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500490 |
---|---|
한자 | 墓- |
영어음역 | Myo Dagujil Sori |
영어의미역 | Grave Ground Leveling Song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전라남도 진도군 지산면 인지리 |
집필자 | 한서희,이옥희 |
[정의]
전라남도 진도군에서 묘를 다질 때 부르는 민요.
[개설]
「묘 다구질 소리」는 무덤을 만든 후 다지면서 부르는 노동요이면서, 망자를 축원하는 의식요로서의 기능도 함께 가지고 있다. 진도군에서는 묘를 다지면서 「가래질 소리」를 부르기도 하고 「다구질 소리」를 부르기도 한다. 전라남도 무형유산으로 지정된 진도만가에 「다구질 소리」가 포함되어 있다.
[채록/수집상황]
지춘상이 1979년 7월 26일 진도군 지산면 인지리의 설재천, 조공례, 박만준에게서 채록한 민요가 『한국구비문학대계(韓國口碑文學大系)』6-1에 수록되어 있다. 1985년 진도문화원에서 발간한 『진도민요집』제1집에는 「다구질 소리」, 「중다구질 소리」, 「자즌다구질 소리」가 수록되어 있는데 후렴은 「가래 소리」와 유사하다.
[구성]
「묘 다구질 소리」는 선후창 방식으로 부르며, 망자가 묻힌 곳이 풍수지리 명당이라는 것을 강조하는 가사로 이루어져 있다.
[가사]
메: 허기야허허 여허허라
알아감실로 다가보세
받: 허~여 여허여허~
여기야청청 다구요
메: 일세동방 다굴적에
청용한쌍이 들었으니
알아감실로 다과나보세
받: 허~여 여허여허~
여기야청청 다구요
메: 이세남방 다굴적에
황용한쌍이 묻쳤으니
알아감실로 다과나보세
받: 허~여 여허여허~
여기야청청 다구요
메: 삼세서방 다굴쩍에
뚜꺼비한쌍이 묻쳤으니
알아감실로 다과나보세
받: 허~여 여허여허~
여기야청청 다구요
멕: 사세북방 다굴적에
거북이 한쌍이 들었으니
알아감실로 다과나보세
받: 허~여 여허여허~
여기야청청 다구요
[의의와 평가]
「묘 다구질 소리」는 망자가 풍수지리 명당에 묻힌다는 가사로 망자와 망자를 떠나보내야 하는 가족과 지인들을 위로하는 한편, 다구질을 하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추동하는 실제적 효과를 가진 민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