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구룡동 전설」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500159
한자 九龍洞傳說
영어음역 Guryong-dong Jeonseol
영어의미역 Legend of Guryong-dong
이칭/별칭 구룡목 전설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옥대리
집필자 서해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설화|구비전승
구분 풍수담
주요 등장인물 도승|마을사람들
관련지명 구룡목
모티프 유형 악행 징계|장자못 설화

[정의]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옥대리구룡동에 관해 전해 오는 이야기.

[개설]

「구룡동 전설」은 도승이 풍수를 이용하여 부도덕한 마을 청년들을 징치하는 내용의 이야기이다. 구룡동은 ‘구룡목’이라고도 하는데, 진도군 의신면 옥대리에서 청룡마을로 가는 중간 지점의 건넛뫼와 앞중매를 연결하는 구릉지대이다.

[내용]

약 400여 년 전 이곳은 밀양박씨 집성촌으로 약 200호가 넘는 큰 마을이 있었는데, 이 마을을 ‘구룡동’이라 불렀다. 그런데 구룡동으로 불렸던 마을의 세력이 워낙 커서인지 마을 청년들의 행패가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양반일지라도 이 마을 앞을 지나갈 때는 말에서 내려 걸어가야만 창피를 당하지 않았다고 한다.

어느 날, 이런 사정을 알고 갔는지 모르고 갔는지, 한 도승이 마을로 들어가 하룻밤 묵어가기를 청하였다. 그러자 마을 청년들이 떼거리로 몰려들어서 도승의 머리에 무거운 철물을 덮어씌우는 등 밤새 견딜 수 없는 여러 행패를 부렸다. 하지만 도승은 다음날까지 꾹 참다가 마을을 빠져나오면서, “이 마을은 용의 기운을 받고 있어 앞으로도 무궁무진 발전할 마을이오. 그러나 용은 물이 많아야 활동을 더 잘할 수 있으니, 새돌 봇자리를 잘라서 마을 중앙으로 냇물이 흐르도록 하고, 저 언덕배기[구룡목]를 잘라서 동서로 길을 트는 게 좋을 거요.” 하고 일렀다.

마을 사람들이 듣기에 그럴 듯하여, 도승이 가자마자 마을 가운데로 물이 흐르도록 내를 파고는, 동서로 길을 만들기 위해 구룡목을 파헤치기 시작하였다. 그런데 얼마나 되었을까, 갑자기 땅 속에서 붉디붉은 피가 콸콸 솟구쳐 나왔다. 바로 구룡목을 지키던 용의 목을 잘랐던 것이다.

그때 용이 흘린 피로 구룡목은 온통 붉은 황토로 변했고, 마을은 알 수 없는 갖가지 불상사와 재액으로 몇 년도 지나지 않아 폐촌이 되어서 그 후손들은 동의리와 금호도, 도몰리 등으로 뿔뿔이 흩어지고 말았다는 이야기이다.

[의의와 평가]

이 전설은 마을의 지맥을 잘라 오히려 패망한 풍수설화의 한 유형이면서, 도승이 마을의 부도덕한 사람들을 징치하는 도승 설화의 한 유형이기도 하다. 설화는 민간의 사고를 반영한다. 마을 청년들은 도승에게 행한 패악질은 잊어버린 채, 더 좋은 마을을 만들고자 하는 욕심을 부리다 결국 마을이 패망하는 화를 불러들였던 것이다. 악행에 대한 철저한 응징이라 할 수 있다. 이 전설은 풍수지리가 좋아 번성한 마을일지라도 그 마을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선한 행위가 더 중요하고, 과한 욕심은 결국 화를 부를 수 있으므로 이를 경계할 것을 강조하는 이야기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