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500528
한자 民謠
영어음역 minyo
영어의미역 folk song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남도 진도군
집필자 나승만

[정의]

민중 속에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져 전승되어 온 노래.

[개설]

민속음악에서 커다란 부분을 차지하는 민요는 일반적으로는 예술음악과 대립되는 말이지만, 예술음악의 모체가 되기도 한다. 대개 농업과 어업 등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집단으로 제례(祭禮)나 노동을 할 때 부르기 시작한 노래로서 특정한 창작자가 없이 자연적으로 발생하여 민중의 생활감정을 소박하게 반영하고, 때로는 국민성·민족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민요는 유행가처럼 일시적인 것이 아니고 어버이에게서 자식으로, 자식에게서 손자로 전승되며, 그 전승도 문자나 악보를 매체로 하지 않고 입에서 입으로 전해진다. 필요에 따라서는 춤과 함께 집단적으로 부르기 때문에 가사와 곡조가 시대나 지역에 따라 변화하기도 한다.

한국의 민요는 대개 같은 가락의 사설을 바꾸어 부르는 유절형식(有節形式)이 많고 흔히 후렴이 붙는다. 또 그 전파범위와 세련도에 따라 토속민요와 창민요로 구분한다. 토속민요는 어느 국한된 지방에서 불리는 것으로 사설이나 가락이 극히 소박하고 향토적이다. 김매기·모내기·「상여소리」·「집터 다지는 소리」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와는 달리 창민요는 흔히 직업적인 소리꾼에 의하여 불리는 세련되고 널리 전파된 민요로서 「육자배기」·「수심가」·「창부타령」·「강원도아리랑」 등이 그 예인데, 민요라 하면 대개의 경우 창민요를 가리킨다. 창민요 중에서 「아리랑」·「청춘가」·「이별가」·「군밤타령」·「닐리리야」·「도라지타령」 등은 그 역사가 길지 않아 일종의 속요라고도 할 수 있다. 창민요는 지방마다 가락이 다르므로 그 차이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경기민요는 경기도·충청도 지방에서 불리는 민요로서 대개 5음음계의 평조(平調)선법을 지녔으며, 세마치나 굿거리장단의 빠른 한배로 부르기 때문에 매우 경쾌하고 분명하다. 또한 선소리[立唱]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점도 특징의 하나라 하겠다. 「노랫가락」·「창부타령」·「아리랑」·「긴아리랑」·「이별가」·「청춘가」·「도라지타령」·「사발가」·「태평가」·「베틀가」·「오봉산타령」·「방아타령」·「자진방아타령」·「양류가」·「양산도」·「경복궁타령」·「한강수타령」·「개성난봉가」·「군밤타령」·「닐리리아」·「건드렁타령」·「실타령」·「천안삼거리」 등이 있다.

남도민요는 전라도 지방에서 불리는 민요로서 판소리와 산조의 장단을 많이 사용한다. 중모리와 중중모리가 많이 쓰이고 드물게 진양조(육자배기)와 자진모리(까투리타령)가 쓰이며, 극적이고 굵은 목소리를 눌러 내는 특징을 갖는 민요이다. 「새타령」·「육자배기」·「농부가」·「자진농부가」·「흥타령」·「자진육자배기」·「까투리타령」·「날개타령」·「진도아리랑」·「개고리타령」·「둥가타령」·강강술래 등이 있다.

서도민요는 황해도·평안도 지방의 민요로 그 선법은 완전5도 위에 조금 낮은 단3도를 쌓아놓은 모양의 것이 많다. 기악반주를 가진 것이 별로 없으며, 창법도 특수하여 콧소리(nasal)로 얕게 탈탈거리며 떠는 소리, 큰 소리로 길게 죽 뽑다가 갑자기 속소리로 콧소리를 섞어서 가만히 떠는 소리를 내는 것 등이 특징이다. 「긴난봉가」·「자진난봉가」·「사리원난봉가」·「병신난봉가」·「숙천난봉가」·「산염불」·「자진염불」·「몽금포타령」(이상 황해도), 「수심가」·「엮음수심가」·「긴아리」·「자진아리」·「배따라기」·「자진배따라기」·「안주애원성」(이상 평안도) 등이 있다.

동부민요는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경상도·강원도·함경도 지방의 민요로, 선법은 4도 위에 단3도를 쌓아올린 3음음계로 되어 있는 것이 많다. 경상도 민요는 대개 빠른 한배의 장단이 많이 쓰이며, 세마치(「밀양아리랑」), 중중모리(「쾌지나칭칭나네」), 자진모리(「골패타령」)와 단모리(「보리타작소리」) 등이 쓰인다.

강원도 민요는 중모리(「한오백년」)나 엇모리(「강원도아리랑」) 등 규칙적인 장단도 쓰이지만 「정선아리랑」 같은 민요는 평안도의 「엮음수심가」처럼 일정한 장단이 없다. 함경도 민요는 그 형태가 강원도 민요와 비슷하며 장단은 비교적 빠른 볶는타령·자진굿거리 등이 쓰인다. 「밀양아리랑」·「울산아가씨」·「쾌지나칭칭나네」·「보리타작소리」·「튀전타령」·「골패타령」·「담바구타령」(이상 경상도), 「강원도아리랑」·「정선아리랑」·「한오백년」(이상 강원도), 「신고산타령」·「애원성」·「궁초댕기」(이상 함경도) 등이 있다. 이밖에 제주도 민요가 있으나 이에 관해서는 아직 충분한 연구가 없다.

[특징]

진도에서 전승되는 민요를 보면 도서지역이라는 선입견을 깨고 농요(農謠)가 풍성하게 전승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부 도서지역에서는 어요(漁謠)가 전승되고 있고, 놀이요도 풍성하다. 그리고 전문적인 소리꾼이 부르는 잡가 또한 성창한다.

1. 농요

진도에서 농요가 큰 비중을 이루는 것은 진도지역이 대체로 평야가 많고 농토가 비옥하기 때문일 것이다. 예부터 “진도에서 생산되는 곡물만으로도 진도 사람들이 3년은 살 수 있다.”는 말도 전해지듯 진도지역은 농업이 성하였다. 여기에 진도 사람들의 음악에 대한 풍부한 소양이 농요 발전에 큰 디딤돌로 작용했을 것이다.

진도지역에서 전승되는 농요는 다른 지역의 농요와 마찬가지로 ‘「김매기소리[除草謠]」’가 주를 이룬다. 그 다음이 ‘「모심기소리[移秧歌]」’, ‘「모찌는소리」’, ‘「도리깨질소리」’ 등이 많이 전해진다.

일의 절차와 속도에 따라 「모찌는소리」는 「긴모뜨는소리」·「자진모뜨는소리」, 「모심는소리」는 「긴못소리」·「자진못소리」, 「김매기소리」는 「긴절로소리」·「중절로소리」·「자진절로소리」·「장원질소리」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들의 장단은 느린 것과 빠른 것, 그리고 12박자, 6박자, 4박자 등 다양한 장단에 남도토리인 육자배기토리와 남도경토리로 다양하게 구성되어 음악적으로 다양한 변화를 주고 있다. 진도 농요의 이런 특성을 인정받아 진도군 지산면 인지리 농요가 ‘「남도들노래」’라는 이름으로 중요문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이런 민요는 실제 농사작업에서 떠난 지 오래이다. 다만 축제로 연행될 뿐이다. 진도에서는 도작요 외에도 목화를 재배하는 민요로 「화중밭매는 소리」가 유명하다. 진도의 「화중밭매는 소리」는 「염장」·「매화타령」·「방애타령」·「도화타령」·「자진방아타령」 등으로 구성되는데 이 소리는 본디 사당패나 초라니패와 같은 소리패들이 부르는 놀이요에 근원을 두는 것이지만, 음악적 감성이 뛰어난 진도사람들이 이것을 변화시켜 훌륭한 진도 농요로 정착시킨 것이다. 이 진도 「화중밭매는 소리」는 장단도 다양하고 경토리로 된 것을 전라도 남도토리로 변환시켜 소리 토리도 다양하고 음악성이 대단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금 진도에서 목화재배는 거의 드믄 일이다. 그래서 「화중밭매는 소리」가 농요로 불리지 않은 지 오래로, 다만 몇몇 소리꾼이 기억할 뿐이다.

2. 어요

진도는 도서지방이므로 해안 곳곳에서 어로작업을 할 수 있지만, 어요는 어업을 주로 하는 지역인 조도를 중심으로 하는 서남쪽 섬지역에서 많이 전승된다. 이들 도서지역에서 불리는 어요 가운데 가장 많이 불리는 것이 「노젓는 소리」, 「배치기소리」, 「술비소리」이다. 진도지역 어민들이 배를 저으면서 부르는 「노젓는 소리」에는 긴소리와 자진소리가 있다. 「술비소리」는 어부들이 그물을 당기면서 부르는 소리이고, 「배치기소리」(풍장소리)는 어민들이 배고사 지내러 갈 때와 어로에 나가서 만선되어 돌아올 때 부르는 소리인데, 이들 어요는 동부토리나 서도토리에 근원을 두는 것이지만 진도에 전승되면서 남도토리가 섞이어 멋드러진 구성을 내고 있다.

3. 놀이요

진도지방 놀이요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이 강강술래이다. 강강술래는 남도의 민속신앙과 놀이에서 발생한 문화적 전통이 유구한 놀이요이며, 느리고 빠른 장단에 남도의 멋진 토리가 어우러진 음악성과 놀이 연출로 이미 유명하다. 진도에서는 여기에 곁들여서 남생아 놀아라·「개고리타령」·고사리꺽자·청어엮고 풀기·덕석몰이·기와밟기 등이 첨가되고, 때로는 남한산성도척이야·밭갈이 가세·손치기 발치기·쥔쥐새끼놀이·술래놀이 등을 곁들여 타지역에서 볼 수 없는 변화 있고 장대한 놀이판을 연출하고 있다. 이런 특성을 인정받아 진도의 강강술래는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고, 지금 진도에서 강강술래는 근대 축제행위로 전성되고 있다.

4. 장례요

진도지역에서는 중부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달구질소리」는 잘 불리지 않고 주로 「상여소리」가 장례요로 불린다. 진도의 「상여소리」는 「간암보살소리」, 「긴소리」, 「천근소리」, 「염불소리」, 「하적소리」 등 많은 소리가 분화되어 장단도 다양하고 소리도 다양하여 타지역에서 그 사례를 찾기 어렵다. 하지만 지금은 상여를 매는 일이 별로 없어 「상여소리」의 전승도 위태롭다.

5. 잡가

진도지역 잡가(통속민요)에는 남도지역 잡가꾼이 흔히 그렇듯이 「보렴」, 「화초사거리」, 「육자배기」, 「자진육자배기」, 삼산은 「반락」, 「흥타령」, 「개구리타령」, 「진도아리랑」 등이 불린다. 진도 사람들은 소리에 소양이 있고 관심이 많아서 지금도 잡가에 능한 소리꾼이 많다. 근래에 남도민요경창대회에 진도 출신들이 대거 수상하는 것은 우연이 아닐 것이다. 일찍부터 서울에도 박보아를 비롯한 진도 출신 잡가 명창들이 활약하여 왔다. 박보아는 진도 출신 명창으로 판소리 잡가에 능하였고 창극에도 능하여 많은 창극에서 이름을 떨치었다. 서울에서 남도잡가 명창이라면 흔히 박보아를 꼽을 만큼 기량이 대단하다는 평을 받는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