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의신 들노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501135
한자 義新-
영어음역 Uisin Deul Norae
영어의미역 Uisin Farmers’ Song
이칭/별칭 「진도 들소리」,「진도 동부 들노래」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돈지리
집필자 이윤선이옥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일노래
가창시기 논일 할 때

[정의]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돈지리를 중심으로 불리는 논일 노래.

[개설]

진도군 의신면 돈지리를 중심으로 전승되는 논일노래를 「의신 들노래」라고 부른다.

「의신 들노래」는 많은 제보자들의 증언을 근거로 돈지리의 허옥인이 1980년 초에 새롭게 구성한 것이다. 진도군 지산면 인지리를 중심으로 구성된 남도들노래[국가무형유산]와 비교하기 위하여 의신면의 들노래를 「의신 들노래」 혹은 「진도 동부 들노래」라고 부른다.

[채록/수집상황]

1986년 허옥인이 편저한 『진도속요와 보존』에 「의신 들노래」가 수록되어 있다.

[구성 및 형식]

「의신 들노래」는 「도랑신네 고사」, 「모뜨는 소리」[먼데소리], 「상사소리」[모심는 소리], 「논둑 넘는 소리」, 「논매는 소리」[긴절르는소리, 중절소리, 잦은절로소리]’, 「개골 타령」[손발 씻는 소리], 「길꼬래기」[길군악]’, ‘상(賞)매맞기’, ‘마당놀이’로 구성되어 있다.

[가사]

1. 「도랑신네 고사」[음영조로 주문을 외우는 형식]

이전달 도랑신네/ 매진지 해가지고 와서 이렇게 차려놓고/ 대접 드리니 이전답에 벌기 짐승도/ 속고 천리하고 두러기 세레[사이]도/ 바람결 물결도 맞지 말고 지심발/ 잡어주어 욱으로 뻗든 가지 밑으로/ 숨은가지 끌어들이고 안어 드려서/ 나라에 봉양하고 남으면 선영공대/ 하고 부모에 효도하고 창고차고/ 남고쓰고 먹고 남게 많이 잘되어/ 주시기를 이전답 도랑 신네전에/ 고하여 흠앙 하옵니다./ 태고시레 태고시레

2. 「모뜨는 소리」[모찌는 소리]

받음소리: 어기여라 먼디요

메김소리: 오늘 아침에 먼데로 고오나

(하략)

3. 모심는 소리

① 「상사소리」

받음소리: 아~하~아하 아하라/ 상~ 사 디여요

메김소리: 아적나절 먼데소리/ 저녁나절 상사소리

(하략)

② 「논둑 넘는 소리」

이라디야 저라디야 방에홍애가 네로세

어라디야 저라디야 방에홍애가 네로세

(하략)

4. 「논매는 소리」

① 「절로소리」

받음소리: 아~아~아아 아하아 아하아/ 헤~헤~헤헤야 절~로오

메김소리: 일로오 절~로오/ 소수절 로오 고오나

(하략)

② 「중절로소리」

뒷소리: 하~하~하하 아하하하하

앞소리: 일로 절로 수절로만 수절로 로구나

(하략)

③ 「자진절로소리」

뒷소리: 아~하~하아아 아하하하

앞소리: 잘도나 한다 우리 농부들 다 잘도 한다

(후략)

④ 「개골 타령」[손발 씻는 소리]

앞소리: 개골 개골 개골 개골 개골 개골을 찾을라면

나막신 한짝을 꺼꿀로 신고 미나리 방죽만 더듬어라

뒷소리: 반복

(후략)

5. 「길꼬래기」[길군악]

받음소리: 아~하~아하~헤이야/ 어리 허이야 어리얼사네로구나

메김소리: 산고지고는 석다지고라/ 천고지고도 석다지고든냐

(하략)

6. 상매맞기

장원을 한 집에서 술과 명태 1때[20마리]를 내놓고 상머슴을 덕석몰이 놀이를 한다. 농사 장원한 머슴이 소를 타고 내리면, 마을 동장이 나와서, “너는 늦잠을 안 자고 농사를 지어서 장원을 하여 소를 탔으니, 상매를 맞아야 한다.”고 세 대의 매를 때린 후에 밤새도록 마당놀이를 하고 논다.

7. 마당놀이

「도화 타령」, 「방애 타령」, 「사랑 타령」 등을 부르며 논다.

[현황]

허옥인을 중심으로 한 의신민속보존회는 의신면 일대의 논농사 노래인 「의신 들노래」와 밭농사 노래인 「하중밭들노래」를 통합하여 ‘의신대동놀이’를 구성하였다. 1998년 제26회 남도문화제에 ‘의신대동놀이’로 참가하여 발굴상을 수상하였다. 돈지마을에서는 1983년부터 2006년까지 매년 의신면전통민속제를 개최하여 왔다. 의신대동놀이는 2001년 진도군의 향토문화유산 무형유산 제2호로 지정되었다가 2024년 5월 17일 관련 조례에 따라 진도군 향토무형유산으로 변경되었다.

[의의와 평가]

「의신 들노래」는 진도 동부 지역의 들노래로서 서부 지역의 들노래인 「남도들노래」와 차별화되는 음악적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도랑신네 고사, 논둑넘는 소리, 상매맞기 등의 농사와 관련된 민속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 특별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