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가마 메는 소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500188
영어음역 Gwonmaejang Sori
영어의미역 Burial Song
이칭/별칭 가마 소리,홀롱 소리,권매장 소리,권마성 소리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전라남도 진도군
집필자 박종오이옥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요

[정의]

전라남도 진도군 지역에서 가마를 메고 갈 때 부르는 민요.

[개설]

「가마 메는 소리」는 「권매장 소리」, 「홀롱 소리」라고도 부른다. ‘권매장’은 권마성(勸馬聲)에서 유래한 말로 보인다. 「권마성」은 말을 모는 사람과 이를 독려하는 사령이 말을 몰며 부르는 소리인데, 민간에서는 교군(轎軍)들이 가마를 멜 때 불렀다. 「가마 메는 소리」는 가마를 메고 가는 상황에서 무사히 운반할 수 있도록 앞에 있는 사람이 길의 방향이나 땅의 생김새 등에 대해 알려 주는 노래이다. 판소리 「춘향가」에서 ‘신연맞이’나 ‘어사 남원행’ 등의 대목에서 등장한다.

[수집 및 채록]

1985년에 간행된 『진도민요집』제1집에는 ‘권매장 소리[홀롱 소리]’, ‘가마 소리’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가사]

후 렴 : 1. 오~오~허라~구부여

오~질치어라 사또 간다

2. 오~오~허라~구부여

사또 간다 질치어라 사방 쉬~

메김소리 : 똘창을 건너뛰고 잔독은 볿고

굵은 독은 넘어 뛰고 중창 조심이야

위~

좌우 난간에 뚝 떨어져라

각별히 조심하렷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진도 지역에서는 평소에 가마를 이용하는 사람이 많지 않아 혼례 가마를 메고 가는 상황에서 「가마 메는 소리」를 불렸다. 또한 진도다시래기[국가무형유산]를 연행하면서 연극적인 상황과 함께 여흥으로 다양한 노래들을 부를 때 「가마 메는 소리」를 부르기도 하였다.

[의의와 평가]

「가마 메는 소리」는 메기고 받는 방식으로 부르며, 가마 앞채를 멘 사람이 개울을 만났거나 장애물이 있을 때 가마 뒷채를 멘 사람에서 경고해 주는 의미에서 소리를 높이 질러 부르는 점이 특징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