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500675 |
---|---|
한자 | -打令 |
영어음역 | Sarirong Taryeong |
영어의미역 | Sarirong Song |
이칭/별칭 | 「뽕따러가세」,「뽕따는 노래」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교육/문화·예술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전라남도 진도군 |
집필자 | 김혜정,이옥희 |
[정의]
전라남도 진도군에서 ‘뽕따러가세’와 ‘사리롱’이라는 가사를 반복하여 부르는 노래.
[개설]
진도군에서 전승되는 「사리롱 타령」은 신민요 「뽕 따러 가세」와 유사한 노래이다. 신민요 「뽕 따러 가세」는 1935년 권번 출신 가수 노벽화가 불렀다. 1957년에는 반야월 작사, 나화랑 작곡의 「뽕 따러 가세」를 황금심이 불러 큰 인기를 끌었다. 진도의 「사리롱 타령」은 「뽕 따러 가세」에 ‘흥사리랑’, ‘놀던사리랑’이라는 노랫말을 추가하여 변화를 준 민요이다.
[채록/수집상황]
지춘상이 1979년 7월 27일 진도군 지산면 인지리에서 허정자, 이순례에게서 채록한「사리롱 타령」이 『한국구비문학대계(韓國口碑文學大系)』6-1에 수록되어 있다. 문화방송에서 1989년 9월 26일 진도군 의신면 돈지리의 한영자에게서 채록한 「사리롱 타령」 음원이 MBC 한국민요대전((http://urisori.co.kr)의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에 아카이빙되어 있다.
[구성]
두 명의 창자가 불렀으나 메기고 받는 형태의 선후창으로 노래하지 않고 일정 부분을 나누어 불렀다.
[가사]
뽕따러가세 뽕따러가세/ 고성성들로 뽕따러가세/ 흥사리랑 놀던사리랑/ 뽕도 따고 임도보고/ 고성성들로 뽕따러가세/ 흥사리랑 놀던사리랑
[내용]
「뽕 따러 가세」와 동일 악곡이나 ‘사리롱’이라는 가사가 반복되어 나옴에 따라 「사리롱타령」이라 부르게 되었다. 3소박 3박의 단위로 끊어지는 것으로 보아 세마치장단형으로 볼 수 있으며, 라도레미솔라의 출현음이 사용되는 것으로 보아 사당패에 의해 전파된 산타령제 악곡으로 추측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