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500172 |
---|---|
한자 | 國文- |
영어음역 | Gungmun Norae |
영어의미역 | Songs of Korean Lyrics |
이칭/별칭 | 가갸뒤풀이,국문뒤풀이,언문뒤풀이,가갸풀이,국문풀이,언문풀이,언문 노래 |
분야 | 문화·교육/문화·예술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전라남도 진도군 |
집필자 | 한미옥,이옥희 |
[정의]
전라남도 진도군 지역에서 한글의 자모 순서를 활용하여 부르던 언어유희요.
[개설]
「국문 풀이」는 지방에 따라 「가갸뒤풀이」·「국문뒤풀이」·「언문뒤풀이」·「가갸풀이」·「언문풀이」라고도 부른다. 한글을 쉽게 익힐 수 있도록 민요 가락에 한글 자모를 넣어 만든 노래이다. 한글의 자모 순서에 따라 가사를 배열하고 각 행의 첫 글자로 시작되는 어휘를 사용하여 특정 내용을 서술하는 언어유희요의 하나이다. 「국문 풀이」는 어린 아동들이 주로 부른 노래라고 여겨지나 실제로는 부녀자들이 많이 불렀다고 한다.
[수집 및 채록]
「국문 풀이」는 1985년 진도문화원에서 발간한 『진도민요집』제1집에 ‘언문노래’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가사]
가갸거겨 가걸랑은 가소마는
정은 부디 두고 가소
나냐너녀 나는 너를 생각한들
너는 나를 생각하랴
다댜더뎌 다정한 우리 님은
어디를 가고 못오는고
라랴러려 나로도로 시집간 딸
잘사는가 모르겠네
마먀머며 마자마자 했든사랑
날이 갈수록 못잊겠네
사샤서셔 사랑사랑 내사랑아
금을준들 바꿀소냐
은을준들 바꿀소냐
아야어여 아기엄마 일어나소
정담이나 나누어보세
자쟈저져 자장자장 우리아가
잘도잔다 내 첫아들
차챠처쳐 차츰차츰 깊어가는
몰래하는 우리사랑
카캬커켜 카랑카랑 시어미소리
무엇먹고 범은 사는고
타탸터텨 타라타라 어서타라
이네 배가 물결에 논다
하햐허혀 한량서방 할려거든
코나큰가 골라서 하세.
[의의와 평가]
「국문 풀이」는 각 소절의 시작마다 ‘가갸거겨 가걸랑은’과 같이 동일한 자음을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노래에 재미를 더한다.「국문 풀이」는 지방마다 가사가 다르고 음률 변형도 많은데, 진도군에서 채록된 「국문 풀이」는 다른 지역에 비해 여성 화자의 시선에서 남녀 간의 애정을 대담하게 노래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