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김매기 노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500234
영어음역 Gimmaegi Norae
영어의미역 Weeding Song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전라남도 진도군
집필자 한서희이옥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요|들노래
박자구조 자진모리

[정의]

전라남도 진도 지역에서 논밭의 김을 맬 때 농부들이 불렀던 민요.

[개설]

「김매기 노래」는 논이나 밭에서 김을 맬 때 부르는 민요로, 지방마다 각기 다른 사설과 선율을 가지고 있다. 김을 매는 장소에 따라 ‘논 매기 노래’와 ‘밭 매기 노래’로 구분된다. 진도 지역에서는 논 매기 노래를 ‘절로소리’라고도 한다. 밭 매기 노래로는 목화밭을 매면서 부르던 노래가 전승되고 있다.

[수집 및 채록]

1979년 7월 26일 진도군 지산면조공례가 가창한 「논매기 노래」[긴절로소리, 중절로소리, 잦은절로소리], 1979년 7월 29일 진도군 의신면 사천리이덕순, 박성룡, 신광천이 가창한 「절로소리」[진절로소리, 잦은절로소리]가 『한국구비문학대계(韓國口碑文學大系)』6-1에 수록되어 있다. 1989년 9월 26일 진도군 지산면조공례가 가창한 「논매기 노래」[늦은소리, 중간소리, 잦은소리]와 「목화밭 매는 소리」[「염장」, 「도화 타령」, 「매화 타령」]가 『한국민요대전』-전라남도민요해설집에 가사와 음원이 수록되어 있다.

[형식]

논매기는 김[풀]을 매는 횟수에 따라 초벌매기·두벌매기·세벌매기로 나누는데, 노래의 속도는 일의 진행에 따라 변하여, 일반적으로 처음에는 느리게 시작하여 차차 빨라진다. 진도에서 불리는 「김매기 노래」는 긴절로소리 중절로소리, 잦은절로소리가 있다.

[가사]

『한국민요대전』2-전라남도민요해설집에 수록된 「김매기 노래」의 가사이다.

〈긴절로소리〉

앞: 이히야아하 아하헤헤헤 하절로오호 노호야

이히야아하 아하헤헤헤헤 하절로오호 노호야

어뜬 사람 팔자가 좋아 부귀영화로 잘 사는데

우리같은 인간들은 무슨 팔자로 이라는가

〈중절로소리〉

앞: 이야아 아하아 아아하아 아하아 하절로 노노야

이야아 아하아 아아하아 아하아 하절로 노노야

갈 제 보고 올 제 보고 두 번만 보면 정 많이 든다

간다 간다 나는 간다 임을 따라 내가 돌아를 간다

날 따라라 날 따라라 멀리 멀리 나 따라 오게

〈자진절로소리〉

앞: 아하아 아하아 아하하아하아 에헤헤에헤야 절로

아하아 아하아 아하하아하아 에헤헤에헤야 절로

간다 간다 나는 간다 임을 따라서 나는 간다

신 철철 끄스면 오신다더니 모두굴로 뛰어도 아니 오네

팔랑에 팔랑 수갑사 댕기 꺼적문 안에서 날 속이네

명사십리 해당화야 니 꽃이 진다고 서러마라

절로 절로 해남 한등사 절로

잘 맞는다 잘 맞는다 누리 제군들이 다 잘 맞네

[의의와 평가]

진도 지역에서 전승되는 「김매기 노래」는 전라남도의 진도군, 신안군, 해남군 등 서남해안 지역에 발달한 ‘절로소리’ 계통의 논 매는 소리이다. 진도의 「김매기 노래」가 포함된 남도들노래는 예술성이 뛰어나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