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한시대 마한의 54소국(小國) 중 한 나라. 『삼국지(三國志)』「위서」 동이전 한조(韓條)에는 우리나라 고대 삼한의 여러 소국 이름이 열거되어 있다. 이들 나라 이름은 당시의 중국 상고음(上古音)에 따라 한자로 표기되어 있는데, 중국 고대의 북방음은 현행 우리 한자음에 가까우므로 이들 나라의 위치 비정에 많은 도움이 된다....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 분토리의 통일신라시대 이름. 뇌산군(牢山郡)은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 분토리의 통일신라시대 지방행정구역의 한 군명이다...
전라남도 진도군에 있었던 백제시대의 지명. 인진도군은 신라의 삼국 통일 후 757년(경덕왕 16) 진도현으로 개칭되어, 무안군의 영현(領縣)이 되었다....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 지역에 있던 통일신라시대 때의 고을 이름. 본래 도산현은 백제 때 원산현(猿山縣)이라고 했으나 당나라가 백제를 멸하자 나주 다시면(多侍面)에 대방주(帶方州)를 개설하여 군대를 주둔시키고 통치하면서 도산현(徒山縣)으로 명칭을 바꾸고 서남해안의 방위에 임했다고 한다....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에 있던 백제시대 때의 고을 이름. 백제 때 매(買)는 물을 뜻하였으며 구리는 골을 뜻하였다. 그래서 매구리는 물골이란 뜻이 된다. 소포방조제가 축조되기 전 바닷물이 매구리현 깊숙이 드나들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 추측된다....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에 있었던 통일신라시대의 지명. 첨탐(瞻眈)이라는 뜻은 제주도가 바라보이는 땅이란 뜻으로 추측된다. 강진군의 마량 일대에 있던 고을 이름 중 탐진(耽津)이라는 곳이 있었다. 이는 탐라국(제주도)을 건너다니던 나루터라 하여 붙여진 명칭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