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진도문화대전 > 진도향토문화백과 > 삶의 주체(성씨와 인물) > 전통시대인물 > 선비, 문인, 학자
-
조선말기 송산서당 훈장. 1841년(헌종 7) 진도군 군내면 송산리에서 태어났다. 자는 보명(甫明)이고 호는 삼양(三瀁)이다....
-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현풍. 호는 송암(松庵)이다. 현풍은 경상북도 달성군의 옛 이름이다. 현풍 곽씨의 진도 입향조는 시조 곽경(郭鏡)의 15세손 곽자정(郭滋貞)[?~1529]으로 추정되는데, 그의 묘가 진도군 군내면 분토리 망금산에 있기 때문이다. 현풍곽씨는 국내 순위 36위로 4만여 명(1985년 현재)에 지나지 않는 귀한 성이지만, 진도에서는 8위(1...
-
조선 후기의 선비. 본관은 도강(道康). 자는 문계(文啓), 호는 삼호재(三乎齋). 아버지는 진도 입향조 김경의(金敬義)의 8세손 김봉명(金鳳鳴)이다. 부인은 오이태(吳以泰)의 딸이며, 4남 5녀를 두었다....
-
조선전기 진도군 설치에 공을 세운 인물. 본관은 김해. 호는 지암(智菴)이고 초명은 일청(日淸)이다. 아버지는 진도 김해김씨 경파 입향조 김가우(金嘉佑)이고 어머니는 청주한씨이다....
-
조선 중기의 선비. 본관은 김해. 자는 이종, 호는 호성(護聖). 1525년 진주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김인국(金寅國)이며 어머니는 조하국(曺夏國)의 딸이다. 아들은 김천익(金天益)이다....
-
조선전기 진도군 설치의 유공자. 본관은 밀양. 호는 당곡(棠谷)이다. 시조 박언침(朴彦忱)의 25세손이다. 할아버지는 박세부(朴世浮), 아버지는 진도 밀양박씨 입도조 박용(朴容)이다. 어머니는 창녕조씨 조필(曺弼)의 딸이며, 부인은 창녕조씨 조계남(曺繼男)의 딸이다. 형으로 박연(朴衍)이 있다. 박충손(朴忠孫) 등 4명의 아들이 있다. 이 후손들이 임진왜란 때 많은 공을 세웠다....
-
조선 후기의 유생. 1822년(순조 22) 2월에 성균관 유생으로 있을 때 강세귀(姜世龜), 이광좌(李光佐)를 성토하는 통문(通文)을 돌려 진도군 의신면 금갑도에 정배하여 노비가 되었다. 1832년(순조 32) 7월에 방면되었다....
-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압해(押海). 호는 묵제(墨霽). 해남에서 진도 금호도로 건너온 정태영(丁太塋)[1713~?]의 손자이다....
-
조선전기 진도군 설치에 공을 세운 인물. 본관은 창녕. 진도 입도조 조희직(曺希直)의 10세손으로 진도군 진도읍에 태어났다. 아버지는 조계남(曺繼男)이다. 아들은 조백령(曺百齡), 조억령(曺億齡)이다....
-
조선중기 창녕조씨 인물. 본관은 창녕. 창녕조씨 입도조인 조희직의 8세손이다. 아버지는 조한진(曺漢晋)이다. 동생은 조복리(曺復理)이고, 아들은 조섭주(曺燮周)이다. 후손들 중에서 많은 향리가 배출되었다....
-
조선 중기의 유생. 본관은 창녕. 창녕조씨 입도조인 조희직의 10세손이다. 아버지가 조계남(曺繼男)의 둘째 아들이다. 아들은 조이걸(曺以傑)이다. 후손들이 동산파(東山派)이다. 진도향교 연원기에 유생으로 기록되어 있다....
-
조선 중기의 문인. 조선 중기 광해군대에 옥사를 피해 진도로 들어와 진도의 양천허씨 일가를 이룬 입향조이다. 2000년 현재 진도에 그의 후손은 285가구 718명이며, 진도군내 성씨 순위 11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