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501430
한자 珍島郡
영어공식명칭 Jindo-gun
이칭/별칭 옥주(沃州),해진군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남도 진도군
집필자 김정호

[정의]

전라남도에 속하는 17개 군(郡) 중의 한 군.

[개설]

진도군은 우리나라에서 세 번째로 큰 섬이다. 면적은 430.6㎢로 전라남도 면적의 3.6%를 차지한다. 진도·상조도·하조도·가사도 등 231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섬의 대부분은 진도군의 남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진도군에는 진도읍·군내면·고군면·의신면·임회면·지산면·조도면, 가사출장소·거차출장소 등 1개 읍, 6개 면, 2개 출장소, 96개 동리가 있다. 군청소재지는 진도군 진도읍 성내리이다.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을 중심으로 자연경관이 수려하고 유물·유적, 천연기념물, 기능보유자·예능보유자가 많이 있다. 진도군의 마스코트는 천연기념물 제53호인 진도개이다.

[변천]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인진도군(因珍島郡)고군면 일대에, 매구리현(買仇里縣)임회면 지역에 있었다. 신라의 삼국 통일 후 757년(경덕왕 16)에 진도현으로 개칭, 무안군의 영현(領縣)이 되었다. 매구리현첨탐현(瞻耽縣)으로 개칭, 뇌산군(牢山郡)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 초인 940년 뇌산군은 가흥군으로, 첨탐현임회현으로 바뀌었다. 1018년(현종 9)에는 진도현이 나주의 속현으로 병합되었다가 1144년(인조 21)에 현령이 파견됨으로써 독립하였다. 이 때 군에서 현으로 강등된 가흥현(嘉興縣)[지금의 군내면 분토리]이 임회현(臨淮縣)[지금의 임회면]과 함께 진도의 속현으로 합병되었다. 1270년(원종 11)에는 김통정·배중손이 이끄는 삼별초군이 몽골에 항거하여 진도 용장성에 와서 저항했으나 이듬해에 제주도로 쫓겨 갔다. 고려 말 왜구의 약탈이 심하여 1350년(충정왕 2)에 영암군 지역으로 피난하기도 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도 약해진 읍세가 복구되지 않아 1409년(태종 9)에는 해남현에 병합되어 해진군(海珍郡)이라 불렀다. 그러나 1437년(세종 19)에 다시 두 고을을 나누어 진도군을 설치했으며, 군내(郡內), 삼촌(三村), 목장(牧場), 의신(義新), 고군내(古郡內), 명산(命山), 임회(臨淮), 읍내(邑內), 제도(諸島)의 9개 면을 관할하였다. 1440년(세종 22)에는 읍의 중심지를 외이리(外耳里)[지금의 고군면 고성리]에서 지금의 진도읍으로 옮겼다. 1866년(고종 3)에는 도호부로 승격되었다가 1874년(고종 11)에 다시 진도군으로 강등되었다. 진도의 별호는 옥주(沃州)였다. 1895년(고종 32)에는 지방 관제 개정에 의해 진도군이 나주부에 속하게 되었다. 또한 고군내면은 고일면·고이면으로, 군내면은 군일면·군이면으로, 목장면은 지산면으로, 명산면은 명금면으로, 임회면은 임일면·임이면으로, 읍내면은 부내면으로, 제도면은 조도면으로 각각 개편되었다. 1896년에는 진도군이 전라남도에 속하게 되었다.

1906년에는 월경지 정리로 삼촌면을 해남군으로, 명산면을 영암군으로 이관했다. 1914년에는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부내면·지산면·조도면은 그대로 두고, 고일면·고이면은 고군면으로, 군일면·군이면은 군내면으로, 의신면·명금면은 의신면으로, 임일면·임이면은 임회면으로 각각 통합되었다. 1931년에는 부내면을 진도면으로 고치고, 1963년 법률 제1175호에 의하여 조도면의 마진도리를 무안군에 넘겨주었다. 1964년에는 군 조례 제87호에 의하여 조도면에 가사출장소를 설치하였다. 1966년에는 군 조례 제122호에 의하여 조도면 서거차도에 거차출장소를 설치하였다. 1973년에는 대통령령 제6542호에 의하여 군내면의 수성리·수유리·산월리·해창리 등 4개 리를 진도면에 편입시켰다. 1979년에는 법률 제9409호에 의하여 진도면이 진도읍으로 승격되었다. 1983년에는 전국 행정구역 재조정으로 조도면 가사도리의 고사도·평사도·송도가 신안군 신의면으로, 조도면 만제도리가 흑산면으로 각각 이관되었다. 1990년에는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안군의 저도 외 5개 섬이 진도읍으로 편입되었다.

[자연환경]

진도군은 전체 면적의 약 70%가 산과 구릉지로 이루어져 있다. 남서 방향의 소백산맥 지맥이 황해에 이르러 서서히 침강하여 이루어진 다도해 섬이다. 동북부는 구릉성 산지가 분포하고 서남부는 급경사로 인한 침식해안으로 경관이 빼어나다.

토양은 중생층 점판암 토질로 유기질이 많아 비옥하고 해안은 갯벌로 이루어져 있다. 지질은 백악기의 반암과 응회암이 대부분이다. 특히 진도·상조도·하조도·가사도 등의 섬들은 지질시대에는 육지와 연결되어 있던 섬들이다.

높은 산은 없고 대부분 200~400m 내외의 잔구성 산지로 이루어져 있다. 진도 동쪽에는 첨찰산(尖察山)[485m]·덕신산(德神山)[395m], 서쪽에는 지력산(智力山)[325m]·석적막산(石積幕山)[240m], 남쪽에는 여귀산(女貴山)[457m]·희여산[270m], 북쪽에는 고두산(高頭山)[252m]·설매봉(雪梅峰)[247m] 등이 솟아 있다. 하천은 임회면·지산면·진도읍에서 석교천(石橋川)이, 지산면에서 인지천(仁智川)이, 의신면에서 의신천(義新川)이, 고군면에서 향동천(香洞川)과 고군천(古郡川) 등이 바다로 흘러들어 간다. 석교천과 의신천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3~6㎞의 소하천으로 넓은 충적평야는 발달하지 못하였다. 해안 일대의 만입지에 발달한 간석지는 대규모 농경지로 변모되었다. 진도대교가 있는 해남반도와 진도군 입구 사이의 울돌목이라 부르는 명량해협은 시속 79㎞로 조류가 빠르기로 유명한 곳이다.

기후는 비교적 온화하나, 겨울에는 북서계절풍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연평균 기온 13.9℃ 내외, 1월 평균기온 2.1℃ 내외, 8월 평균기온 27.2℃ 내외이다. 연강수량은 1,256.6㎜ 정도로 봄과 여름에 비가 많다. 특히 봄철에는 짙은 안개가 자주 발생하여 부근 해상 교통에 장애가 되기도 한다.

[위치와 교통]

수리적(數理的)으로는 동경 125°37'~126°28', 북위 34°08'~34°35'에 위치한다. 동쪽은 명량해협(鳴梁海峽)을 사이에 두고 해남반도(海南半島)로 이어지고, 서쪽은 황해, 남쪽은 제주해협으로 틔어 있으며, 북쪽은 해남군 화원반도(花源半島) 및 신안군의 여러 섬들과 마주한다.

1985년에 진도대교가 준공됨으로써 육지와의 연결이 편리해졌다. 해남반도에서 이어지는 18번 국도는 진도대교를 통해 진도군의 중심부와 동남쪽으로 연결되어 있다. 군내면에서 이어지는 803번 지방도는 진도군의 북서쪽으로 연결되어 있다.

진도군의 북동쪽 고군면 벽파리벽파항은 목포~완도, 목포~제주를 잇는 중간 기착지로서 목포·완도·제주와 연결된다. 조도면의 여러 섬은 조도~목포 간 운항되는 정기여객선으로 연결된다.

[경제산업]

2009년 12월 31일 현재 총 15,580세대 34,181명(남 16,434명, 여 17,747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현재 주요 성씨는 밀양박씨·김해김씨·창녕조씨·전주이씨·경주이씨 등이다. 주민들의 주요 소득원은 농업과 어업이다.

농산물로는 쌀·쌀보리·맥주보리·고구마 등을 비롯하여 콩·유채·마늘·참깨 등과 각종 채소류·엽연초 등이 생산된다. 특산물로는 미역, 김, 구기자, 대파, 울금, 흑미, 홍주 등이 생산된다. 수산업 또한 활발하여, 연근해에서는 도미·새우·멸치·삼치 등이 많이 잡히고, 김·굴·미역 등의 양식도 활발하다. 구기자·돌미역·진도개는 오래 전부터 진도군의 3대 보배로 손꼽혀 왔다. 시장은 진도읍에 상설시장이 있고 진도읍·고군면·의신면·임회면·조도면 등 5개소에 5일 정기시장이 열린다. 대부분 가축시장을 겸하며, 농산물과 일용잡화가 거래된다.

[문화재]

진도군의 문화재로는 국가지정문화재 13종(보물 1종, 사적 2종, 천연기념물 5종, 국가무형문화재 4종, 중요민속문화재 1종, 도지정문화재 19종, 문화재자료 5종)이 있다. 불교문화재로는 군내면 둔전리금골산 5층석탑(金骨山五層石塔)[보물 제529호], 임회면 상만리진도 상만리 5층석탑(珍島上萬里五層石塔)[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0호], 군내면 용장리용장사 석불좌상(龍藏寺石佛坐像,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7호), 의신면 사천리 쌍계사쌍계사 대웅전(雙溪寺大雄殿)[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21호]·월하당부도(月下堂浮屠)·정견당부도(正見堂浮屠) 등이 있다. 유교문화재로는 진도읍 교동리진도향교[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27호]가 있다. 그밖에 진도읍 성내리에 진도 한정석 가옥(珍島韓正錫家屋)[중요민속문화재 제166호], 의신면 사천리운림산방(雲林山房)[전라남도 기념물 제51호] 등의 건축물과 군내면 용장리진도 용장성(龍藏城)[사적 제126호], 임회면 남동리진도 남도진성(南桃鎭城)[사적 제127호] 등의 삼별초 유적지가 있다. 군내면 녹진리의 이충무공파왜철삭가설지(李忠武公破倭鐵索架設地)는 강강술래를 했던 곳으로 유명하다.

[천연기념물]

진도군에는 천연기념물이 많이 있다. 천연기념물로는 진도읍의 진도개(천연기념물 제53호), 진도읍 수류리와 군내면 덕병리의 백조도래지(천연기념물 제101호), 의신면 사천리의 상록수림(천연기념물 제107호), 임회면 상만리의 비자나무(천연기념물 제111호), 조도면 관매리의 후박나무(천연기념물 제212호) 등이 있다.

[기능보유자·예능보유자]

기능보유자·예능보유자로는 강강술래(국가무형문화재 제8호)의 최소심(崔小心), 남도들노래(국가무형문화재 제51호)의 설재천(薛在天)·조공례(曺功禮), 진도 씻김굿(국가무형문화재 제72호)의 박병천(朴秉千)·채계만(蔡桂萬)·김대례(金大禮), 진도다시래기(국가무형문화재 제81호)의 강준섭(姜俊燮)·조담환(曺淡煥), 진도북놀이(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18호)의 박관용(朴寬用)·장성천(張成天)·양태옥(梁太玉), 진도만가(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19호)의 김항규(金恒奎) 등이 있다.

[주요 관광지]

진도군은 남서부 도서지역이 다도해상국립공원에 속하여 관광객이 많이 찾는다. 주요관광지로는 명량전첩지로 유명한 울돌목 해안, 신비의 바닷길, 관매8경, 해안 일대의 기암절벽, 진도 남도진성, 운림산방, 진도 용장성, 금골기암 등이 있으며, 특히 금골기암과 신비의 바닷길이 유명하다.

[교육기관]

진도군 관내의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11개교(분교8개교), 중학교 7개교, 고등학교 4개교가 있다.

[문화시설]

문화시설로는 진도군 문화예술관·진도공공도서관·노인복지회관·여성회관·향토문화회관 등이 있다. 1965년에 개원한 진도문화원에서는 무형문화재의 전승 및 조선시대 남종문인화의 대표 화가인 허유(許維)를 추모하는 소치미술제(小痴美術祭)를 주관하는 등 향토예술의 발굴에 힘쓰고 있다. 진도군에서는 매년 봄과 여름에 진도 신비의 바닷길 축제를 개최하여 민속공연과 다양한 행사를 펼치고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2.04.06 [교육기관] 통계 수치 수정 <변경 전> 진도군 관내의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14개교(분교 17개교), 중학교 7개교, 고등학교 4개교가 있다. <변경 후> 진도군 관내의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11개교(분교 8개교), 중학교 7개교, 고등학교 4개교가 있다.
2012.04.06 [문화재] 음절 중복 <변경 전>이충무공파파왜철삭가설지(李忠武公破倭鐵索架設地)는 강강술래를 했던 곳으로 유명하다. <변경 후>이충무공파왜철삭가설지(李忠武公破倭鐵索架設地)는 강강술래를 했던 곳으로 유명하다.
2012.04.06 [문화재] 표기의 단일화 <변경 전> 국가지정문화재 13종(보물 1, 사적 2, 천연기념물 5, 중요무형문화재 4, 중요민속자료 1, 도지정문화재 19종, 문화재자료 5종)이 있다. <변경 후> 국가지정문화재 13종(보물 1종, 사적 2종, 천연기념물 5종, 중요무형문화재 4종, 중요민속자료 1종, 도지정문화재 19종, 문화재자료 5종)이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