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500588 |
---|---|
한자 | 朴鍾俊 |
영어음역 | Park Jongjun |
분야 |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 북상리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박주언 |
성격 | 독립운동가 |
---|---|
출신지 | 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 북상리 |
성별 | 남 |
생년 | 1906년![]() |
몰년 | 1984년![]() |
본관 | 경주 |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1906년에 진도군 진도읍 북상리에서 태어나 1984년 향년 79세로 타계하였다. 박종준의 묘는 군강공원 맞은편 철마산 자락에 있다. 아들 박상철이 진도군 진도읍 동외리에 살고 있다.
16세에 진도공립보통학교 2학년으로 편입하여 1926년에 졸업하였다.
진도공립보통학교 재학 중인 1924년 5학년 때 일본인 교장의 수업을 거부하고 동맹휴학을 선동하여 무기정학 처분을 받았다. 5학년 수신 교과서에 대일본제국이란 과목이 있었는데, 교장 담당으로 1주일에 한 시간씩 월요일 첫 수업으로 진행되었다. 박종준은 5학년 첫 수업부터 일본 제국의 만세일계(萬世一系)를 찬양·과시하는데 불만을 품었다. 동료들과 모의해 교장 배척을 목표로 동맹휴학을 결의하여 토요일에 전 학급에 알렸고 월요일에 결행했다. 월요일 당일 학생들은 책가방을 풀지 않고 있다가 교장 선생이 입을 열려고 할 때 모두 밖으로 나가버렸다. 선동 학생 10여 명은 무기정학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