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포산리 포산 유물산포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501911
한자 浦山里浦山遺物散布地
영어음역 Posan Yumul Sanpoji
영어의미역 Archaeological Site in Posan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물 산포지
지역 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 포산리 288-3지도보기
시대 선사/철기,고대/고대,고려/고려
집필자 정명철조진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유물산포지
소재지 주소 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 포산리 288-3

[정의]

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 포산리 포산마을 일원에 있는 철기시대~고려시대의 유물산포지.

[위치]

포산리 포산 유물산포지①은 포산마을 동북쪽에 형성된 대통뫼[109m]의 남서쪽 산사면에 있다. 유적의 남서쪽으로 100m 지점에 포산마을이 있으며, 북서쪽 가장자리에는 포산삼거리가 있다.

포산리 포산 유물산포지②는 진도읍에서 국도 18호선을 타고 남서쪽으로 남천 3교를 지나면 고막뫼라고 불리는 야산(40.1m)에 이르게 되는데, 이 야산의 남서쪽 구릉에 있다. 민가 1채가 자리하고 있으며, 소포방조제가 건설되기 이전에는 바닷물이 유물산포지 앞까지 들어왔던 것으로 보인다.

포산리 포산 유물산포지③은 포산마을 남쪽에 있다. 대통뫼[109m]와 남산에서 내려오는 산의 남서쪽 사면부 끝자락으로 충적 대지가 형성되어 있다.

[출토유물]

포산리 포산 유물산포지①에서는 철기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의 회청색경질토기 편 및 도기 편들이 확인되었다. 포산리 포산 유물산포지②에서는 삼국시대의 회청색 경질토기 편 등이 확인되었다. 포산리 포산 유물산포지③에서는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의 회청색 경질토기 편이 수습되었다.

[현황]

2024년 기준 포산리 포산 유물산포지 주변은 대부분 개간되어 계단식 밭이나 논으로 경작되고 있다. 포산리 포산 유물산포지② 가운데 도로공사 구간에 포함되어 시굴 조사된 지역에서는 유구나 유물이 확인되지 않았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