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501527
한자 鐵馬山城
영어음역 Cheolmasanseong
영어의미역 Cheolmasanseong Fortress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 월가리 산27 외지도보기
시대 고대/남북국 시대/통일 신라,고려/고려,조선/조선
집필자 김정호조진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12년 2월 29일연표보기 - 철마산성 진도군 향토문화유산 유형유산 제7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4년 5월 17일 - 철마산성 진도군 향토문화유산 유형유산 제7호에서 진도군 향토유형유산으로 변경
성격 성곽
양식 테뫼식 산성
건립시기/연도 통일신라시대
소재지 주소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 월가리 산27
문화재 지정 번호 진도군 향토유형유산

[정의]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 월가리진도읍 동외리의 경계를 이루는 철마산에 있는 산성.

[개설]

진도읍의 진산(鎭山)은 본래 북산(北山) 또는 망적산(望敵山)이지만, 주민들은 철마산이라 한다. 고을 수령이 매년 정한 날짜에 철마 신상(神像)을 모시고 제사 지내던 마조단(馬祖壇)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철마산성은 그 성의 규모나 중앙단으로 보아 마조단으로 이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진도군수가 감목관을 겸하였으며, 중앙에 마조단을 세우고 선목제를 지내도록 한 기록과 이 산을 철마산이라 부르는 것 등으로 미루어 철마산성은 마조단으로 쓰였던 것 같다.

[건립경위]

철마산성의 건립 연대와 경위를 알 수 있는 기록으로는 『옥주지』 산천조에 나오는 ‘진도의 주산으로서 진도의 북쪽 20리(2리의 오기로 보임) 지점에 있는데 옛날 뇌산현(군) 때 산성을 쌓아서 관방처로 삼았다’고 한 것이 전부이다. 이로 미루어 통일신라 때 군사적 목적으로 건립한 산성인 것으로 추정된다.

철마산성진도읍성으로부터 약 2리에 있다. 위치로 보아 철마산성진도읍성을 보호하는 천연의 요새지로 기능했음을 알 수 있다.

[형태]

철마산성진도읍의 동북쪽에 있는 철마산[303.5m] 정상 부분을 둘러싸고 축조한 테뫼식 산성이다. 철마산 정상부는 대체로 분지형의 평탄한 대지를 이루고 있고, 산외면은 암벽으로 된 급경사 지형인 관계로 성축 또한 대부분 암벽 사이에 보축하거나 암벽 상단에 2~3단만을 축조하였다.

남벽은 대부분 암벽과 암벽 사이나 암벽 윗부분에 성축을 보완하였다. 동벽은 산성의 동쪽으로 능선이 계속 이어지고 있어서 평탄면의 바깥 면에만 석축을 보완하였다. 서벽과 북벽은 성 내부로부터 완만한 경사가 이어지다가 급경사를 이룬 지형 위에 축조하였다. 철마산성의 시설물은 성 중앙에 있는 건물지 1개소와 동북 벽에 치 1개소가 있다.

[현황]

철마산성은 진도 군민들의 중요 등산 코스이며, 급경사 지형에 축조된 까닭에 대부분의 성축은 무너진 상태이다. 철마산성은 2012년 2월 29일 진도군의 향토문화유산 유형유산 제7호로 지정되었다가 2024년 5월 17일 관련 조례에 따라 진도군 향토유형유산으로 변경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