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안치마을 동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500835
한자 鞍峙-洞祭
영어음역 Anchi Maeul Dongje
영어의미역 Anchi Village Tutelary Festival
이칭/별칭 안치마을 거리제,안치마을 도제,안치마을 노제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제
지역 전라남도 진도군 지산면 소포리 안치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황금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간신앙|마을신앙
의례시기/일시 음력 1월 14일 23시
의례장소 마을회관 앞 마당
신당/신체 토지신[땅]
제관 마을사람들

[정의]

전라남도 진도군 지산면 소포리 안치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올리는 제사.

[개설]

안치마을에서는 매년 음력 1월 14일 저녁 밤 11시부터 30여 분 동안 마을회관 앞 공터에서 제사를 모신다. 마을 사람들은 이 제사를 도제(도지), 거리제 또는 노제라고 말한다.

[신당/신체의 형태]

제장은 모정이 아닌 공터이지만, 빈 터에 상을 차리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바람과 추위를 막을 요량으로 모정에 차양을 치고 제상을 차린다. 신격은 마을회관에 보관하고 있는 축문의 내용(“里社之神”)으로 미루어 토지신임을 알 수 있다.

[제관의 선정 및 역할]

안치마을에서는 제를 관장하는 사람을 제주(祭主)라고 하고 제물을 준비하는 사람을 판주(辦主)라고 하는데, 제를 모시기 전 7~10일 사이에 마을에서 최고로 학식 있고 덕망 있는 마을 어른이 선정한다. 올해는 제주와 판주를 동일인, 곧 이장이 맡았는데, 이는 마을주민 노군택(78세)이 생기복덕을 보아 선정하였다. 축관은 따로 뽑지 않는다.

[절차]

도제는 마을회관 바로 앞에 있는 공터이다. 제상은 모정 바닥에 차린다.

판주 집에서 제물을 장만하여 대략 밤 10시 30분부터 제물을 운반하면 상을 펴고 제물을 진설한다. 판주 집에서 장만한 제물을 가지고 제상을 차리는데 이것을 주상(主床)이라고 한다.

이 주상의 메는 일반 밥그릇보다 훨씬 큰 뚝배기 같은 옹기에 담아 올린다. 주상의 제물진설은 11시 이전에 마친다.

제상과 관련하여, 이 마을에는 특이한 점이 있는데, 제사를 모시기 위해 판주를 정하고 그로 하여금 제물을 장만하게 하는 것은 주상을 차리기 위함이다. 이 주상 외에 마을주민들은 각자 가정에서 따로 상을 차려 와서 주상을 정면으로 하여 양쪽으로 나누어 상을 놓는다. 즉 중앙에 주상이 자리하고 양쪽 측면으로 상을 놓는데 ㄷ자의 형태이다.

각 가정에서는 보름상을 차린 이후 도제를 모시는 장소로 다시 상을 봐서 가져온다. 집집마다 상을 차리는 시간이 다르므로 모든 주민들이 도제 장소에 상을 내오지는 못한다고 한다. 올해는 주상 외에 일곱 집에서 상을 차렸다.

주상을 비롯한 각 가정의 상이 차려지고 나면 11시경부터 제를 모신다.

향을 피우고 촛불을 켠 다음 먼저 술을 올린다. 그런 다음 축문을 읽고 재배(再拜)를 한다. 퇴주를 하고 술을 따른 후에 재배를 한다. 재차 퇴주를 하고 술을 따른 후에 재배를 한다.

이후에는 마을 주민들 중 제상에 절을 하고 싶은 의향이 있으면 주민 수에 상관없이 술을 따라 올리고 인사를 할 수 있다. 마을주민들의 인사가 끝나면 분축과 소지를 한다. 소지를 하면서는 가정의 안녕과 풍년 등을 기원한다.

분축과 소지를 하는 동안 마을주민들은 퇴주를 가지고 음복을 하기도 한다. 또한 ‘내전’이라고도 부르는 헌식을 한다. 내전은 사방에 있는 잡귀들에게 먹고 물러가라는 뜻이라고 한다.

내전은 주상의 음식, 곧 소머리 약간, 닭고기 약간, 기타 제물 일부와 주민들이 차려온 제상에 올린 제물 전부를 걷어 소금을 뿌린 후에 제장 근처에 짚을 깔고 짚 위에 뿌려 올려놓는 것이다.

예전에는 삼살방(三煞方)의 방위에 따라 내전하는 방향이 달라서, 북에 살이 있으면 북쪽 방향으로 내전을 하고, 남쪽에 살이 있으면 남쪽 방향으로 내전을 하였다. 한 산 닭의 목을 잘라 땅에 묻고 그 위에 짚을 깔고 음식물을 뿌려 놓았다.

내전을 하고 남은 주상의 제물은 예전에는 판주 집으로 가져갔으나 요즘에는 마을회관으로 갖다 놓는다. 음식은 다음날(01월 15일, 보름) 총회 때 나누어 먹는다.

[제물/용품/제구]

제에 올리는 술은 소주이다. 예전에는 농주(막걸리)를 판주 집에서 직접 담아 제주(祭酒)로 썼다.

제물은 제사 날짜와 가까운 때에 맞추어 진도읍장(5일장)에서 사오거나 상설시장에서 사온다. 대개 판주 내외와 이장이 함께 장을 보러 가지만 판주 내외가 알아서 제물을 사고 이장은 제물을 살 때나 운반할 때 거드는 정도이다.

제물 중에는 소머리와 닭이 있는데, 소머리와 닭은 제사 모시기 보름 전부터 미리 물색을 한다. 닭은 빨간 장닭을 쓰는데, 크고 예쁘며 좋은 것으로 산다.

소머리와 닭 외에 장을 보는 품목은 과일, 나물, 명태포, 술(소주) 등이다. 장을 봐 온 물건들은 판주 집에 갖다 놓으며, 이를 가지고 판주 집에서 제물을 장만한다.

제상에 올리는 품목으로는 초, 향, 메, 수저, 국, 탕, 술잔, 소머리, 닭, 과일, 명태포 등이다.

[부대행사]

도제를 모시기 전에 제장 주위를 간단히 청소한다. 제장이 공터이며, 상을 차리는 곳이 모정이므로 특별히 청소를 할 일은 없어 눈에 거슬리는 것을 치우고 정리하는 정도이다. 금줄은 제주와 판주 집 대문 앞에만 쳐서 깨끗하지 못한 사람의 출입을 막는다. 예전에는 제장과 마을 입구에도 금줄을 쳤으나 지금은 치지 않는다. 황토는 뿌리지 않는다.

예전에는 풍물을 치면서 집집마다 방문하여 마당밟이를 하였으나 마당밟이를 하지 않은 지도 족히 40년은 된다고 한다. 요즘에는 마을이나 주민들 중에 풍물을 칠 일이 있으면 이웃마을인 소포마을에 요청을 하여 풍물을 친다. 당굿은 하지 않는다.

[금기]

제주와 판주로 선정되면 상가(喪家)에 갈 수 없다. 마을 주민들은 상가에 다녀와도 되나, 상가에 다녀온 뒤에는 판주나 제주 집에 가서는 안 된다. 또한 여성들 중 달거리(월경)를 하는 사람도 판주나 제주 집에 갈 수 없다.

[축문]

다음은 마을 회관에 보관되어 있다.

里中野祭祝

歲次 某年 某日 某朔 某日 獻官 敢昭告于

里社之神 唯民所天四時降福無一不願 今玆民憂乃在田園掃除矛虫賊捨舊從神新之攸旣且倂事不宣民之所願唯神之思數十殘 村純一樂安而 城在運禾歌 蒲阡穰穰土穀以報其勳謹以淸酌敬伸奠獻 尙 饗

[제비]

제사의 비용은 마을공금에서 충당한다. 제사에 드는 비용은 대략 20만 원에서 30만 원 정도 소요된다. 마을공동자금에서 지출을 한 지는 약 25년 정도 되었다.

제사비용에 대한 결산은 제사를 모신 다음 날(보름) 마을총회를 할 때 보고한다.

[현황]

대부분의 마을사람들은 마을의 오랜 전통인 도제를 보존하는 데 열의를 보였다. 동계인 상여계가 아직도 존속하고 있을 정도로 마을의 전통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