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500698 |
---|---|
한자 | -打令 |
영어음역 | Sanaji Taryeong |
영어의미역 | Sanaji Song |
이칭/별칭 | 「에야디야」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교육/문화·예술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전라남도 진도군 |
집필자 | 이옥희 |
성격 | 민요 |
---|---|
토리 | 육자배기토리 |
가창자/시연자 | 박종기 |
[정의]
전라남도 진도 지역에서 불리는 유희요.
[개설]
「산아지 타령」은 선후창으로 불리는 유절형식의 민요로 진도아리랑[「진도아리랑」]과 매우 유사한 노래이다. 전라도 동부 지역에서는 논매는 소리로, 전라도 서부 지역에서는 유희요(遊戱謠)로 불리고 있다.
[구성]
「산아지 타령」과 「진도아리랑」의 메기는 소리의 사설과 가락은 거의 일치하며 받는 소리의 사설과 가락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산아지 타령」은 대개 중모리로 부르지만 「진도아리랑」은 이보다 다소 빠른 세마치장단으로 부른다.
「진도아리랑」의 받는 소리는 ‘아리아리랑 서리서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응응응 아라리가 났네’이지만 「산아지 타령」은 ‘에야 디야 에헤헤헤야 에야 디여라 산아지로구나’이다.
또한 「진도아리랑」의 받는 소리는 상향 종지를 추구하지만 「산아지 타령」의 받는 소리는 하향 종지를 취하고 있어, 전반적으로 「진도아리랑」이 「산아지 타령」보다 더 흥겨운 분위기를 연출한다.
[가사]
메기는 소리: 일락서산에 해떨어지고/ 월출동령에 달이 돋아 온다
받는 소리: 에야 디야 에헤헤 헤야/ 에야라 디여라 산아지로구나
[내용]
「산아지 타령」은 전라도 동부 지역에서는 「논매기 노래」, 「물레질 노래」로 불렸다. 이들 지역은 호남의 좌도 풍물굿과 판소리 동편제의 지역과 일치한다. 이외의 지역에서는 ‘산다이판’ 등의 노래판이 벌어질 때, 여럿이 모여서 놀 때 부르는 유희요로 불리고 있다.
[의의와 평가]
「진도아리랑」은 젓대의 달인인 박종기(朴鍾基)가 만든 것으로 회자되고 있는데, 박종기는 무에서 유를 창조한 것이 아니라, 기존에 있던 「산아지 타령」을 가다듬어 「진도아리랑」으로 재창조한 것이다.
전라도의 여러 지역에서 「산아지 타령」이 노동요와 유희요로 활발하게 가창되는 것에 비해 진도군 지역에서는 전승이 잘 확인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이와 유사한 「진도아리랑」이 진도 지역민들에게 매우 익숙하여 굳이 「산아지 타령」을 부를 필요가 없었기 때문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