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관매마을-특성-당제와 어로신앙-당제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005T07041
한자 鳥島面 觀梅마을-特性-堂祭와 漁撈信仰-堂祭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관매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경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섬마을|어촌
면적 266.8

[당제]

관매도리 당제

관매도리 당제는 입도선조(入島先祖)에게 마을의 안녕과 해산물의 풍요를 비는 마을제사의 성격이 강하다. 대대로 전승되어오다가 새마을운동이 한창이던 1970년대 정부의 미신타파 정책으로 철폐되었다. 당시 관매도에 파견돼 있던 경찰들이 방위병들을 시켜 당집을 해체하면서 당제가 중단되었다.

당제를 지내는 시기는 음력 정월 초하루였다. 관매초등학교 앞에 있는 후박나무가 당산나무로, 이곳에 돌벽으로 된 초가집 당집과 당샘이 있었다. 현재는 당집은 흔적이 없고, 당산나무인 후박나무가 천연기념물 제212호로 지정돼 있다.

당제 준비는 음력 12월 말경에 열리는 마을회의에서 제주를 선출하면서 시작되었다. 제주는 그해는 물론 이듬해에 손이 태어나지 않을 성인남자 중에서 선출했는데, 마을을 대표하는 신성한 존재로서 금기가 많이 따라 웬만해서는 제주 맡기를 꺼려했다. 제주는 일년간 노고의 대가로 제일 먼저 마을 해변의 자연산 해산물 채취구역을 배당받았다.

당제 경비는 주민들에게 걷거나, 지난 해의 제주가 부담했다. 제주는 3일 전부터 당제 준비를 했으며, 섣달 그믐날 당집과 당샘을 청소하고 당집에 금줄을 친 뒤 제물을 장만한다. 제물은 본래 제주가 직접 당집에서 준비했으나, 나중에는 제주의 집에서 준비해 가져가기도 했다. 제물은 시루떡, 관매도 산 해산물, 나물류 등이다.

제주는 그믐날 해질녘에 당집에 들어가 혼자서 제사를 지내고 하룻밤을 보내야 했다. 마을남자들은 당집 주변에서 제주의 무서움을 덜어주기 위해 모닥불을 피우고 굿을 치며 놀이판을 벌였다. 제주는 초하룻날 아침 굿꾼들의 굿소리를 맞으며 당집에서 나온 뒤, 농악패를 앞세우고 마을사람들과 집으로 가서 제사음식을 음복하고 논다. 이후 농악패는 집집을 방문하며 마당밟이를 하고 놀았다.

관호리 당제

관호리의 당집은 마을 어귀 당나무 아래에 있었다. 관매도리와 마찬가지로 1970년대에 당집이 해체되고 당제가 중단되었다. 지금은 당나무였던 소나무가 남아 있다. 관호리 당제는 음력 정월 초하룻날 지냈다. 음력 섣달 말에 마을회의에서 선출된 제주가 그믐에 당샘과 당집을 청소한 후 금줄을 치고 외부인의 출입을 막는다. 제주는 혼자서 당집에 들어가 준비된 재료와 도구들을 이용해 제물을 장만하고 제사를 지냈다. 정월 초하루 아침에 마을사람들이 굿을 치면 당집에서 나온 뒤 집으로 이동해 음복을 하고 놀이판을 벌인다. 이후 농악대가 집집마다 마당밟이를 하고 논다. 당제 경비는 마을총회에서 마을의 임원들에게 거두어 충당했다. 이장은 보리 1말을 내고 임원들은 3~4되씩 갹출했다.

당제를 엄하게 지냈기 때문에 제주가 지켜야 할 제약사항이 많았으며, 그에 대한 대가가 주어지기도 했다. 제사를 지내기 위해 준비한 떡쌀에 쌀벌레나 이물질이 생길 경우 제주는 당집에서 내려오며, 새로운 제주를 선출해 제사를 지내도록 했다. 제주는 제사를 모신 후 일년 동안 일상생활에서 조심해야 했다. 제주의 수고에 대한 대가로 해산물 채취구역인 ‘장알’ 갱번 1짓을 배당받았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