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500165
한자 口音
영어음역 gueum
영어의미역 oral sound
이칭/별칭 구음시나위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전라남도 진도군
집필자 이윤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입소리 연주
토리 육자배기토리
가창자/시연자 한순자|강송대|박진섭
박자구조 살풀이장단
가창시기 씻김굿 여흥판|매구굿 난장|북춤 출 때

[정의]

전라남도 진도군에서 입소리로 살풀이가락을 음영하는 가창양식.

[개설]

구음의 사전적 의미는 “거문고, 가야금, 피리, 대금 따위의 악기에서 울려나오는 특징적인 음들을 계명창처럼 입으로 흉내내어 읽는 소리”이다. 그러나 진도지역의 구음은 구음시나위라고 불리며, 그 음악성이 뛰어나 악기소리와의 변별성을 확보하고 있다.

[가사]

본래 구음 및 구음시나위는 가사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다만, 『진도민요집』제1집(1985)에는 진양조 및 중모리, 자진모리 등의 구음을 채록하여 소개해놓고 있다. 이것은 즉흥적인 구음시나위를 어느 정도 율격에 맞게 고정화시킨 곡이라고 판단된다. 예를 들어 강송대(남도잡가 예능보유자)의 경우, 즉흥적이면서도 일정한 선율의 규칙과 룰을 따르고 있는 점을 볼 때도 구음시나위가 무작위로 이루어지는 것만은 아니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진양조〉

디~다라~다디~다다다~다다다~이~

아~아하~헤에~이 더어~어~로구나

나아아~히이~이~히이~이 히이~야

떠어~허어~어허~어~헤 헤이~

이~로고나 다르르르

에헤~허어~어~어이~이~이이

어허 어허~인~가 어~어~어이~요

이~저어~어으~으어

에헤 에헤헤에~에헤헤~인가

쿵 덕

〈중모리〉

나나지~지르디~찌르지르지

이~나나나 나나나 지~지르징

찌찌지 찌찌지 찌찌르 지르지~

허어 허어 허이 허이~이 지르지

이~나나나 나나나 지~지르징 지르징

찌찌지 찌찌지 찌찌르 지르지르지~

지 지르지르 지르지르지

하아~하아 아하하 에~에헤~에헤

에퀴헤~이~이~이~이~이~이이~이

나니 나니랑 나나 나나~나나

당 지르지르 지지지 지지지 지지지 딩아

나나나 지르징 땅 땅

어~어~어으~어~으~허으으로구나

허~으으~로나

헤에~헤이~헤헤헤헤 에헤에 따지징

따지징 찌르찌르징 찌찌르징

찌지찌지 징징 찌ㅉ르징 찌찌지징징

하~아~하~ 허~허~허

헐씨구 좋다

〈자진모리〉

자장 자라자장장

지징 지징 지리지징징

지징 지징 지리지 장장

나나나~지지징 째째르징 째째르징

떵 떵 떵 떠 덩 덩 덩

나나나 지지지징 징징 징 째재쟁 째재쟁

떵 떵 떵 떠 떵~떵

띠리딩딩 띠리딩딩 띠디딩 띠디딩

동다지 당다지 당다지 동다지

떵떵 떵떵 덩덩 나이다덩덩 나이나덩덩

나이나 나나나 나나나 지지징

떵떵 도르덩당 도르덩당 다로도동

떵떵 당당 동당당 동 당당 다리동당 디리딩

떵~떵 디르디~디르디~이~이~

다리다리 당당 띠리딩띵 띠리딩띵

딩다지다지 딩 다라라라

[내용]

진도지역의 구음은 구음시나위라고 불릴 만큼 독특한 정서를 내포하고 있으며, 그 음악성이 매우 뛰어나 오히려 악기를 리드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일반적인 의미의 구음은 현악기 소리를 ‘덩둥등당동딩’으로, 관악기는 ‘러루르라로리’로 흉내내어 읽는다. 그러나 진도지역의 구음시나위는 ‘아-어-흐-우’ 등의 구음을 사용함으로써 악기와의 변별성을 보여준다.

특히 진도씻김굿과 살풀이춤의 반주음악으로서 구음시나위는 거의 절대적이라고 할 만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런 경향들이 북춤의 반주로도 이어지면서 타 지역에서 북춤을 출 때 풍물반주에 태평소를 사용하는 것과 대조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진도지역에서 구음시나위는 주로 씻김굿의 여흥판이나 북춤, 또는 매구굿이 벌어지는 난장에서 매우 자유롭게 연행되는 음악양식이다. 전형적인 육자배기토리를 사용하며, 한 사람이 하기도 하고, 다수의 대중이 시나위조로 가창하기도 한다.

[현황]

근래의 진도지역 구음가창자로는 단연 진도읍한순자를 거론하는 이가 많다. 그만큼 구음에 천재적인 소질을 지녔다고 알려져 있었다.

한순자가 작고한 이후로는 주로 강송대의 구음을 제일로 친다. 남도잡가 예능보유자로 지정된 강송대는, 본래 단골가에서 태어났지만 무업을 잇지 않고 민요 쪽으로 성공한 경우이다. 강송대는 민요뿐 아니라 특히 구음시나위에 천재적인 재질을 가지고 태어나 전국에서도 그 명성이 자자할 정도다.

구음의 남자 명인으로는 흔히 진도읍의 박진섭을 꼽는다. 박진섭은 북춤의 중시조로 알려진 김행원의 손자이자, 고법 예능보유자 및 조선창극단에서 큰 역할을 했던 김득수의 조카이다. 박진섭은 본래 판소리를 배웠지만 지속하지 못하고, 주로 진도 내의 씻김굿판에서 타고난 천구성으로 구음을 해, 많은 사람들에게 감흥을 불러일으켰다.

[의의와 평가]

진도지역의 구음은 구음시나위로 불릴 만큼 독자성을 확보하고 있다. 구음만으로 시나위가 가능할 만큼 예술성이 뛰어나서, 이것만으로도 진도지역이 가지고 있는 민속음악에 대한 지평과 깊이를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진도지역의 구음, 즉 구음시나위는 진도 사람들의 예술적 기량과 끼를 가장 명료하게 보여주는 예술양식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