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500528 |
---|---|
한자 | 民謠 |
영어음역 | minyo |
영어의미역 | folk song |
분야 | 문화·교육/문화·예술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전라남도 진도군 |
집필자 | 나승만,이옥희 |
[정의]
전라남도 진도 지역에서 민중이 생성하고 향유하며 전승해 온 노래.
[개설]
진도에서는 지나가는 아무나 붙들고 노래를 시켜도 다 수준급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자타공인 민요의 도시이다.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지정된 강강술래와 진도아리랑,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된 남도들노래와 강강술래, 전라남도 무형유산으로 지정된 진도만가, 남도잡가, 조도닻배노래, 진도아리랑이 진도군의 무형유산이라는 점을 통해 그 면모가 확인된다. 그 외에도 의신대동놀이, 고군짓봉산타령, 남한산성 도척놀이, 「진도 엿타령」, 「진도 길쌈노래」, 조도닻배노래가 진도군 향토무형유산으로 지정되어 있을 정도로 진도의 민요 자원은 무궁무진하다.
민속음악에서 커다란 부분을 차지하는 민요는 대개 농업과 어업 등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집단으로 제례(祭禮)나 노동을 할 때 부르기 시작한 노래로서 특정한 창작자가 없이 자연적으로 발생하여 민중의 생활감정을 소박하게 반영하고, 때로는 국민성·민족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민요는 일반적으로는 예술음악과 대립되는 말이지만, 예술음악의 모체가 되기도 한다.
민요는 유행가처럼 일시적인 것이 아니고 어버이에게서 자식으로, 자식에게서 손자로 전승되며, 그 전승도 문자나 악보를 매체로 하지 않고 입에서 입으로 전해진다. 필요에 따라서는 춤과 함께 집단적으로 부르기 때문에 가사와 곡조가 시대나 지역에 따라 변화하기도 한다. 민요는 향토민요와 창민요로 구분되는데 향토민요는 산업화 이후로 전국적으로 전승력이 약화되고 있다. 진도군에서도 농업과 어업이 기계화되면서 전통적인 민요 현장이 사라지고 있지만 민요를 듣고 부르기를 좋아하는 지역민의 관심과 애정을 바탕으로 여러 국면을 통해 전승이 지속되고 있다.
[진도의 농요]
진도에서 농요가 큰 비중을 이루는 것은 진도 지역이 대체로 평야가 많고 농토가 비옥하기 때문일 것이다. 예부터 “진도에서 생산되는 곡물만으로도 진도 사람들이 3년은 살 수 있다.”는 말도 전해지듯 진도 지역은 농업이 성하였다. 여기에 진도 사람들의 음악에 대한 풍부한 소양이 농요 발전에 큰 디딤돌로 작용했을 것이다.
진도 지역에서 전승되는 농요는 다른 지역의 농요와 마찬가지로 ‘「김매기소리[除草謠]」’가 주를 이룬다. 그 다음이 ‘「모심기소리[移秧歌]」’, ‘「모찌는소리」’, ‘「도리깨질소리」’ 등이 많이 전해진다.
일의 절차와 속도에 따라 「모찌는소리」는 「긴모뜨는소리」·「자진모뜨는소리」, 「모심는소리」는 「긴못소리」·「자진못소리」, 「김매기소리」는 「긴절로소리」·「중절로소리」·「자진절로소리」·「장원질소리」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들의 장단은 느린 것과 빠른 것, 그리고 12박자, 6박자, 4박자 등 다양한 장단에 남도토리인 육자배기토리와 남도경토리로 다양하게 구성되어 음악적으로 다양한 변화를 주고 있다. 진도 농요의 이런 특성을 인정받아 진도군 지산면 인지리 농요가 ‘「남도들노래」’라는 이름으로 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이런 민요는 실제 농사작업에서 떠난 지 오래이다. 다만 축제로 연행될 뿐이다. 진도에서는 도작요 외에도 목화를 재배하는 민요로 「화중밭매는 소리」가 유명하다. 진도의 「화중밭매는 소리」는 「염장」·「매화타령」·「방애타령」·「도화타령」·「자진방아타령」 등으로 구성되는데 이 소리는 본디 사당패나 초라니패와 같은 소리패들이 부르는 놀이요에 근원을 두는 것이지만, 음악적 감성이 뛰어난 진도사람들이 이것을 변화시켜 훌륭한 진도 농요로 정착시킨 것이다. 이 진도 「화중밭매는 소리」는 장단도 다양하고 경토리로 된 것을 전라도 남도토리로 변환시켜 소리 토리도 다양하고 음악성이 대단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금 진도에서 목화재배는 거의 드믄 일이다. 그래서 「화중밭매는 소리」가 농요로 불리지 않은 지 오래로, 다만 몇몇 소리꾼이 기억할 뿐이다.
[진도의 어로요]
진도는 도서 지방이므로 해안 곳곳에서 어로작업을 할 수 있지만, 어요는 어업을 주로 하는 지역인 조도를 중심으로 하는 서남쪽 섬지역에서 많이 전승된다. 이들 도서지역에서 불리는 어요 가운데 가장 많이 불리는 것이 「노젓는 소리」, 「배치기소리」, 「술비소리」이다. 진도 지역 어민들이 배를 저으면서 부르는 「노젓는 소리」에는 긴소리와 자진소리가 있다. 「술비소리」는 어부들이 그물을 당기면서 부르는 소리이고, 「배치기소리」(풍장소리)는 어민들이 배고사 지내러 갈 때와 어로에 나가서 만선되어 돌아올 때 부르는 소리인데, 이들 어요는 동부토리나 서도토리에 근원을 두는 것이지만 진도에 전승되면서 남도토리가 섞이어 멋드러진 구성을 내고 있다.
[진도의 유희요]
진도지방 놀이요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이 강강술래이다. 강강술래는 남도의 민속신앙과 놀이에서 발생한 문화적 전통이 유구한 놀이요이며, 느리고 빠른 장단에 남도의 멋진 토리가 어우러진 음악성과 놀이 연출로 이미 유명하다. 진도에서는 여기에 곁들여서 남생아 놀아라·「개고리타령」·고사리꺽자·청어엮고 풀기·덕석몰이·기와밟기 등이 첨가되고, 때로는 남한산성 도척놀이·밭갈이 가세·손치기 발치기·쥔쥐새끼놀이·술래놀이 등을 곁들여 타 지역에서 볼 수 없는 변화 있고 장대한 놀이판을 연출하고 있다. 이런 특성을 인정받아 진도의 강강술래는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고, 지금 진도에서 강강술래는 근대 축제행위로 전성되고 있다.
[진도의 장례요]
진도의 「상여 소리」는 「간암보살소리」, 「긴소리」, 「천근소리」, 「염불소리」, 「하적소리」 등 많은 소리가 분화되어 장단도 다양하고 소리도 다양하여 타 지역에서 그 사례를 찾기 어렵다. 하지만 지금은 상여를 매는 일이 별로 없어 「상여 소리」의 전승도 위태롭다.
[진도의 잡가]
진도 지역 잡가(통속민요)에는 남도 지역 잡가꾼이 흔히 그렇듯이 「보렴」, 「화초사거리」, 「육자배기」, 「자진육자배기」, 삼산은 「반락」, 「흥타령」, 「개구리타령」, 「진도아리랑」 등이 불린다. 근래에 남도민요경창대회에 진도 출신들이 대거 수상하는 것은 우연이 아닐 것이다. 일찍부터 서울에도 박보아를 비롯한 진도 출신 잡가 명창들이 활약하여 왔다. 박보아는 진도 출신 명창으로 판소리 잡가에 능하였고 창극에도 능하여 많은 창극에서 이름을 떨치었다. 서울에서 남도잡가 명창이라면 흔히 박보아를 꼽을 만큼 기량이 대단하다는 평을 받는다. 강송대는 남도잡가[전라남도 무형유산] 예능보유자로서 전국에 명성을 떨치고 있다.
[특징]
진도에서 전승되는 민요를 보면 도서 지역이라는 선입견을 깨고 농요(農謠)가 풍성하게 전승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부 도서 지역에서는 어요(漁謠)가 전승되고 있고, 놀이요도 풍성하다. 그리고 전문적인 소리꾼이 부르는 잡가 또한 성창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