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제5로 직봉-진도 첨찰산 봉수 유적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501530
한자 第5路直烽-珍島僉察山烽燧
영어음역 Cheomchalsan Bongsu
영어의미역 Beacon Fire Station in Cheomchalsan Mountain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사천리 산1지도보기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김정호조진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23년 11월 22일연표보기 - 제5로 직봉-진도 첨찰산 봉수 유적 사적 지정
성격 봉수
건립시기/연도 조선 전기[세종대]
높이 2m[서벽]
둘레 30.3m
소재지 주소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사천리 산1
소유자 진도군
관리자 진도군
문화재 지정 번호 사적

[정의]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고군면의 경계를 이루는 첨찰산에 세워진 조선시대 봉수.

[건립경위]

제5로 직봉-진도 첨찰산 봉수 유적는 해남 관두산 봉수(현 해남군 화산면 관동리 성좌동 관두산)로부터 여귀산 봉수(현 임회면 죽림리 여귀산)로 전달된 봉홧불을 해남 황원 봉수(현 해남군 화원면 장춘리·문내면 고당리의 접경 日星山)에 중계하는 연변봉수(沿邊烽燧)의 하나로 건립되었다. 대략 조선 초기 진도군의 행정체계가 재정비되는 시기, 즉 세종 대에 개설된 것으로 추정되며 1894년(고종 31)에 폐지되었다.

[위치]

제5로 직봉-진도 첨찰산 봉수 유적진도군 의신면고군면의 경계를 이루는 첨찰산[485m]에 있다. 사천리 쌍계사에서 등산로를 통해 올라갈 수 있으며, 진도군 기상대로 가는 도로를 따라서 봉수지 앞까지 갈 수 있다. 첨찰산은 현 봉대(烽台)가 위치한 산정을 중심으로 동남쪽의 해발 460m 고지와 남쪽 420m 고지로 연결되어 있다. 첨찰산 정상과 기상대가 자리한 동남봉(東南峰) 사이에는 헬기장이 축조되면서 정지되었으나 봉대가 있는 곳은 암산이다.

[형태]

제5로 직봉-진도 첨찰산 봉수 유적는 자연 암반 위에 원형의 연대(烟台)가 비교적 양호하게 보존되어 있다. 30×20㎝의 자연석으로 난층(亂層) 쌓기 방식에 의해 구축한 연대는 남북 직경 9m, 동서 직경 8.5m, 둘레 30.3m 규모이다.

[현황]

제5로 직봉-진도 첨찰산 봉수 유적의 가장 양호한 서벽(西壁)은 2m 정도의 높이로 남아 있었지만, 나머지 부분은 도괴되었다. 2023년 11월 22일 여수 돌산도에서 서울 목멱산 제5봉수를 연결하는 ‘제5로 직봉’ 노선상의 61개 봉수 유적 가운데 16개 봉수를 제5로 직봉으로 하여 사적으로 지정하였는데, 진도 첨찰산 봉수도 그중 하나로 포함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