선(翼仙), 호는 경신재(敬愼齋). 진도 입도조 박희정(朴希貞)의 6세손이며, 아버지 박윤(朴潤)과 어머니 장흥임씨 임순공(任純恭)의 딸 사이에서 2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부인은 밀양박씨로 아들 박춘(朴春), 박하(朴夏), 박추(朴秋) 3형제를 두었다. 손자 박승종(朴丞宗)은 제주판관을 지냈다. 소재 노수신(盧守愼)[1515...
-
조선 후기의 무신. 1756년~1758년까지 3여 년 동안 제203대 진도군수로 재임하였다. 박사검이 진도군수로 있던 시기에는 잇따른 흉년으로 세곡이 바닥나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에 조정에서는 세수(稅收)를 늘리기 위해 군량미(軍糧米)의 확보나 진곡(賑穀)의 회수가 부진한 지방 수령을 엄하게 문초하였다. 조정에서는 군량미 확보의 성적을 삼등분(三等分)하였다. 제일 성적이 나쁜 거말...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충백(忠伯). 진도 입도조(入島祖) 청재공 박심문(朴審問)의 손자이자 박용의 숙부인 박평이 박상하의 7대조이다. 아버지는 판관 박시감(朴始瑊)이며, 어머니는 김해김씨이다. 박상하의 부인은 전주이씨이며, 부인과의 사이에 아들 4형제를 두었다. 박상하는 1648년 현재의 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 포산리에서 태어났다. 1672년(숙종 2)에...
-
조선 중기의 문신·효자. 본관은 밀양. 할아버지는 박후령(朴厚齡)이고 아버지는 박인복(朴麟福)으로, 모두 임진왜란 시 순절하였다. 형은 박성(朴晟)이다. 1567년 현재의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칠전리에서 태어났으며 박윤순(朴允淳) 등 4형제를 두었고, 1644년에 78세로 세상을 떠났다. 1624년 이괄의 난이 일어나자 군량미를 모아 선혜청에 바치는 공을 세웠다. 또한 평소 어머...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 임진왜란 시 순절한 박후령(朴厚齡)의 손자이며 박인복(朴麟福)의 아들이다. 아우는 박섬(朴暹)이다. 부인은 무안박씨이며 아들은 박윤소(朴允素)이다. 1566년 진도군 의신면 칠전리에서 태어났고, 음직으로 참봉에 나아갔다. 참봉으로 재직하고 있던 1628년(인조 6), 유효립(柳孝立)의 난을 평정하였고, 그 공으로 소무공신(昭武功臣)에 녹훈되었다....
-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함양(咸陽). 호는 지족당(知足堂). 청백리 박수지(朴遂智)의 5대손이다. 일찍이 무과에 급제하였으나, 광해군 때 이이첨(李爾瞻)이 정권을 잡고 난정을 하자 이를 통박하다가 그의 무고로 10년간 철산(鐵山)에 유배되었다. 1623년(인조 원년) 10월 인조반정으로 특별히 기용되어 양주목사에 제수되었다가 그 해 12월에 진도군수로 부임하였다. 진도군수로 재...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신숙(愼叔), 호는 청재(淸齋). 세종 때 집현전 학사(學士)와 부제학(副提學)을 지낸 박강생(朴岡生)의 셋째 아들로 진도에서 태어났다. 박심문의 할아버지 박침은 여말선초 이군불사(二君不事)의 충절로 유명한 두문동(杜門洞) 72현 가운데 한 사람이다. 박심문은 사온서직장(司醞暑直長)이 되었다가 1436년(세종 18) 과거에 급제하였다....
-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밀양. 호는 지곡(芝谷). 아버지는 입향시조인 박용(朴容)이며, 어머니는 진도 토호였던 창녕조씨 조필(曺弼)의 딸이다. 3남 중 장남이며 아우로 박정(朴挺)과 박동(朴棟)이 있다. 부인 또한 창녕조씨인 조한성(曺漢成)의 딸이다. 무과에 합격하여 관직이 참군(參軍)에 이르렀고, 조복명(曺復明) 등과 함께 진도군 설치에 공을 세웠다. 묘소는 전라남도 진도군...
-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인수(仁叟). 아버지는 박후령(朴厚齡)이다. 부인 정주한씨(定洲韓氏)와의 사이에 박성(朴晟), 박섬(朴暹) 등 형제를 두었다. 1550년(명종 5) 현재의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칠전리에서 태어났다. 박인복의 생애와 활동에 대해서는 세 가지 기록이 상충하고 있다. 일제강점기에 나온『진도읍지』에 의하면, 박인복은 임진왜란 때 순절했고 선...
-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밀양. 할아버지는 박연(朴衍)이고, 아버지는 박문량(朴文良)이며, 어머니는 진도군수 홍처성(洪處誠)의 딸이다. 부인은 창령조씨이며, 부인과의 사이에 아들 박희창(朴希昌)과 박희화(朴希華)를 두었다. 박종은 1583년(선조 16) 무과에 급제하였다. 이진만호(梨津萬戶)로 재임 중 임진왜란을 맞았으며, 이순신 장군 휘하에서 여러 해전에 참전하여 승리를 거두었...
-
고려 후기의 문신. 삼별초가 진도를 근거지로 기세를 떨치고 있을 때, 고려 정부와 몽고는 삼별초를 회유하기 위해 몽고 사신 두원외(杜員外)와 함께 박천주(朴天澍)를 1271년(원종 12) 1월 6일 진도로 보냈다. 삼별초는 회유하러 온 두원외와 박천주에게 연회를 베풀어 주었다. 그리고는 몰래 병선(兵船) 20척으로 관군을 습격하여 배 1척을 나포하고 군사 90명을 죽이고 두원외를...
-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밀양. 호는 송암(松庵). 밀양박씨 진도 입도조 박용(朴容)의 둘째 아들인 박정(朴梃)의 손자로, 아버지 박충손(朴忠孫)[1520~?]과 어머니 무안박씨 사이에서 4남 중 3남으로 태어났다. 태어난 곳은 현재의 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 포산리이다. 부인은 김해김씨이다. 임진왜란 때에 순절한 김성진의 고모부이기도 하다. 절충장군 부사용으로 하수평(河水萍) 등...
-
조선 전기의 문신. 1464년(세조 10)~1467년(세조 13)까지 제13대 진도군수로 재임하였다. 박후생은 진도군수로 부임한 후, 1207년(고려 희종 3년)에 창건되었으나 잦은 왜구 침입과 여말선초의 어수선한 상황 때문에 버려져 있던 벽파정(碧波亭)을 1465년(세조 11)에 중건하였다. 벽파정 준공 직후 그의 친구였던 이숙감(李淑瑊)이 진도에 와서 진도의 풍광과 벽파진을 보...
-
조선 중기의 무인. 본관은 경주(慶州). 1923년 간행된『진도군지』에 의하면, 진도 설군 유공자 박근무(朴根茂)의 손자이다. 아버지는 박형손(朴亨孫)이고 어머니는 김인수(金仁秀)의 딸 이다. 1537년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1590년 무과에 급제하고 고향 동지인 이천구, 김수생 등과 같이 임진왜란에 참전하여 1597년 9월 16일 명량대해전에서 적탄에 맞아 장렬히 전사하였다....
-
고려후기 삼별초를 이끌었던 장군. 배중손이 역사에 뚜렷이 부각되는 것은 삼별초의 대몽항전 이후부터이며, 그 이전의 경력은 자세하지 않다. 왕정복고파와는 달리 대몽항전의 지속을 주장하였던 임연(林衍) 부자 계열에 속하는 무인으로, 임연 부자의 몰락 후에 대몽 강경파의 선봉에 서서 비타협적 항전을 계속한 인물이다. 배중손은 서반의 장군인 동시에 가장 유력한 삼별초의 지휘관이었던 까닭에...
-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보성(寶城). 자는 사신(思愼), 호는 친친재(親親齋). 판서 선형(宣炯)의 증손이며, 아버지는 도사(都事) 선상(宣祥)이다. 1550년(명종 5)에 태어났다. 1570년 무과에 급제하였고 군관, 거제현령, 진도군수, 성주목사, 전라도수군절도사, 충청병사, 황해병사를 역임하였다. 1598년(선조 31) 정유재란 때 49세로 전사하였다. 1569년(선조 2...
-
1661년부터 1663년까지 제133대 진도군수를 지낸 조선 후기의 관리. 진도군수로 재임하던 당시 1662년(현종 3)에 객사 앞에 세워져 있던 전패(殿牌)가 없어지는 사건이 있었다. 이것이 문제가 되어 진도군은 진도현(珍島縣)으로 강등되고 설관형은 파직되었다. 전패란 임금을 상징하는 ‘전(殿)’자를 새긴 나무패로 객사(客舍) 앞에 세워 놓고 수령이나 관원들은 이 앞에서 배례(拜...
-
조선 말기의 무신. 본관은 밀양. 자는 문옥(文玉), 호는 옥전(玉田). 밀양손씨 40세손이고 아버지는 손경완(孫敬完)이다. 아들은 손영환(孫寧煥)[1879~1903]이고, 손자가 서예가 손재형(孫在馨)이다. 1862년 진도군 진도읍 성내리에서 태어났다. 벽파나루 수진장(守津將)을 거쳐 선전관, 승훈장 등 벼슬을 했다. 1942년 향년 81세로 타계하였다. 벽파나루 수진장 시절 이...
-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치원(致遠), 호는 조은(釣隱). 무예에 뛰어나 1585년(선조 18) 무과에 장원으로 급제하고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훈련원 첨정으로 의주까지 왕을 호종하여 호위장군(虎威將軍)의 호를 받았다. 1597년 정유재란 때 진도군수로서 진도 관군을 이끌고 전공을 세워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서훈되고, 부령부사가 되었다. 임치첨사(...
-
1723년부터 1725년까지 제172대 진도군수를 지낸 조선후기의 관리. 진도군수로 부임했던 신박은 1725년(영조 1)에 장령 이의천(李倚天)의 탄핵을 받아 파직되었다. 그 내용은 대촌(大村)을 강제로 훼손하고 뇌물을 받았고, 재해 면적을 속여 세수 차액을 횡령하였으며, 관비에게 빠져 문란했다는 것이었다....
-
고려 후기의 재상. 신사전(申思佃)은 무반으로 관직에 나아간 듯하며 1260년(원종 1)에 상장군에 올랐다. 1263년(원종 4)에 병부상서가 되었고, 이후 재추의 반열에 들었다. 1268년(원종 9) 지문하성사(知門下省事)가 되었고, 뒤에 참지정사(參知政事)에 올랐다. 찬성사(贊成事)로 치사(致仕)하였고, 1289년(충렬왕 15)에 생을 마감하였다. 1259년(원종 즉위) 고려와...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여인(汝仁). 아버지는 통덕랑(通德郞) 신양(申瀁), 할아버지는 신응징(申應澄)이다. 처는 용인인 이태악(李泰岳)의 딸이다. 1711년(숙종 37)에 진사(進士)에, 1721년(경종 1년)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1725년(영조 1)에 정언, 사서(司書), 1726년(영조 2)에 지평(持平), 장령(掌令), 1727년(영조 3)에 필선(...
-
고려 후기의 문신. 1255년(고종 42) 판사천국사(判司天局事) 안방열은 몽고군에게 파괴당한 지릉(智陵)[명종의 능, 경기도 장단군]을 수축하였다. 1259년(고종 46) 술사 백승현(白勝賢)이 강화의 삼랑성(三郎城)에 가궐(假闕)을 지으면 왕업을 연장할 수 있다고 진언하였다. 왕이 안방열에게 가궐 건축의 이로움과 해로움에 대해 묻자 “백승현의 말은 믿을 수는 없으나 한번 시험해...
-
조선 중기의 문신. 호는 학천자(鶴川子). 안동신(安桐臣)의 아들로 1612년 성균관 유생으로 있을 때 인목대비의 폐비 불가론을 주장하며 이이첨 무리를 공격하는 상소를 했다. 1614년 진도에 유배되어 2년 만에 풀려났으나 얼마 되지 않아 죽었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제주. 자는 여숙(麗淑), 호(號)는 사양재(思養齋). 할아버지는 집현전 대제학 양동재(梁棟材)[혹은 碩材]이고, 아버지는 경상 병마절도사 양한서(梁漢瑞)이다. 부인은 대제학 박강생(朴剛生)의 딸이다. 아들 양정명(梁井明)이 있다. 양성지가 그의 후손이다. 1394년(태조 3) 2월 9일에 태어났다. 구례현감, 해진군사, 진도군수 등을 역임하고 1454년...
-
조선중기 임진왜란 시 공을 세운 무신. 본관은 제주. 호는 호재(浩哉)이다. 아버지는 양관세(梁觀世), 어머니는 김석곤의 딸이다. 임진왜란 순절 충신 양응지(梁應池)와 숙질간이다. 1564년 진도군 군내면 상가리에서 태어났다. 무과 급제 후 훈련원지사 겸 의금부도사를 역임하였다. 1597년 순절하였다. 수은(睡隱) 강항(姜沆)[1567~1618]과 교류가 있을 정도로 학문이 독실하...
-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제주(濟州). 진도 입도조 양진회(梁進淮)의 증손으로, 아버지는 양정(梁渟)이다. 1548년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 상가리에서 태어났다. 문장에 뛰어나고 무예도 탁월하여 일찍이 무과에 급제하였다. 관직으로 종부시와 사복시주부를 역임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종질인 양계원(梁啓源)과 함께 군량과 의병을 모았다. 그 후 이순신 휘하에서 무공을 세우다 남원...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제주. 제주양씨는 고려 말엽의 인물인 양보숭(梁保崇)을 중시조로 삼아 계대(繼代)하는데, 그의 5세손으로 양석재(梁碩才)와 양동재(梁棟材) 형제가 있다. 이 중 양동재는 전라남도 나주군 다시면 시랑동에 살았는데, 양진회(梁進淮)는 그의 증손자이다. 양진회의 부인은 동복오씨이고 아들은 양우치(梁寓治)이다. 양진회는 나주에서 살다가 진도에 들어왔다. 진도가...
-
전라남도 진도군에 유배되었던 조선 전기의 문신. 1396년(태조 5) 제주목사로 재직시 임금으로부터 비단과 쌀 30석을 하사받았다. 1404년(태종 4) 전서로 있던 여의손이 일본국에 보빙사로 갔었는데, 이 때 사신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 하여 1406년(태종 6) 2월에 탄핵받아 향리 안치를 받았으나 다시 사헌부의 이의 제기로 진도에 유배되었다. 이후 『세종실록지리지』...
-
조선 중기 정유재란 때 순절한 무인. 본관은 동복. 아버지는 오극신(吳克信)[1554~1597]이다. 부인은 연일정씨이다. 아들은 오명신(吳名伸)과 오만국(吳萬國)[1597~1650]이다.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 용지리에서 살았다. 아버지 오극신(吳克信)과 함께 정유재란에 참전하였다가 전사했다. 그 뒤 부인이 진도군 군내면 세등리에서 유복자인 오만국을 낳은 후 지산면에 옮겨 살았다...
-
조선 중기의 문신. 1602년부터 1604년까지 제95대 진도군수를 역임하였다. 1602년(선조 35)에 진도군수로 임명되었다. 오대남은 정사(政事)를 말단 관리에게 위임하여 처리하게 하였고, 또한 잦은 징세로 군민의 원망과 고통이 극심해져 탄핵을 받게 되었다. 그간 진도는 임진왜란, 정유재란으로 온갖 고초를 겪은 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 군수마저 악정을 행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
-
고려 후기의 왕족으로 삼별초에 의해 진도에서 왕으로 추대된 인물. 왕온은 고려 현종의 8대손이다. 청화후 왕경(王璟)의 맏아들로 태어났으며, 형제로 왕서·왕염(王剡)·왕정(王珽)이 있다. 아들은 왕환(王桓)이다. 왕춘(王瑃)·왕희(王禧)·왕기(王祺)가 숙부이다. 승화후(承化侯)에 봉해졌다. 1270년(원종 11) 고려와 몽고가 강화하기로 하고 왕실이 강화에서 개경으로 환도하자, 이...
-
고려 후기의 왕족. 고려 현종의 9대손이다. 영녕공(永寧公) 왕준(王綧)의 아들이며, 삼별초가 왕으로 추대한 승화후(承化侯) 왕온(王溫)의 조카이다. 형제로는 왕희(王熙)·왕함·왕시·왕화(王和)·왕림(王琳)이 있다. 아들은 왕미이다. 신안후에 봉해졌다. 1270년(원종 11) 삼별초가 왕온을 왕으로 추대하여 진도에 웅거하자, 고려 조정은 왕옹을 아우 왕희와 함께 파견하여 삼별초를...
-
고려 후기의 왕족. 고려 현종의 9대손이다. 영녕공(永寧公) 왕준(王綧)의 아들이며, 삼별초가 왕으로 추대한 승화후(承化侯) 왕온(王溫)의 조카이다. 형제로는 왕옹(王雍)·왕함·왕시·왕화(王和)·왕림(王琳)이 있다. 아들은 왕형(王珩)·왕구(王玖)이다. 광화후에 봉해졌다. 1270년(원종 11) 삼별초는 반란을 일으키면서 왕희의 숙부 왕온을 왕으로 추대하고 진도를 점령하였다. 고려...
-
조선후기 진도군수를 역임한 관리. 1817년(순조 17)에 약 6개월 간 제243대 진도군수를 역임하였다. 진도군수 재직시 호서와 호남 지역이 풍작임에도 불구하고 정해진 대동미를 제대로 상납하지 않았다는 죄로 충청남도 지역과 전라도 지역 수령 34명과 함께 파직되었다....
-
조선후기 진도군수를 역임한 관리. 1861년(철종 12)부터 1863년(철종 13)까지 제273대 진도군수를 역임하였다. 1861년(철종 12)에 진도군수로 부임한 이래 각종 부과를 무리하게 실시하여 군민들의 원성을 받았다. 이에 진도군 고군면 석현리 주민들이 주동이 되어 민란을 일으켰다. 이듬해 조정에서는 진도군수를 조존욱(趙存昱)으로 교체하였다. 유정로가 진도군수로 악정을 일삼...
-
고려 후기의 문신. 자는 자장(子長). 수안현(守安縣)[현재 경기도 양주] 사람이다. 삼한공신(三韓功臣) 윤봉(尹逢)의 7세손으로, 검교호부상서(檢校戶部尙書) 윤유연(尹裕延)의 둘째아들이다. 생몰년은 알려져 있지 않다. 사마시에 합격 후 지수주사판관(知水州事判官), 현덕궁녹사(玄德宮錄事), 좌우위녹사참군사(左右衛錄事參軍事), 진도현령, 감찰어사, 상서도관원외랑(尙書都官員外郎)을 역...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아버지는 참지의정부사(參知議政府事) 윤사수(尹思修)이다. 할아버지는 동지밀직(同知密直) 윤방안(尹邦晏)이다. 형제로는 형 윤처성(尹處誠)·윤처경(尹處敬)·윤처공(尹處恭)이 있다. 과거에 우수한 성적으로 급제하였다. 1442년(세종 2)부터 1444년(세종 4)까지 제4대 진도군수로 재임하였다. 1442년(세종 24) 진도군수로 재임하던 중...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양좌(陽佐). 아버지는 참판 윤경(尹坰)이고, 어머니는 이담(李擔)의 딸이다 1477년 사마시에 합격하고 문종 즉위년에 문과에 급제했다. 1453년 저작을 거쳐 1455년 호조화랑에 원종공신 2등으로 책록되고 서연관이 되었다. 1463년 동부승지에 이어 도승지로 세조의 총애를 받았으며 우의정, 좌의정을 거쳐 1484년 영의정이 되었다....
-
조선후기 진도군수를 지낸 문신. 1769년부터 1772년까지 제210대 진도군수로 재임하였다. 본관은 전주. 할아버지는 이옹이고, 아버지는 이만종(李萬鍾)이다. 부인은 양순유(梁舜兪)의 딸이다. 형은 이상린(李祥麟)이다. 아들은 이언보(李彦輔)이다. 1769년 진도군수로 부임하였다. 진도군수로 임명받을 당시 어떤 내시가 진도에 있는 자신의 부모 안부를 부탁하여 그 부탁을 들어주었다...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직부(直夫), 호는 백강(白江), 봉암(鳳巖)이다. 세종의 7대손이며, 증조부는 이구수(李耉壽), 할아버지는 첨정(僉正) 이극강(李克綱), 아버지는 목사 이수록(李綏祿), 어머니는 송제신(宋濟臣)의 딸이다. 아들로는 이민장(李敏章), 이민적(李敏迪), 이민서(李敏敍), 이민채(李敏采)가 있고, 동생으로 이정여(李正輿)가 있다. 아내는...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 아버지는 이달용(李達容)이다. 부인은 양천허씨 허성(許成)의 딸이다. 아들은 이하진(李夏鎭) 등 셋이다. 1838년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초하리에서 태어났고, 제주 대정(大靜)현감을 역임하였다. 1897년에 60세로 세상을 떠났다.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초하리 서당동에 묻혔다....
-
조선후기 진도군수를 지낸 관리. 1711년부터 1712년까지 제165대 진도군수로 재임하였다. 1710년(숙종 36) 도총경력(都摠經歷)이 되었다. 1711년 진도군수로 부임하였으나 이듬해인 1712년 11월 10일 그의 부모가 70세가 넘었다는 이유로 파직당하였다. 비변사는 부모 나이가 70세가 넘으면 300리 밖에 관리로는 임용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이사목은 부모 나이가 70...
-
1576년(선조 9)부터 1578년(선조 11)까지 제74대 진도군수를 지낸 조선 중기의 무신. 진도군수로 있던 1578년(선조 11)에 이른바 미옥사건(米獄事件)에 연루되었다. 당시 같은 전랑(銓郎)으로 있던 윤현과 김성일(金誠一)은 사이가 좋지 않았다. 이 때 동인 김성일은 진도군수 이수가 삼윤에게 쌀을 뇌물로 바쳤다는 정보를 입수해 이 사실을 폭로하였고, 대간은 이수를 탄핵하...
-
조선 중기의 무신. 1559년부터 1561년까지 제64대 진도군수를 지냈다. 1565년(명종 20)에 연안부사, 1575년(선조 8)에 전라수사, 1578년(선조 11)에 남도우후를 지냈다. 남도우후로 있을 때 선조로부터 호초(胡椒) 1두(斗)를 하사받기도 했다. 진도군수로 있던 1561년(명종16)에 흑산도에서 왜인을 잡는 공을 세웠다....
-
고려 후기의 무신. 1270년(원종 11) 삼별초가 강화도에서 봉기하여 진도로 내려갈 때 중서사인(中書舍人)으로 강화도에 있다가 노비들을 모아 삼별초를 구포(仇浦)까지 추격하여 5명을 베었다. 또한 낭중(郎中) 전문윤(田文胤)과 함께 강화도의 부고(府庫)를 봉쇄하여 도적을 예방하였다. 이후 경상도 안찰사가 되었다. 1271년(원종 12)에 밀성군(密城郡)[현재 경상남도 밀양]에서...
-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덕수. 자는 여해(汝諧), 시호는 충무공. 아버지는 이정(李貞)이며, 어머니는 초계변씨(草溪卞氏)로 1545년에 서울 건천동(乾川洞)에서 출생하였다. 임진왜란이 발발하기 1년 전인 1591년 일본과의 관계가 미묘하고도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었다. 조정에서는 1591년 2월에 정읍현감이던 이순신을 진도군수로 임명하였다. 그러나 부임 도중에 완도 가리포수군첨사...
-
조선말기 초산군수(楚山郡守)를 지낸 진도 출신의 관리. 본관은 전주. 호는 송은(松隱). 아버지는 이광춘이고 어머니는 진주소씨이다. 진도군 임회면 송월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창녕조씨 조경식의 딸이다. 아들은 이동민(李東珉)·이동백(李東白)이다. 1842년(현종 8)에 태어나 주사로 출발해 초산군수를 지내고 1920년 향년 89세로 세상을 떠났다.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송월에 묘소...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자명(子明), 호는 연계(蓮溪). 효령대군 이보(李𥙷)의 12대손으로, 아버지는 공조판서 이중경(李重庚)이다. 용력이 뛰어나고 병서에 정통하였다. 1743년(영조 19) 사리평(沙里坪)에서 무술 연습을 할 때 그 실력을 인정받아 영조에게 표범 모피를 하사받기도 하였으며, 활 쏘는 솜씨가 출중하여 60세가 넘은 나이에도 모화관(慕華館)...
-
조선 말기의 무신. 본관은 전주. 무과에 합격하여 1874년(고종 11)에 해남 이진만호(梨津萬戶)를 역임했고, 1882년(고종 19)에는 제주도 대정군수(大靜郡守)로 부임하였다....
-
1895년부터 1896년까지 제295대 진도군수를 지낸 조선 말기의 관리. 아버지는 이정우(李庭羽)이다. 형으로 이경·이정·이벽이 있다. 1886년 교섭아문주사와 내무주사를 지냈다. 1889년 11월 12일자로 조일통어장정(朝日通漁章程)이 조인되어 제주도 해역에서 일본 어선들의 조업이 가능해지자 제주 도민들이 소요를 일으켰다. 이때 내무주사로 있던 이전(李琠)을 순심사(巡審使)로...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자는 주지(胄之), 호는 망헌(忘軒). 좌의정 이원(李原)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현감 이증(李增)이고, 아버지는 현감 이평(李評)이며, 처는 전주(全州) 이해(李偕)의 딸이고, 어머니는 허추(許樞)의 딸이다. 형으로 이윤(李胤)이 있다.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이다. 1468년(세조 14)에 태어났다. 문과 급제 후 검열, 정언 등 주로 삼...
-
조선중기 진도군수를 지낸 문신. 1587년부터 1588년까지 제84대 진도군수를 역임하였다. 경주판관(慶州判官)을 지냈다. 1586년(선조 19) 진도군수에 제수되었으나 사헌부의 탄핵을 받아 파직되었다가 1587년 다시 제수되었다. 1588년(선조 21) 3월 전라감사가 진도군수 이즙의 병이 위중하니 파출(罷黜)하라는 서장(書狀)을 올렸고, 이에 이즙은 해임되었다....
-
조선 중기 임진왜란 때 활약한 무신. 본관은 경주. 진도군 진도읍 매향 출신이다. 아버지는 이희백(李希白)이고 어머니는 광산김씨이다. 할아버지는 병사(兵使) 이시원(李時元)이다. 부인은 최씨이며 아들은 이성재(李聖梓)이다. 무예가 남달라 1570년 무과에 급제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소모장(召募將)으로 같은 마을의 김수생(金水生) 등과 더불어 이순신 막하에서 많은 공...
-
조선후기 진도군수를 역임한 관리. 1794년(정조 18)에서 1795년(정조 19)까지 제225대 진도군수를 역임하였다. 이춘보가 진도군수로 활동한 내용에 대한 기록은 없다. 그러나 그가 재임한 시기에는 진도를 비롯한 강진 등지에서 100년 만에 처음이라는 최악의 흉작이 들었다. 진도 군민들은 흉년으로 큰 고통을 겪고 있었고, 중앙정부에서 파견한 위유사·암행어사 등이 진도의 상황에...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자삼(子三), 호는 삼산(三山). 이색(李穡)의 후손이며, 이정기(李廷夔)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행(李荇)이고, 아버지는 참봉 이병철(李秉哲)이다. 어머니는 박태상(朴泰尙)의 딸이고, 아내는 안동(安東) 권감(權瑊)의 딸이다. 아들로는 이득영(李得永), 형제로는 형 이화중(李華重)과 동생 이기중(李箕重), 이형중(李衡重), 이상중(...
-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완산(完山). 자는 사원(士元). 아버지는 창선대부(彰善大夫) 이순인(李純仁)이다. 형제로는 형 이정형(李鼎亨), 동생 이익형(李益亨)이 있다. 1626년(광해 8)에 태어나 1646년(인조 24)에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1653년(효종 4) 선전관 15년 만기를 채우고 6품으로 올랐다. 이듬해인 1654년(효종 5) 10월부터 1656까지 제128대 진...
-
1812년부터 1813년까지 제237대 진도군수를 지낸 조선 후기의 관리. 진도군수 재임 중이던 1813년(순조 13)에 전라도 암행어사 홍대호(洪大浩)가 백성들을 잘못 다스렸다는 암행 계(啓)를 올려 파직되었다....
-
1892년부터 1894년 사이에 제293대 진도부사를 지낸 조선 말기의 관리. 진도군은 조존흥(趙存興)[1865~1868년 재임] 군수 때 진도도호부가 되었다가 백락현(白樂賢)[1872~1873년 재임] 부사 때 다시 진도군으로 강등되었다. 그런데 1889년 부임한 최병두(崔炳斗) 군수부터 다시 부사(府使) 발령을 했고 1895년까지 계속되었다. 따라서 이희승은 군수가 아닌 부사였...
-
고려 후기의 문신. 장흥임씨 중흥조인 임의[1041~1117]로부터 8세손이다. 아버지는 임석(任碩)이다. 아버지와 함께 1352년 공민왕이 원나라 연경에 갔을 때 수행하여 수종 2등공신이 되었다. 그의 아들 임정(任貞)이 진도에 정착하였고, 손자 임은(任誾)은 1437년 진도 창군에 공을 세웠다. 묘와 비석이 진도읍내 정거름재 너머 금선당(琴仙堂) 임씨 선산에 있다....
-
조선전기 진도군 설치 때 활약한 인물. 본관은 장흥. 증조부는 임석(任碩)이고 조부는 임용(任用)이다. 임석과 임용은 1352년(공민왕 1) 연경수종공신 35명 중에 속해 있다. 아버지 임정(任貞)은 장흥임씨의 진도 입향조이다. 1437년(세종 19) 해진군에서 진도군을 분리 승격시킬 때, 아버지 임정은 감역으로 활동하였고 임은은 감관으로 활동하였다. 아버지 임정의 묘소가 진도읍내...
-
조선 말기의 무신. 본관은 인동. 인동장씨 중시조 장금용(張金用)의 24세손이다. 장금용의 6세손으로 장세림(張世林)과 장백림(張百林)의 형제가 있었다. 장백림의 13세손 장태산(張泰山)[1562~1622]이 진도군 가사도에 정착하였고, 그 후손인 장시재(張時才)[1624~1682]가 진도군 지산면 마사(馬沙)에 옮겨왔다. 장국철은 장시재의 후손으로 1887년(고종 24) 우수영...
-
조선말기 진도로 유배된 학자.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대경(大卿), 호는 무정(茂亭)이다. 서울 출신이고 아버지는 정기우(鄭基雨), 할아버지는 정윤용(鄭允容), 증조부는 정동일(鄭東逸)이다. 아들로 정인형(鄭寅衡)이 있다. 강위(姜瑋)의 문하에서 수학해 문학에 일가(一家)를 이루었다. 1858년(철종 9)에 태어났다. 문과 급제 후 예조참의, 승지, 내부참의, 규장각부제학, 중...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초계(草溪). 자는 위도(衛道), 호는 송죽당(松竹堂). 1606년(선조 39)에 진사가 되고 1611년(광해군 3) 별시문과에 장원급제하여 사간원정언·이조좌랑을 거쳐 홍문관 교리가 되었다. 1612년 영창대군을 강화도로 몰아냈던 대북파의 영수 이이첨으로부터 박승종(朴承宗)과 유희분(柳希奮)의 무리라 하여 미움을 받았다. 1616년(광해 8) 이이첨의 사...
-
조선후기 진도로 유배된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자는 길보(吉甫), 호는 구계(癯溪), 동촌(東村)이다. 정지겸(鄭之謙)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정환(鄭晥)이고, 아버지는 이조참판 정뇌경(鄭雷卿)이다. 아내는 전주 사람 이시해(李時楷)의 딸이고, 어머니는 윤상형(尹商衡)의 딸이다. 아들로 정사효(鄭思孝), 손자로 정도형(鄭道亨)이 있다. 1632년(인조 10)에 태어났다. 문과...
-
조선중기 진도에 유배된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익지(翼之), 호는 휴옹(休翁)·휴헌(休軒)·휴암(休菴)이다. 한성참군(漢城參軍) 정수후(鄭守厚)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정린수(鄭麟壽)이고, 아버지는 시정(寺正) 정사신(鄭思愼)이며, 어머니는 순흥안씨(順興安氏)로 사직 안혼(安混)의 딸이다. 아내는 이혼(李渾)의 딸이다. 1571년(선조 4)에 태어났다. 문과 급제 후 예...
-
조선후기 진도군수를 역임한 관리. 1730년 4월 16일부터 1732년 11월까지 제178대 진도군수를 역임하였다. 1706년(숙종 32) 가배량 만호(萬戶)로 제수되었다. 1713년(숙종 39)에 훈련주부(訓鍊主簿)·도총도사(都摠都事)를 지내고 이듬해에 경상우수우후(慶尙右水虞侯)를 지냈다. 1731년(영조 7) 전라감사 이수항(李壽沆)이 진도군수 조덕기가 곤궁한 백성을 잘 구제하...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덕여(德汝), 호는 일곡(日谷). 시호는 문충(文忠). 조진명(趙鎭明)의 아들이다. 1789년 춘당대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1795년 경기도 도사, 1801년(순조 1) 이조참의, 1806년 형조참판을 두루 역임하였다. 1808년에는 평안도관찰사가 되어 도망간 친척의 조세를 대신 내는 족징이 심하다는 암행어사 서능보의 보고에 따라...
-
조선중기 정유재란에서 전사한 무신. 본관은 창녕. 아버지는 조응량(曺應亮)이다. 부인은 비인최씨이고 아들은 조익온(曺益溫)이다. 관직이 참봉(參奉)에 이르렀다. 정유재란 때 아버지를 따라 명량대첩에 참가하였다가 아버지의 배가 뒤집혀 침몰하는 것을 목격하고 적선에 뛰어들어 격전을 벌이다 함께 순절하였다. 전남 진도군 고군면 도평리 산117-3외에 소재한 진도정유재란순절묘역(珍島丁酉再...
-
조선 후기의 향리. 본관은 창녕. 창녕조씨 입도조인 조희직(曺希直)의 17세손으로 향동파이다. 아버지는 조원성(曺元成)이고 어머니는 진주하씨이다. 아들은 조용운(曺龍雲)이다. 1851년 진도향교 명륜당 중수기에 색향리로 나온다....
-
조선후기 진도 출신의 무신. 본관은 창녕. 임진왜란 시 선무원종공신 조응량(曺應亮)의 동생 조응설의 손자이다. 아버지는 조성업(曺誠業)이고, 어머니는 경주박씨이다. 부인은 현풍곽씨이다. 무과 시험에 합격하여 군관을 역임하였다. 진도군 지산면 고야평(古野坪)에 파손되어 방치되어 있던 제방을 사재로 인력을 동원, 보수하였다. 이에 고야평의 농토가 옥토가 되어 군민들에게 혜택을 주었다....
-
조선 말기의 무신. 본관은 창녕. 호는 호정(湖亭)이다. 진도 입도조(入島祖) 조희직(曺希直)의 23세손이다. 아버지는 조준승(曺準承)이고 어머니는 박혜숙이다. 부인은 밀양박씨이다. 아들 조인환(曺寅煥)이 있다. 1863년 진도군 고군면 오산리에서 태어났다. 어모장군(禦侮將軍) 전라도 우수영우후를 지냈다. 1916년 4월 26일에 향년 54세로 타계하였다. 진도군 고군면 지수리 서...
-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창녕. 창녕조씨 진도 입도조 조희직의 8세손이다. 아버지는 조한진(曺漢晋)이다. 1437년(세종 19) 진도 설군 때 4촌 조복명과 함께 공을 세웠다. 조복리의 조카 조섭주(曺燮周)는 당시 두기관(頭記官)이었다. 1933년 향현사를 재건하였을 때 박근무(朴根茂)·하극창(河克昌)·임은·박의경(朴義敬)·최민명(崔閔命)·김백균(金百鈞) 등 6명과 함께 추배되었...
-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창녕. 고려 후기 정언(正言)으로 신돈의 비행을 탄핵하다가 진도 가흥현 호장(戶長)으로 좌천되었고, 조선왕조 개창 후에는 이군불사(二君不事)를 고수하여 창녕조씨의 진도 입도조가 된 조희직(曺希直)의 후손이다. 무과(武科)에 합격하여 관직이 참군(參軍, 정7품)에 이르렀다. 1437년(세종 19) 해진군에 속해있던 진도를 군(郡)으로 분리·독립했을 때, 조...
-
조선후기 진도 지역의 좌수. 본관은 창녕. 창녕조씨 진도 입도조 조희직의 21세손이다. 초명은 방서(邦瑞)이다. 아버지는 조남철(曺南哲)이고 어머니는 진주하씨이다. 아들이 조영승(曺英承)이며 침계 창녕조씨의 종가이다. 손자 조병운(曺秉雲)은 문장이 뛰어나 학계비가 있다. 1796년 진도군 의신면 침계리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55세가 되던 1850년(철종 1) 좌수(座首, 향청의...
-
조선중기 임진왜란 시 순절한 무신. 본관은 창녕. 창녕조씨 진도 입도조 조희직(曺希直)의 12세손이고 진도 창군에 공이 컸던 조복명(曺復明)의 현손이다. 아버지는 조상겸(曺尙謙)이고 어머니는 남양이씨로 셋째 아들이다. 아들은 조유남(曺裕男)이다. 무과에 급제한 뒤 선전관으로 있던 중 임진왜란에 참전하여 순절하였다. 진도군 진도읍 성죽동(城竹洞)에 있는 조수의의 부친 조상겸의 묘비에...
-
조선 전기의 무신. 1476년(성종 7) 병조에서 근무하였다. 이후 서산군수(瑞山郡守)로 재임하던 중 1489년(성종 20) 11월 송사를 태만히 하고 청렴하지 못했다 하여 파직되었다. 그러나 곧이어 도총부 경력(經歷), 훈련원 부정(副正) 등으로 승진하였다. 1494년부터 1495년까지 제26대 진도군수를 지냈다. 진도군수 재임 시인 1494년(성종 25)에 왜구들이 진도에 들어...
-
조선중기 정유재란 때에 공을 세운 무신. 조응량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임진왜란 와중에서 이순신을 돕다가 명량해전에서 부자가 함께 순절한 선무원종공신이다. 본관은 창녕. 진도 입도조 조희직(曺希直)의 13세손이다. 아버지는 조찬상(曺纘商), 어머니는 경주이씨이다. 임진왜란 순절자 조수의(曺守義)의 종질이다. 5남 중 넷째이다. 부인은 김해김씨이며 아들은 조명신(曺命新)이다. 진도군...
-
조선후기 무신. 본관은 창녕. 창녕조씨 진도 입도조 조희직의 20세손으로, 오산파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조몽천(曺夢天)이고 어머니는 밀양박씨이다. 1808년(순조 8)에 태어나 조의천(曺義天)의 양자가 되었다. 밀양박씨와의 사이에 조석닐(曺錫暱) 등 두 아들을 두었고, 경주이씨와의 사이에 세 아들을 두었다. 호남 토포대장을 지냈다....
-
고려 후기의 문신. 바둑에 뛰어난 재주가 있었으며 다섯 아들이 모두 문과에 급제해 오룡(五龍) 집안이라 불렸다. 그의 아들 5형제 집안은 전라남도의 명문가를 이루었다. 본관은 창녕. 창녕조씨 시조 조계룡(繼龍)의 25세손이며 진도 입도조 조희직의 증조부이다. 고려 후기에 시중을 지냈다. 나라가 어지러워지자 공민왕[재위 1351~1374] 때 전라남도 나주군 남평면 오룡동으로 내려와...
-
조선말기 무신. 1866년(고종 3) 서양 세력들이 조선을 침범하기 시작하자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은 진도군이 남해의 요해지라 하여 군(郡)을 도호부(都護府)로 승격시키고 정삼품 당상관의 부사(府使)를 배치하였다. 진도부사는 유사시에 영광·함평·영암·해남 등 4개 군현의 군수, 임자·지도·다경·목포·어란·미진·마량 등의 수군만호, 진도 안에 있던 금갑·남도 등 9개 수군만호를...
-
조선중기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운 무신. 고려말 진도 입도조 조희직(曺希直)의 13세손이다. 아버지는 조계상(曺繼商)이고 어머니는 밀양박씨이다. 3남 중 장남으로 진도군 군내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김해김씨이며 아들은 네 명이다. 임진왜란 때에 왜적을 많이 참획하였다. 그 공을 높이 평가한 이순신이 건의하여 사헌부 장령(掌令)이라는 관직이 특별히 내려졌다. 정유재란이 발발한 후 15...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자는 유량(幼亮), 호는 이우당(二憂堂)이다. 조존성(趙存性)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형조판서 조계원(趙啓遠)이고, 아버지는 괴산군수 조희석(趙禧錫)이다. 어머니는 백홍일(白弘一)의 딸이다. 조태구(趙泰耉)의 종제이며, 조태억(趙泰億)의 종형이다. 1660년(현종 1)에 태어났다. 1686년(숙종 12) 별시문과에 종형 조태구와 함께 병과로...
-
고려 말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시조 조계룡의 28세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조정통(曺精通), 할아버지는 조한용(曺漢龍), 아버지는 조경숙(曺景淑)이다. 조선 태조 이성계와는 사촌 동서 간이다. 부인은 강윤충(康允忠)의 딸이며, 아들 조근(曺謹)과 조심(曺諶)을 두었다. 조희직은 1366년(공민왕 15) 정언(正言, 종6품) 재임 중 정추(鄭樞)·이존오(李存吾)와 함께 신돈...
-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충주. 1378년 전라도도순문사로 장흥부에 침입한 왜구를 물리쳤다. 1388년에는 요동(遼東) 정벌에 안주도부원수로 참가했다가 우군도통사 이성계의 편을 들어 위화도에서 회군을 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1389년(공양왕 1)에는 이성계와 함께 공양왕을 세운 공으로 문하찬성사에 발탁되었으며, 중흥공신녹권(中興功臣錄券)을 받고 충의군(忠義君)에 봉해졌다. 공...
-
조선전기 진도군수를 지낸 관리. 1461년(세조 7)부터 1464년(세조 10)까지 제12대 진도군수를 역임하였다. 1464년(세조 10) 진도군수 재직 시 진상은 임금님께 올릴 진상품으로 바친다는 명목으로 사람들을 데리고 뭍에 나가 사냥을 하고 돌아가다 태풍을 만나 배가 부서져 24명이 숨진 일이 있었다. 사헌부의 탄핵으로 진상(陳祥)은 파직되었다....
-
1438년부터 1440년까지 제2대 진도군수를 지낸 조선 전기의 문신. 초대 군수 양경(梁瓊)의 뒤를 이어 부임한 최기는 전임 군수가 시작한 읍성 축조에 힘을 기울였다. 그러나 준공은 보지 못한 채 1440년 3월 초에 진도를 떠났다. 진도읍성 공사는 같은 해인 1440년(세종 22) 3대 진도군수로 부임한 이순전(李純全) 재임 시에 완공되었다....
-
1555년 약 6개월 간 제61대 진도군수를 지낸 조선 중기의 관리. 1555년(명종 10) 달량포(達梁浦)에 왜구가 쳐들어오자 당시 진도군수였던 최린은 왜구가 경내에 들어오기도 전에 아속(衙屬)을 거느리고 진(鎭)을 버리고 도망갔다. 고을 백성들이 따라 피해서 온 진이 비어 버리게 되었고 군민들은 격분하였다. 수사(水使)의 명에 따라 최린은 군사를 거느리고 다시 나왔으나 이미 백...
-
조선중기 정유재란 때 공을 세운 무신. 본관은 진주. 진도 향동 입촌조 하익창(河益昌)의 6세손이다. 아버지는 하응숙(河應淑)이고 어머니는 창녕조씨이다. 부인은 조민성의 딸이며 아들이 하해(河海)이다. 1563년 진도군 고군면 향동에서 태어났다. 무과에 급제하여 수문장(守門將)을 지냈다. 이후 훈련원(訓練院) 봉사(奉事)로 있다가 김성진 등 많은 향인과 더불어 1597년(선조 30...
-
조선후기 서리를 지낸 인물. 양천허씨 30세손으로, 허겸(許謙)[1766~?]의 아들이다. 1806년 진도군 진도읍 쌍정리에서 태어났다. 1884년경 형방을 지낸 것으로 나타난다. 1844년 쌍계사 완문(完文, 군청에서 처분해준 임야증명서)에는 당시 서리(胥吏)들의 명단이 적혀 있는데, 여기에 허선의 이름도 있다. 허협(許鋏)[1829~?] 등 일곱 아들을 낳아 조선 말기 진도읍내...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양천. 양천허씨 진도 입촌조 허대(許岱)[1586~1662]의 8세손이다. 아버지는 허선(許璇)으로 형방을 지냈고, 어머니는 나주정(丁)씨이다. 1827년 진도군 진도읍 쌍정리에서 태어났다. 형제가 6명으로 진도읍내 양천허씨의 큰 가문을 이뤘다. 무과에 급제한 후, 첨사(僉使)를 거쳐 전주중군(全州中軍)을 지냈다....
-
고려 원종·충렬왕 때의 부원(附元) 분자. 본관은 남양. 본명은 홍준기(洪俊奇)이며 홍다구(洪茶丘)는 아명(兒名)이다. 몽고명은 찰구이(察球爾)로, 원나라에서 태어나 자랐다. 할아버지는 1218년(고종 5) 몽골에 투항한 홍대순(洪大純)이며, 아버지는 몽골 침입의 길잡이 노릇을 한 홍복원(洪福源)이다. 원나라 세조의 총애를 받았으며 세조가 그를 다구라고 불렀다고 한다. 1261년(...
-
1497년부터 1499년까지 제28대 진도군수를 지낸 조선 중기의 관리. 신천군수, 진도군수, 도총부 도사(都事), 경력(經歷), 경상도 병마우후(兵馬虞候), 거창군수 등을 역임하였다. 진도군수로 재임 중인 1499년(연산 5) 군사 430여 명을 거느리고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섬에서 사냥을 하다가 왜구를 만나서 군사 3명은 화살에 맞아 죽고, 3명은 칼날에 상처를 입게 되었다....
-
1725년부터 1726년까지 제174대 진도군수를 지낸 조선 후기의 관리. 진도군수 재임 중인 1726년(영조 2)에 사간원 정언(正言) 유겸명(柳謙明)으로부터 흉년의 곡물(穀物)을 횡령하여 군민을 굶주리게 하였다는 탄핵을 받았다. 영조는 풍문은 믿을 것이 못되니 다시 조사하라 지시하였다. 후에 영부사(領府事) 민진원(閔鎭遠)이 홍우귀의 치적이 볼 만한 것이 없으니 잡아다가 가두고...
-
조선중기 진도군수를 지낸 문신. 1564년~1565년까지 제66대 진도군수로 재임하였다. 소재(蘇齋) 노수신(盧守愼)은 1547년 진도로 유배되어 19년간 유배생활을 했다. 이때 황인록(黃仁祿)이 진도군수로 있었는데 치정(治政)도 보잘 것이 없었으면서 노수신에게 심한 박대를 가하고 불손하고 무례(無禮)하기가 극에 달했다고 한다. 후일 노수신이 해배되어 중앙 관직에 등용되자, 조정...
-
중국 원나라의 무장(武將) 흔도(忻都)는 홀돈(忽敦)이라고도 한다. 1276년(충렬왕 2) 흔도의 아들과 안평공(安平公)의 딸이 결혼하였다. 1277년(충렬왕 3) 흔도의 아들 기(琪)가 수사공으로 임명되었다. 기는 안평공(安平公)의 딸과 결혼하였으므로 왕실의 예에 준하여 이 관직을 주었으며 또 성을 쓰지 않고 이름만 썼다. 고려 후기 삼별초 토벌과 일본 정벌을 위해 고려에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