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사상마을-역사와 언어-역사와 유래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005T05004
한자 義新面 斜上마을-歷史와 言語-歷史와 由來
이칭/별칭 비끼내,빗내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사천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황금연

[역사와 유래]

사상리(斜上里)는 현재 행정구역상 진도군 의신면 사천리에 속해 있는 마을이다. 사상마을의 법정리인 사천리(斜川里)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기왕의 사상리사하리, 영산리의 일부를 병합하여 명명된 마을로, 이때 의신면에 편입되었다. 사상마을은 사천마을에서 분화되었다. 현재 사천마을은 ‘빗끼내, 빗내’로도 불린다. 『호구총수』(1789)에 보면 사천마을은 의신면(義新面) 사지천리(斜只川里)로 나타난다. 이후에 『구한국 지방행정구역 명칭 일람』(1912년) 에는 사상리(斜上里)사하리(斜下里)로 분리되어 기록되어 있다. 사지천리가 사상과 사하 마을로 분리된 정확한 시점은 알 수 없으나 1895년의 전국 행정구역 개편 당시에 이루어진 것이 아닌가 추정된다. 다시 1914년에 행정구역 개편 때에 사상과 사하마을의 이름은 그대로 유지한 채 논수동과 함께 사천리로 통합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사천리의 최초의 마을 이름 ‘사지천(斜只川)’은 현대 음으로 읽으면 ‘사지천’이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현재도 부르고 있는 ‘빗기(끼)내’를 한자로 표기했을 뿐이다. ‘斜’는 ‘빗길 사’인데, 이 글자의 훈(訓)인 ‘빗기-’를 표기한 것이며, ‘只’는 일반적으로 ‘지(다만 지)’로 알고 있지만, 고대 국어 시기부터 우리말을 표기하기 위해 쓰일 때에는 주로 ‘기/ㄱ’의 표기에 이용되었다. ‘川’은 ‘내’를 표기한 것이다. 그러므로 ‘斜只川’(里)은 ‘빗기내’의 표기라 할 수 있는데, ‘只’(기)는 ‘빗기-’의 ‘기’를 보충하는 말음첨기(末音添記)한 것이다. ‘비끼내’는 ‘빗기내’를 음성 그대로 적은 것이다. 『진도군지』(1999)에 의하면 ‘빗기내’는 첨찰산에서 흘러내리는 큰 내가 동네 앞을 빗겨간다, 스쳐간다는 뜻이라 한다. 또한 근년에(19세기 말로 추정됨 : 필자 주) 동네가 커지면서 상하를 구분한 것이라 하며, 더불어 이 마을은 1600년경 평산 신씨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