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길꼬냉이」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500223
영어음역 Gilkkonaengi
영어의미역 Homecoming Song
이칭/별칭 질꼬냉이,장원질 소리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전라남도 진도군 지산면|의신면
집필자 한서희이옥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노동요|들노래
토리 육자배기토리|남도경토리
가창자/시연자 조공례|박동매|김영자|박동매
박자구조 삼장개비
가창시기 모내기|논매기
문화재 지정일 1973년 11월 5일연표보기

[정의]

전라남도 진도군 지산면의신면 지역에서 논매기를 끝내고 부르는 민요.

[개설]

「길꼬냉이」는 「질꼬냉이」, 「길꼬래기」, 「길군악」이라고도 부른다. 논매기가 끝나는 날 마을에서 논매기가 가장 잘된 집을 골라 농사장원으로 정하여 축하하고, 그 집 머슴들의 사기를 북돋우기 위해 머슴을 소 잔등에 태우고 농악대를 따라 주인집으로 들어갈 때 부르는 노래로, 「장원질 소리」라고도 한다.

[수집 및 채록]

1979년 7월 지산면 인지리설재천조공례 등이 가창한 민요가 『한국구비문학대계(韓國口碑文學大系)』6-1에 수록되어 있다. 1985년에 간행된 『진도민요집』제1집에는 ‘길꼬냉이[들노래]’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1986년 간행된 『진도속요와 보존』에 의신면 사천리 김재의가 가창한 민요가 수록되어 있다.

[구성]

세벌매기를 끝내고 상머슴을 소에 태운 뒤 놀이를 하는 길꼬냉이는 진도군만의 특유한 가락과 노래 구성을 보여준다. 장단도 느린 것과 빠른 것, 그리고 12박자·6박자·4박자 등 다른 어떤 지역보다 다양한 구성을 갖추고 있다. 특히 육자배기토리뿐만이 아니라 경기도 지역의 민요를 수용하여 적절하게 버무려 낸 남도경토리로 구성되어 있는 점이 특징적이다.

[가사]

길꼬냉이의 가사는 다음과 같다.

뒷소리 : 에헤야 에헤야 어기야 허얼사

지와자자자 아하 어리시구나

지와자자자 헐사좋네

앞소리 : 정든 임 따라서

내가 돌아를 가는고나 야

뒷소리 : 에헤야 에헤야 어기야 허얼사

지와자자자 아하 어리시구나

지와자자자 헐사좋네

앞소리 : 오동추야 달도 밝고

임 생각이 하 내가 절로만 나는 고나야

뒷소리 : 에헤야 에헤야 어기야 허얼사

지와자자자 아하 어리시구나

지와자자자 헐사좋네

앞소리 : 뽕 따러간다 뽕 따러간다

뒷동산으로 내가 뽕따러 가는구나 야

뒷소리 : 에헤야 에헤야 어기야 허얼사

지와자자자 아하 어리시구나

지와자자자 헐사좋네

앞소리 : 인제가면 언제올까

아무리해도 내가 못오겠구나 야

[생활민속적 사항]

진도 지역에서는 논매기가 끝나고 동네로 들어갈 때 큰 황소의 코뚜레에다가 흰 백목(白木)[무명실로 짠 피륙]을 묶어 양편으로 늘어뜨리고 이 백목을 일꾼들이 잡고 행진을 했다. 소의 몸을 백목으로 친친 감고 칡넝쿨이나 담쟁이넝쿨 등을 소 몸통에 감았다. 소를 탄 상머슴의 얼굴에는 솥검드렁[아궁이에서 긁어낸 까만 재를 ‘검드렁’이라고 함]을 칠하고, 긴 풀잎으로 만든 안경을 씌웠다. 등에는 진흙으로 손바닥 도장을 찍고 삽을 어깨에 메게 했다. 「길꼬냉이」 노래를 부르며 행렬이 들과 동네를 지나면 주인집에서는 이들을 맞이하고 술과 닭죽 등의 음식을 내놓았다.

[의의와 평가]

「길꼬냉이」는 섬 지역이지만 간척으로 인해 농경지가 많았던 진도 지역에서 내륙과 마찬가지로 공동 노동으로 농사를 지었음과, 논매기를 끝내고 농군들이 축제를 즐겼던 문화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문화유산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