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쌍계사 전설」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500933
한자 雙溪寺傳說
영어음역 Ssanggyesa Jeonseol
영어의미역 Legend of Ssanggyesa Temple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사천리
집필자 서해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설화|구비전승
구분 사찰연기담|풍수지리담
주요 등장인물 범우 스님|제자
관련지명 북산
모티프 유형 사찰 창건

[정의]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사천리에 있는 쌍계사에 관해 전해 오는 이야기.

[개설]

「쌍계사 전설」은 범우 스님이 쌍계사를 짓게 된 경위과 함께 현재의 진도향교가 세워진 연유를 설명하는 이야기이다.

[채록 및 수집상황]

이 이야기는 1979년 7월 30일 진도군 의신면 청룡리 청룡마을의 주병욱(朱炳旭)[남, 당시 65세]이 구연한 것이다.

[내용]

지금의 쌍계사가 건립되기 훨씬 전의 어느 해, 범우 스님이란 분이 제자 한 명과 함께 진도에 내려왔다. 절을 지을 만한 마땅한 자리가 없나 여기저기 둘러보다가 지금의 쌍계사가 있는 곳까지 왔는데, 마침 그곳에는 진도 유림에서 향교를 지으려고 모든 준비를 마친 뒤였다.

범우 스님이 보니 향교보다는 절을 짓기에 딱 맞는 자리였다. 그리하여 “옳다구나!” 하고는, 제자와 함께 개토제(開土祭)를 지냈다.

마침 그때 향교를 짓기 위해 유림 사람들이 몰려왔는데, 웬 스님이 제(祭)를 지내는 것이 아닌가! “아니, 스님이 여기서 웬 개토제를 지내는 거요?” 하면서 당장 개토제를 못하게 막으려고 하였다.

이에 범우 스님이, “이곳은 향교를 지을 만한 자리가 아니오.” 하면서, 향교가 들어설 만한 자리를 가르쳐주었는데, 그곳이 현재 진도향교가 자리한 북산 밑이라고 한다. 유림 사람들이 물러간 뒤, 스님과 제자 단둘이서 절을 지었다고 한다.

[의의와 평가]

쌍계사는 신라의 고승이며 풍수지리에 조예가 깊었던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창건한 절이라고 하는데, 현재의 쌍계사는 조선 후기에 건립된 사찰이다. 이 이야기는 이러한 두 가지 사실이 뒤섞여 전하는 것으로 보이며, 쌍계사가 유교 세력과의 갈등을 이겨내고 건립된 사찰임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이 전설에서는 유교와 불교의 갈등 관계를 풍수지리에 조예가 깊은 범우 스님이 원만하게 해결하고 있는데, 이는 당시 이 지역 주민들에게도 풍수지리가 널리 만연하고 있음을 살필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